$\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TS-RFLP법을 이용한 국내지역 재배녹차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Local Green Tea in Korea by STS-RFLP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9 = no.125, 2010년, pp.1415 - 1419  

조규형 (동아대학교 분자생공학부) ,  조아르나 (동아대학교 분자생공학부) ,  (교토대학교 화학연구소) ,  김종철 (하동녹차연구소) ,  김루미 (하동녹차연구소) ,  윤호성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  김경태 (동아대학교 분자생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웰빙 열풍으로 나날이 녹차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증가하고, 생산 재배되고 있는 산지에 대한 브랜드화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녹차품종의 구별 및 차이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되어 있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 국내 대표 녹차산지인 하동지역과 보성지역에서 채집한 녹차와 중국과 일본의 대표적 녹차품종을 가지고 STS-RFLP분석을 수행하였다. 페닐프로파노이드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페닐알라닌 암모니아 리아제와 찰콘 합성효소 그리고 디하이드로플라보놀 4-리덕타아제 유전자의 암호영역과 비암호영역을 사용하여 이들 품종들을 구별할 수 있는 연구에 성공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녹차품종 구별에 사용 가능한 STS-RFLP법과 프라이머를 나타내었고, 하동지역과 보성지역의 녹차품종을 CHS 유전자의 CAPS 마커만으로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어, 국내 지역간 품종의 구분 및 검증에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umption of green tea has increased along with increasing concern regarding healthier lifestyles, and many brands of green tea are sold with a label indicating the region of Korea in which the tea was produced.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ide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ee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 녹차가 재배 지역의 품종에 따라 polymorphism 패턴의 차이가 보이는지, 어디서 기원되었는지에 관하여는 아직 연구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하동지역과 보성지역의 재배 녹차품종의 polymorphism 패턴을 분석하여 지역 재배 녹차의 품종을 구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을 시도하였다. 우선 분석을 위한 재료로 하동지역에서 재배녹차 2품종을, 보성지역에서 재배녹차 1품종을 채집하여 사용하였고, 비교를 위해서 하동지역에서 가장 오래되었다는 하동 천년녹차, 시배지녹차를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확립되어진 STS-RFLP법을 이용하여 각 지역 녹차의 polymorphism 패턴을 확립함으로써, 지금까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은 지역 간 녹차의 품종을 구별하여 국내 녹차의 인증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S-RFLP법과 CAPS 마커를 사용한 프로토콜로 국내 녹차 재배 산업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나요? 이 연구에서는 STS-RFLP법을 이용하여 국내 지역 재배녹차의 품종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에서 재배되는 녹차를 인증하는 방법으로 CAPS 마커를 사용한 프로토콜을 제공하였다. 이는 일본과 중국의 대표적 품종과 구별될 수 있는 마커를 제공함과 동시에, 국내 지역의 품종간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이들 품종의 기원이 어디서부턴지 어떻게 진화의 과정을 거쳤는지를 밝히기는 본 연구만으로는 어렵다고 사료된다.
한국의 차는 주로 어디에서 재배되고 있나요? 한국의 차는 전라도, 경상도 그리고 제주도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전라남도 보성과 경상남도 하동의 지리산 부근의 차 재배면적이 가장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재배되고 있는 녹차의 명칭은 특정 품종 이름이 아닌 재배 지역의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녹차에서 clone 된 유전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지금까지 안토시아닌 생합성 경로인 페닐프로파노이드(Phenylpropanoid) 합성경로에 관련된 phenylalanine ammonia-lysate (PAL), chalcone synthase (CHS), dihydroflavonol 4-reductase (DRF) 등의 유전자가 녹차에서 clone되었고[5,8], 녹차의 분자마커로 이들 유전자를 이용한 CAPS 마커가 개발되어[3,4], Sequence Tagged Site-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STS-RFLP)법을 이용하여 일본에서 판매되는 46종의 녹차 브랜드의 polymorphism 패턴을 분석을 시도하였다[3,4]. 한국에 토종 야생 녹차가 존재하는지에 관한 논쟁의 여지는 있으나, 이전 연구를 통하여 우리들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지리산 근처(하동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야생차군집의 유전적 배경(genetic background)를 분석하여 야생녹차 군집과 재배녹차의 다양한 유전자 자원(genetic resources)을 비교분석 하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 K. H., E. J. Lee, A. Jo, J. C Kim, G. W. Cheng, H. S. Yoon, and G. T. Kim. 2010.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green teas by using molecular markers. Can. J. Plant Sci. 90, 293-298. 

  2. Choi, H. K. 2000. Tea breeding and cultivation in Korea. J. Korean Tea Soc. 6, 121-137. 

  3. Kaundun, S. S. and S. Matsumoto. 2003a. Identification of processed Japanese green tea based on polymorphisms generated by STS-RELP analysis. J. Agric. Food Chem. 51, 1765-1770. 

  4. Kaundun, S. S. and S. Matsumoto. 2003b. Development of CAPS markers based on three key genes of the phenylpropa- noid pathway in Tea,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and differentiation between assamica and sinensis varieties. Theor. Appl. Genet. 106, 375-383. 

  5. Matsumoto, S., A. Takeuchi, M. Hayatsu, and S. Kondo. 1994. Molecular cloning of phenylalanine ammonia-lyase cDNA and classification of varieties and cultivars of tea plants (Camellia sinensis) using a tea pal cDNA probe. Theor. Appl. Genet. 89, 671-675. 

  6. Matsumoto, S., Y. Kiriiwa, and Y. Takeda. 2002. Differentiation of Japanese green tea cultivars as revealed by RFLP analysis of phenylalanine ammonia-lyase DNA. Theor. Appl. Genet. 104, 998-1002. 

  7. Siddiqui, I. A., V. M. Adhami, M. Saleem, and H. Mukhtar. 2006. Beneficial effects of tea and its polyphenols against prostate cancer. Mol. Nutr. Food Res. 50, 130-143. 

  8. Takeuchi, A., S. Matsumoto, and M. Hayatsu. 1994. Chalcone synthase from Camellia sinensis: isolation of the cDNA and the organ-specific and sugar-responsive expression of the genes. Plant Cell Physiol. 35: 1011-1018. 

  9. Yamaguchi, S., S. Matsumoto, and J. Tanaka. 1999. Genetic dispersal of tea plant. pp. 413-426, In Jain, N. K. (ed.), Global advances in tea science. Aravali Books International, New Delhi, Indi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