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순환운동과 전통적 운동이 만성 뇌졸중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ircuit Exercise and Conventional Exercise on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5 no.2, 2010년, pp.193 - 201  

송우석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물리치료실) ,  박민철 (부산대학교병원 물리치료실) ,  심제명 (김해대학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chieved to search the effect of the circuit exercise and conventional exercise on walking ability(walking speed, endurance, dynamic balance, speed, endurance and pedestrian crossing) in chronic stroke. Methods : Since is diagnosed by stroke, to 30 chronic stroke patients who 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실제 횡단보도 횡단이나 집밖에서의 이동시 실내 측정보다 더 많은 숫자가 시간 안에 이동하지 못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횡단보도의 이동에 어려움이 있는 뇌졸중 후 1년 이상이 경과한 만성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기능적인 보행에 초점을 두고 하지의 점진적 보행운동과 신장 및 근력강화 운동을 강조한 순환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 그러나 실제 횡단보도에서는 도로의 사정, 보행자 수, 날씨, 기온 등의 여러 가지 변수로 인하여 많은 만성 뇌졸중 환자들이 보호자와 함께 이동하고 있으며, 실내에서의 횡단보도를 건너는 시간을 측정한 연구는 있으나(이형국, 2003), 실제 횡단보도의 횡단시간을 측정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순환운동과 전통적 운동을 통해 보행기능의 변화와 이를 통한 실제 횡단보도 이동성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순환 운동은 무엇인가? Carr와 Shepherd(2003)는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 수행력 저하를 개선시키기 위한 운동 방법 중 여러 명의 환자들이 여러 가지로 구성된 각각의 치료 과정을 순환하여 수행하며 타인의 기능 수행을 관찰하기도 하며 경쟁심과 협력적인 부분을 얻을 수 있고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순환 운동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순환 운동은 치료사가 한명 또는 다수의 환자들에 대한 치료 과정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뇌졸중 후에 다양한 측면에서 장애와 후유증을 남기는데 이 중에서 보행기능 장애가 개인의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행을 힘들게 하는 요인인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장애들 중에서 운동기능 장애의 하나인 보행기능 장애는 개인의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행을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 뇌졸중 발병 후 치료 시 환자나 가족 및 치료사에게 있어 보행기능의 회복 정도는 매우 관심 있는 부분이며 뇌졸중 후 보행기능의 손상은 대단히 큰 기능 장애의 원인이 된다. 독립적 보행 기능은 개인에게 이동 및 접근에 있어 중요한 부분으로 이동 및 접근은 단지 자신이 가고자 하는 곳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고자 하는 욕구에 한정되는 것뿐만 아니라 인간으로서 생존하고 사회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기본이 된다. 만약 이동이 어렵다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과 다양한 활동영역에 있어서도 근본적인 배제와 관계의 단절을 경험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이형국, 2003). 그러므로 보행기능의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은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며, 기능적 독립성을 이루는 데 중요한 항목이기 때문에(Turnbull, 1995)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 보행 기능의 회복이 종종 최고의 목표가 된다(Bohannon 등, 1991).
뇌졸중 환자가 녹색신호와 녹색점멸신호 시간 안에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통과하기 어려운 상황인 이유는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가 퇴원 후 독립적으로 교통수단 이용과 집밖의 편의 시설을 이용하기 위한 도로 등의 이동에서 환자의 74% 이상이 보호자의 감독이나 최소한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하였고(민들레, 2002), 다른 연구에서는 뇌졸중 후 퇴원환자의 7%만이 도로를 안전하게 건널 수 있는 연속 보행 능력을 갖는 사회적 보행 기준을 만족시킨다고 하였다(Hill 등, 1994). 현재 우리나라의 횡단보도 통과 시 보행자에게 주어지는 통행시간은 녹색신호 시간은 10초가 한계 값으로 5초 미만일 때에는 5초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후의 녹색점멸신호 시간은 1m당 1초의 시간이 주어지는데 이것은 정상인 가운데 느리게 걷는 사람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도로교통안전협회, 1997), 실제로 뇌졸중 환자는 이것보다 훨씬 느린 보행속도를 가지므로 녹색신호와 녹색점멸신호 시간 안에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통과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형국(2003)의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현재 가장 많은 왕복 2, 4, 6차선 도로의 횡단보도 거리를 실내에서 걷는 것을 측정한 결과, 높은 비율로 시간 안에 횡단하지 못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건설교통부. 도로용량편람. 2001. 

  2. 김수민. PNF와 순환운동의 집단훈련이 재가 뇌졸중 장애인의 운동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3. 도로교통안전협회. 전자교통신호 실무지침서. 1997. 

  4. 민들레. 뇌졸중 환자의 퇴원 후 재활치료 현황 및 요구도 조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정책 및 관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2. 

  5. 이승주. 뇌졸중환자의 물리치료 양상 및 기능변화에 관한 추적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998;10(2): 41-55. 

  6. 이형국. 뇌졸중환자의 이동.접근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 최금숙, 김선희, 손진철 등. 뇌졸중의 재활치료에 대한 고찰.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1999;6(1): 19-27. 

  8. Bohannon RW, Horton MG, Wikholm JB. Important of four variables of walking to patients with stroke. Int J Rehabil Res. 1991;14:246-50. 

  9. Dean CM, Richards C., Malouin F.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radomized, controlled pilot tial.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09-17. 

  10.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Walking speed over 10 meters overestimates locomotor capacity after stroke. Clin Rehabil. 2001;15:415-21. 

  11. Duncan P, Richards L, WalLace D. A randomized control pilot study of a home-based exercise program for individual with mild and moderate stroke. Stroke. 1998;29:2055-60. 

  12. Eng JJ, Chu KS, Kim CM et al. A communitybased group exercise program for persons with chronic stroke. Med Sci Sports Exerc. 2003;35: 1271-8. 

  13. Enright PL, Sherril DL, Reference equations for the six-minute walk in healthy adults.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8;158:1384-7. 

  14. Hill KD, Goldie PA, Baker PA. Retest reliability of the temporal and distance characteristics of hemiplegic gait using a foot switch system. Arch Phys Med Rehabil. 1994;75(5):577-83. 

  15. Perry J.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New York. McGraw-Hill Inc. 1992. 

  16. Podsialo D, Richadson S. The timed "up and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AGS. 1991;39:142-8. 

  17. Sabari JS. Motor control: motor recovery after stroke in: Deusen JV & Brunt D. Assessment in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cal. W.B. Saunders Company, USA, 1997. 

  18. Turnbull GI, harteria J, Wall JC. A comparison of the range of walking speeds between normal and hemiplegic subjects. Scand J Rehabilitation Medicine. 1995;27:175-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