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급식 수혜자의 가정에서 배달 도시락 취급 및 섭취 실태와 가정배달 급식서비스에 대한 인식
Clients' Handling and Consumption of Home-delivered Meals at Home and Their Perceptions on Home-Delivered Meal Services for Older Adul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5 no.3, 2010년, pp.379 - 392  

박정연 (연세대학교 식품영양과학연구소) ,  이경은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 ,  이나영 (연세대학교 식품영양과학연구소) ,  곽동경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recipients' handling and consumption of home-delivered meals at home and to assess their perceptions on home-delivered meal services for older adults. A total of 312 elderly people who received home-delivered foodservice were surveyed using an individ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면역력이 저하된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며, 생산과 섭취가 분리되는 특징을 갖는 가정배달급식은 생산과 배달과정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수혜자들의 잘못된 음식 취급이 식품 안전에 위해요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배달 노인급식 수혜노인의 가정 내에서 배달도시락의 취급과 섭취 실태를 조사하여 잠재된 위험 요인을 규명하고, 배달급식 서비스에 대한 수혜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개선점을 규명해 보고자 실시되었다.
  • 미국의 경우에도 노인청(Administration on Aging)을 통해 경로식당급식과 가정배달급식 프로그램 및 기타 영양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데, 지난 2008 회계연도에만 경로식당서비스(congregate meal service)와 가정배달급식서비스 프로그램(Meals on Wheel)에 각각 1,600,000명과 909,913명의 노인들이 참여하였다. 이들 서비스는 노인들의 결식을 줄이고 안정적으로 식품을 제공하며, 사회적 접촉을 촉진하고, 영양과 기타 질병 예방 및 건강증진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통해 건강과 복지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dministration on Aging 2010).
  •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노인급식 참여 노인의 영양과 건강상태, 무료급식서비스의 현황 조사 및 영양소 분석, 고객만족도 조사 등이 주로 연구되어 왔고(Chae 등 2000; Park 등 2001; Jung 등 2003; Suh 등 2003; Yang 등 2003; Suh 등 2004; Chang 2008), 가정배달 노인급식의 위생관리에 대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왔다(Lee 등 2009; Yi 등 2009).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배달 노인급식 수혜자들의 가정에서 배달된 도시락의 보관 및 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배달 급식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인구의 증가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9%에 비해 크게 높아졌고, 이 비율은 2026년이 되면 20%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06; Statistics Korea 2009a). 노인인구의 증가는 가정 내 노인부양의 부담 증가를 넘어서 국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체 인구의 약 11% 정도인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의료비 비율은 2008년 기준으로 전체 의료비의 30%를 차지하고(Statistics Korea 2009b), 노인복지관련 예산도 꾸준히 증가하면서 2009년 복지부예산대비 16%를 차지하였다(Statistics Korea 2009c).
2009년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얼마인가? 우리나라 총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9년 10.7%로 1999년 6.9%에 비해 크게 높아졌고, 이 비율은 2026년이 되면 20%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06; Statistics Korea 2009a).
노인인구를 위해 보건복지가족부가 노력하는 것은 무엇인가? 보건복지가족부는(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결식우려 노인을 위한 무료급식 지원’ 정책을 통해 가정형편이 어렵거나 부득이한 사정으로 식사를 거를 우려가 있는 노인들(기초수급대상자 노인 및 차상위계층 노인, 저소득 독거노인)에게 무료로 식사를 제공하고, 일정한 경제적 능력을 갖춘 노인들에게는 실비로 식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무료급식은 노인복지회관, 종합사회복지관, 재가노인복지시설 등 비영리 단체에 위탁하여 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무료급식프로그램은 크게 경로식당급식과 거동불편 재가노인을 위한 가정배달급식으로 구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dministration on Aging (2010): AOA Programs. Available from http://www.aoa.gov/AoARoot/AoA_Programs/index.aspx [cited 2010 May 12] 

  2. Ahn SY (2007): ADL, IADL, and cognition of elders living Alone. J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9(1): 68-75 

  3. Almanza, BA, Namkung Y, Ismail, JA, Nelson DC (2007): Clients' safe food-handling knowledge and risk behavior in a home-delivered meal program. J Am Diet Assoc 107(4): 816-821 

  4. Altekruse SF, Street DA, Fein SB, Levy AS (1996): Consumer knowledge of foodborne microbial hazards and food-handling practices. J Food Protection 59: 287-294 

  5. Asp E, Darling M (1988): Home-delivered meals: Food quality, nutrient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recipients. J Am Diet Assoc 88: 55-59 

  6. Chae IS, Yang IS, Lee HY, Park MK (2000): Evaluation of home delivered meals service program for home bound elderly with low income class. J Korean Diet Assoc 6(2): 57-70 

  7. Chang HJ (2008):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foodservice through identifying the foodservice quality factors in senior care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13(1): 69-79 

  8. Chung EJ, Shim E (2007):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s who participated in MOW and free congregate meal serv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1): 1399-1408 

  9. Evaluation Report III (2004): Contribution of the title III nutrition Programs to participants' 24-hour dietary intake and social contacts. Available from www.aoa.gov/prof/aoaprog/nutrition/program_eval/er_vol1ch3.asp [cited 2010 May 2] 

  10. Fey-Yensan N, English C, Ash S, Wallace C, Museler H (2001): Food safety risk identified in a population of elderly home-delivered meal participants. J Am Diet Assoc 101(9): 1055-1057 

  11. Fogler-Levitt E, Lau D, Csima A, Krondl M, Coleman P (1995): Utilization of home-delivered meals by recipients 75 years of age or oder. J Am Diet Assoc 95(5): 552-557 

  12. Gerba CP, Roes JB, Haas CN (1996): Sensitive populations: Who is at the greatest risk? Int J Food Microbiology 30: 113-123 

  13. Gettings MA, Kiernan NE (2001): Practices and perceptions of food safety among seniors who prepare meals at home. J Nut Edu 33: 148-154 

  14. Han KH, Choi MS, Park JS (2004): Psycho-social, nutritional status and meal service utility patterns by living arrangements of the elderly participated in meal service. Korean J Community Nutr 9(5): 15-628 

  15. Jung HY, Yang IS, Lee HY, Chae IS (2003): Analyzing the current congregate meal service program for homebound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8(6): 919-926 

  16. Jung HY (2002): Assessing the home-bound elderly foodservice program in developing Infra for the health promotion. MS thesis, Yonsei University, pp. 58-61 

  17. Jung SD, Han KH, Choi MS, Park JS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motional factors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meal service participant elderly. J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2(1): 227-240 

  18. Katz S. Ford AB. Moskositz RW. Jackson BA. Jaffe MW (1963): Studies of illness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s. J Am Medi Asso 185: 914-919 

  19. Keller HH (2006): Meal program improve nutritional risk: A longitudinal analysis of community-living seniors. J Am Diet Assoc 106(7): 1042-1048 

  20. Kim EH, Lee JW (2009):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ho visited a senior center: with activity of daily living,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J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9(2): 1225-1356 

  21. Knabel SJ (1995): Foodborne illness: Role of home food handling practices. Food Technology 9: 119-131 

  22. Kwak TK, Lyu ES, Lee HS, Ryu K, Choi SK, Hong WS, Jang MR, Shin ES, Moon HK, Jang HJ, Park SJ, Choi EH, Lee KE (2008): Institutional foodservice operations. Shinkwang Publisher, Seoul, pp. 185-188 

  23. Lau D, Coleman P, Krondl M (1994): Delayed consumption patterns of home-delivered meals by elderly recipients 75+ years. J Am Diet Assoc 94(Suppl): A61 

  24. Lawton MP, Brody EM (1969):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Gerontologist 9: 179-186 

  25. Lee KE, Hong WS, Choi EH, Jung SY, Yoo CH, Yang JW (2008): Development of a foodservice manual for improving senior foodservice.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26. Lee KE, Yi NY, Park JY (2009): Food safety knowledge and home food safety practices of home-delivered meal service recip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5): 618-625 

  27. Lee MS (2003): Factors influencing health care needs of solitude elderly. J Korean Academy Nursing 33(6): 812-819 

  28. Mathieu J (2002): Food safety and home delivery. J Am Diet Assoc 102(1): 1744-1746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2010 Senior welfare service programs. Available from http://www.mw.go.kr [cited 2010 May 12] 

  30. Namkung Y, Isamail JA, Almanza BA, Nelson DC (2007): Mitigating the risk of food handling in the home-delivered meal program. J Am Diet Assoc 107(2): 316-320 

  31. Park JS, Han KH, Choi MS, Chung SD, Chai IS (2001):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free meal service centers and cooperation with community. Korean J Community Nutr 6(3): 552-564 

  32. Prier R, Solnick JV (2000): Foodborne and waterborne infectious diseases. Postgraduate Med 107: 245-252 

  33. Shovic A, Geoghegan P (1997): Assessment of meal portion. food temperature, and select nutrient content of the Hawaii meals on wheels program. J Am Diet Assoc 97(5): 530-532 

  34. Son SM, Park YJ, Koo JO, Mo SM, Yoon HY, Sung CJ (1996):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 income, urban area and improving effect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1(1): 79-88 

  35. Spangler AA (1998): Nutrition risk potential and needs of older African-American and white congregate and home delivered meal participants. J Am Diet Assoc 98(Suppl): A63 

  36. Statistics Korea (2006): Population project. Available from http://www.kosis.kr/domestic/theme/do01_index.jsp [cited 2010 May 5] 

  37. Statistics Korea (2008): Difficulties of the elderly. Available from http://ups.kosis. kr/upload/Magazine/NEW/KN/011201.xls [cited 2010 May 12] 

  38. Statistics Korea (2009a): Medical expenses of persons aged 65 years and over. Available from http://ups.kosis.kr/upload/Magazine/NEW/KP/KS0627.xls [cited 2010 May 10] 

  39. Statistics Korea (2009b): Population and Household. Available from http://ups.kosis. kr/upload/Magazine/NEW/DT/DT2503.pdf [cited 2010 May 5] 

  40. Statistics Korea (2009c): 2009 Older adults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board_notice/BoardAction.do?methodview&board_id78&seq666&num666&catgrpnso2009&catid1k04_0000&catid2k04b_0000&catid3k04b [cited 2010 May 6] 

  41. Suh HJ, H MJ, Jang YA, Kim BH, Lee HS, Kim CI (2003): Satisfaction measurement and needs analysis of the beneficiaries of the elderly meal service program. J Korean Diet Assoc 9(2): 114-127 

  42. Suh HJ, Lee Y, Jang YA, Kim BH, Lee HS, Kim CI (2004):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of congregate meal service program for the elderly at community centers. J Korean Diet Assoc 10(3): 333-344 

  43.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Administration on Aging (2003): Elderly nutrition program: Fact sheet. Available from www.aoa. gov [cited 2010 May 8] 

  44.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Public Health Service (2007): FDA 2007 Food Code. Available from: http://www.fda.gov [cited 2010 April 30] 

  45. Valias LI, Nitzke SA, Becker M, Gast J (1998): Risk indicators for malnutrition are associated inversely with quality of life for participants in meals programs for older adults. J Am Diet Assoc 98(5): 548-553 

  46. Yang IS, Chae IS, Lee JM (1998): Foodservice management systems of home - Delivered meal service program for home - Bound elderly. Korean J Nutr 31(9): 1498-1507 

  47. Yang IS, Jung HY, Lee HY, Chae IS (2003): Analyzing the current practice of the home-delivered meal(HDM) service program for homebound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8(5): 736-743 

  48. Yi NY, Lee KE, Park SY (2009): Evaluation of foodservice workers'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at senior welfare center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6): 677-6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