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중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이해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Earth Systems to Implement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Effectively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7, 2011년, pp.798 - 808  

이효녕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과학과 중학교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중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기초적인 인식을 조사하였다. 1219명의 학생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했으며 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지구계와 관련된 23개의 개념(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과 중요성을 조사하였다. 지구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결과를 살펴보면 약 67%의 학생들이 지구계에 대한 용어에 대해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지구계의 구성요소 중에서는 대기권과 수권을 가장 잘 인식하고 있었으며, 빙권에 대해서는 지구계의 구성요소로서 낮은 이해 수준을 보였다. 23개 지구계 관련개념(내용)에서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ESU#4, 5, 6에 관련된 주요 개념에서 남학생들이 이해 수준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학년별로는 23개 중에 10개의 개념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 차이를 나타냈다. 교육과정의 실행과 학교 현장을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earth systems in order to implement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effectively. A total of 1219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asked to determine their basic understandings about earth system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정된 과학과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지구계에 대한 중학생들의 기초적인 인식에 대한 연구부터 조사를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교과서 집필, 교수학습의 방향 설정,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교수 자료 개발 등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구계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두 가지 설정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영역이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지구계에 관한 중학생들의 기초적인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구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지구계와 관련된 개념의 이해 정도, 중요성의 인식 정도를 성별과 학년별로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계에 대한 내용이 학교 현장에서 다루어지기 시작한 시기는? 우리나라에서는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부터 ‘지구계’에 대한 내용이 등장하여 학교 현장에서 다루어지기 시작했다. 이 교육과정에서는 ‘지구과학’이 과학 기술, 정보 사회의 시민으로서 ‘지구과학적 소양’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과목이라고 기술하였으며, 지구 과학 I 교과에서는 지구환경, 물질과 에너지의 순환과 그 구성요소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교육인적자원부, 2000).
교육과정의 지구과학이 이전의 중학교 교육과정과 크게 다른 점은 무엇이 있나? 2011년 8월에 교육과학기술부가 개정 고시한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구과학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이전의 중학교 교육과정과 크게 다른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지구계’가 지구과학 내용을 다루는 개념적인 초점으로서 적용되고 있으며, 지구계의 구성 요소인 지권, 수권, 기권, 외권 등이 단원명으로 사용되었다. 중학교에서 다루게 될 지구와 우주과학에 관련된 내용을 지구계라는 통합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개정된 교육 과정에서는 지구계를 구성하는 각 권의 상호작용, 물질과 에너지의 순환 등을 이해하여 지구 환경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연관되어 있고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지구와 우주에 관한 현상들을 시스템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인간 활동이 지구계에 미치는 영향(예, 우주 개발 등)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a, 2011b).
개정된 교육 과정의 지구과학에서 강조되는 내용은? 중학교에서 다루게 될 지구와 우주과학에 관련된 내용을 지구계라는 통합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개정된 교육 과정에서는 지구계를 구성하는 각 권의 상호작용, 물질과 에너지의 순환 등을 이해하여 지구 환경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연관되어 있고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지구와 우주에 관한 현상들을 시스템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인간 활동이 지구계에 미치는 영향(예, 우주 개발 등)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a, 2011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김찬종, 구자옥, 김경진, 김상달, 김종희, 김희수, 명전옥, 박영신, 박정웅, 신동희, 신명경, 오필석, 이기영, 이양락, 이은아, 이효녕, 정진우, 정철, 최승언, 2008, 지구과학교재 연구 및 지도. 자유아카데미, 서울, 542 p. 

  2. 김윤지, 정진우, 2009, 지구계 교육과 소재로서 순환에 대한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951-962. 

  3. 김윤지, 정진우, 위수민, 2009,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지구계 순환의 구성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963-977. 

  4. 교육과학기술부, 2011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총론. 교육인적자원부, 서울, 25 p. 

  5. 교육과학기술부, 2011b,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서울, 267 p. 

  6. 교육인적자원부, 2000,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과학. 교육인적자원부, 서울, 244 p. 

  7. 고수진, 2009,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이해.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p. 

  8. 신동희, 이양락, 이기영, 이은아, 이규석, 2005, 지구환경을 고려한 미래 지향적 지구과학교육과정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239-259. 

  9. 오현석, 김제홍, 유은정, 김찬종, 2009, 지구계 수업 모듈중 그리기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인지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0, 96-100. 

  10. 오현석, 김찬종, 2010, 단어와 그림으로 표현된 8학년 학생들의 '지구'에 대한 심상에서 나타난 지구계 이해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1, 71-87. 

  11. 이동은, 정진우, 김윤지, 2008, 고등학생들의 물순환 과정과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24-31. 

  12. 이정아, 맹승호, 김찬종, 2007, 지구계 교육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과 지향: 사례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8, 705-717. 

  13. 이효녕, 권영륜, 2008, 지구계 주제 중심의 지구과학 모듈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9, 175-188. 

  14. 이효녕, 김승환, 2009, 최신지구과학실험서. 경북대학교 출판부, 대구, 190 p. 

  15. 이효녕, Fortner, R.W., Mayer, V.J., 2004, 지구시스템교육: 한국의 통합 과학교육과정 구성. 중등교육연구, 52, 397-426. 

  16. 임은경, 홍상욱, 정진우, 2000, 지구계 교육의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1, 93-102. 

  17. 정진우, 김윤지, 2008, 물의 순환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지구 시스템적 인식. 초등과학교육, 27, 319-327. 

  18. 정진우, 김윤지, 정구송, 2007, 물의 순환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8, 699-706. 

  19. 조규성, 이광호, 장지영, 강현아, 2006, 10학년 '과학' 수업에서 지구계 교육 프로그램 적용 방안 및 학생 반응: 화산 폭발과 기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7, 251-259. 

  20. Mayer, V.J., 남정희, 이효녕, 2007, 통합과학의 이해: 지구 시스템적 접근. 자유아카데미, 서울, 268 p. 

  21.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2003, Earth system evolution teacher edition: Earth System Science in the community.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Washington D.C., USA, 674 p. 

  22.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2005, Earth System Science in the Community (EarthComm) (5 Unit Edition). It's About Time, NY, USA, 189 p. 

  23. Ben-zvi-Assaraf, O. and Orion, N., 2005a, A study of junior high students' perceptions of the water cycle.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 366-373. 

  24. Ben-zvi-Assaraf, O. and Orion, N., 2005b,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518-560. 

  25. Ben-zvi-Assaraf, O. and Orion, N., 2010, Four case studies, six years later: Developing system thinking skills in junior high school and sustaining them over tim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 1253-1280. 

  26. Earth System Sciences Committee, 1988, Earth system science: A closer view.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USA, 208 p. 

  27. Fortner, R.W. and Meyer, R., 1996, Climate and water interactions: A book of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series of Earth systems education activities for Great Lakes schools (ES-EAGLS). Ohio Sea Grant,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96 p. 

  28. Fortner, R.W., Meyer, R., and Sheaffer, A., 1996, Land and water interactions: A book of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series of Earth systems education activities for Great Lakes schools (ES-EAGLS). Ohio Sea Grant,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95 p. 

  29. Fortner, R.W. and Miller, H., 1997, Life in the Great Lakes: A book of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series of Earth systems education activities for Great Lakes schools (ES-EAGLS). Ohio Sea Grant,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120 p. 

  30. Fortner, R.W., Miller, H., and Sheaffer, A., 1995, Great Lakes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changing earth system. Ohio Sea Grant,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300 p. 

  31. Fortner, R.W., Sheaffer, A., and Miller, H., 1997a, Environmental issues in the Great Lakes: A book of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series of Earth systems education activities for Great Lakes schools (ESEAGLS). Ohio Sea Grant,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180 p. 

  32. Fortner, R.W., Sheaffer, A., and Miller, H., 1997b, Shipping on the Great Lakes: A book of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series of Earth systems education activities for Great Lakes schools (ES-EAGLS). Ohio Sea Grant,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86 p. 

  33. Hlawatsch, S., Bayrhuber, H., Euler, M., Hansen, K.H., Hildebrandt, K., Hoffmann, L., Lucius, E.R., Siemer, F., and Hassenpflug, W., 2003, Earth System Education in Germany. In Mayer, V.J. (ed.),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Earth Systems Education Program,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155-156. 

  34. Jax, D.W., 1995, A case study of the initiation and implementation of an innovative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for grades nine and ten.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340 p. 

  35. Lee, H., 2002, A case study of science curriculum integration: Earth systems approa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314 p. 

  36. Lee, H., 2010,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n exemplary science teacher's Earth Systems Education experience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 500-520. 

  37. Mayer, V.J., 1991a, Earth-system science: A planetary perspective. The Science Teacher, 58, 31-36 

  38. Mayer, V.J., 1991b, Framework for Earth systems education. Science Activities, 28, 8-9. 

  39. Mayer, V.J. (ed.), 2002, Global science literacy.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Netherlands, 260 p. 

  40. Mayer, V.J. and Fortner, R.W. (eds.), 1995, Science is a study of Earth: A resource guide for science curriculum restructure.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246 p. 

  41. Park, D., Yager, R., and Smith, M., 2004, Implementing EarthComm: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ts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scores in a standardsbased earth science curriculum.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http://unr.edu/homepage/jcannon/ejse/ejse.html (2011, October) 

  42. Park, D., 2001, A Study of Earth System Science in the Community (EarthComm) in Terms of Its Congruency with the Visions in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nd Its Effectiveness in Improving Student Learning.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Iowa, Iowa, USA, 154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