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리효과성 평가 적용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MEE) in Protected Areas for Forest Genetic Resources 원문보기

Journal of forest science, v.27 no.3, 2011년, pp.205 - 210  

류광수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최재용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신현탁 (국립수목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ssess MEE(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s) on PAs(protected areas) for forest genetic resourc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then to suggest better ways to manage PAs for forest genetic resources. This study applies same indicators of the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CBD 등에서 요구하고 있는 보호 지역에 대한 관리효과성 평가 확대와 관련하여 국내 산림보호지역의 관리효과성 평가체계 개발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처음으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대상으로 관리 효과성 평가를 실시하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리상태를 진단하고 관리개선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 그러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그 오랜 역사와 광범위한 지정 면적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보호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체계가 미흡하다고 지적되었다(산림청, 2006; 2007). 본 연구는 보호지역 관리와 관련된 국제적 요구사항에 부응하면서 국내 산림보호지역 중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체계 개선을 위하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관리효과성 평가를 적용하였다. 이는 향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호지역이란? 보호지역은 생물다양성의 중요한 현지 내 보전수단이다.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에서는 생물다양성의 구성요소인 생태계, 종(種) 및 유전자의 다양성 보전을 위하여 특히 중요한 지역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그 면적을 확대해 나갈 것을 각 당사국에 요구하면서 지정된 보호지역에 대해서는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관리를 강화하도록 하고 있다.
보호지역 관리효과성 평가란? 보호지역 관리효과성 평가(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MEE)는 “보호지역이 얼마나 잘 관리되는가?”에 대한 평가이다. MEE는 개별 보호지역과 보호지역체계의 설계 이슈(design issues), 관리체계와 관리절차의 적절성과 타당성(adequacy/ appropriateness), 가치보전을 포함한 보호지역 목표의 성취(delivery) 등의 3가지 주제를 반영하고 있다(Hockings et al.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세계보호지역 위원회가 MEE 기본 틀로 평가대상을 6개의 관리 분야로 나누어 분야별로 제시한 평가기준은? , 2006). ① 상황(현재 상태는 어떠한가?: 중요성/가치, 위협, 취약, 이해관계자, 국가적 상황) ② 계획(원하는 상태는 무엇인가? 어떻게 이룰 것인가?: 보호지역 법률・정책, 보호지역 설계, 관리계획) ③ 투입(무엇이 필요한가?: 기관 및 보호지역의 가용자원) ④ 과정(어떻게 관리해 나가고 있는가?: 관리과정의 적절성) ⑤ 산출(어떤 결과가 나왔나?: 관리활동 결과, 서비스 및 산출물) ⑥ 성과(무엇을 성취하였는가?: 목적과 관련된 관리효과) 등이다. MEE를 수행하고 있는 국가의 대다수가 WCPA에서 제시한 평가방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다만, 보호지역이 서로 다르고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평가 틀은 획일적 평가방법은 아니다. (환경부 외,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산림청. 2006. 산림유전자원보호림의 보전.관리방안에 관한 연구(1). 산림청. 

  2. 산림청. 2007. 산림유전자원보호림의 보전.관리방안에 관한 연구(2). 산림청. 

  3. 환경부, 2006. 선진외국의 보호지역 관리기법 연구. 

  4. 환경부, 국립공원, 제주도특별자치도, IUCN. 2009. 한국의 보호지역 (보호지역 시스템에 대한 효과성 평가). 환경부. 

  5. Heo, H.Y.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of management effectiveness for adaptive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6. Hockings, M., Stolton, S., Leverington, F., Dudley, N., Courran, J. 2006. Evaluating effectiveness: A framework for assesing management effectiveness of protected areas. In: Best Practice Protected Area Guideliens Series 14 (2nd edition). Gland, Cambridge: IUCN. 

  7. Leverington, F., Hockings, M., Pavese, H., and Costa, K. 2008a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in protected areas: Report for the project 'Global study into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of protected area'. IUCN. 

  8. Leverington, F., Hockings, M., Pavese, H., Costa, K. L., and Courrau, J. 2008b.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in protected areas- A global study. supplementary report No. 1: Overview of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IUCN. 

  9. Leverington, F., Costa, K., Courrau, J., Pavese, H., Nolte, C., Marr, M., Coad, L., Burgess, N., Bomhard, B., Hockings, M.(2010)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in protected areas-a global study. Second edition 2010.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TNC, WWF, IUCN, WCPA, Brisbane Australia. 

  10. Ryu, K.S., Choi, J.Y., Lee, G.Y. 2011.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MEE) indicators development in protected forest areas.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4(1): 105-119. 

  11. UNEP. 2010. Report of the ten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12. WWF. 2004. Are protected areas working? An alalysis of forest protected areas by WWF. Gland: WWF Internationa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