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과 인증평가에 따른 간호교육의 질 향상 및 질 확보 노력에 대한 교수 인식
Faculty Perceptions of the Improvement and Effort for the Achievement of Quality in Nursing Education through Accreditation in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13 no.2, 2011년, pp.59 - 68  

김건희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faculty perceptions of the improvement and effort for achievement of the quality of nursing education through accreditation in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in 2006. Survey data from 190 professors of 33 accredited nursing school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v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2006년 간평원에 의해 실시된 간호학 분야 인증평가, 인증평가에 따른 간호교육의 질 향상 및 교육의 질 확보에 대한 4년제 간호학과 교수의 인식 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6년 시행된 간호학분야 인증평가, 인증평가에 따른 간호교육의 질 향상 및 질 확보 노력에 대한 교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이에 인증평가의 핵심이 교육기관의 자체 점검을 통한 개선, 나아가 교육의 질 향상에 있다고 할 때, 간호교육의 핵심이자 인증평가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간호학과 교수의 인증평가, 인증평가에 따른 간호교육의 질 향상 및 질 확보 노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타당한 평가기준 개발 및 간호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전문분야의 인증평가는 해당분야의 교육기관이 전문가 집단에 의해 사전 합의된 준거에 부합하거나 도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증평가의 시행 목적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1주기 간호학 분야 인증평가가 간호교육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인증평가의 주요 역할자인 교수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 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Y.H., Park, K.S., Yang, S.O., Shin, K.R., & Kim, M.J.(2005). Development of standards and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program. J Educ Eval Health Prof, 2(1), 87-103. 

  2. Ball, C.(1985). What the hell is quality? In C. Ball (Ed.), Fitness for purpose: essays in higher education. Guilford: The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 NFER-Nelson. 

  3. Beason, C.F.(2005). A new role in accreditation activities offers expanded horizons for registered nurses. J Prof Nurs, 21(3), 191-196. 

  4. Braithwaite, J., Westbrook, J., Pawsey, M., Greenfield, D., Naylor, J., Iedema, R., Runciman, B., Redman, S., Jorm, C., Robinson, M., Nathan, S., & Gibberd, R.(2006). A prospective, multi-method, multi-disciplinary, multi-level, collaborative, social-organisational design for researching health sector accreditation [LP0560737]. BMC Health Serv Res, 6, 113. 

  5. Chun, S.Y.(2000). The principles and suggestions to secure the stable funding for the national universities.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9(2), 27-53. 

  6. Commission on Collegiate Nursing Education(2009). Standards for accreditation of baccalaureate and graduate nursing programs. Retrieved from October 20, 2010, http://www.aacn.nche.edu/ccne-accreditation/standards09.pdf. 

  7. Council for Higher Education Accreditation(2000). About CHEA. Retrieved from April 30, 2011, http://chea.org /About/index.asp. 

  8. Head, R.B., & Johnson, M.S.(2011). Accreditation and its influence on institutional effectiveness. New Directions for Community Colleges, 2011(153), 37-52. 

  9. Hur, D.(2009). Case study with regard to ABEEK assessment process for program outcom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12(1), 57-63. 

  10. Hwang, Y.J.(2005). The analysis of evaluation criteria validity in the evaluation of teach.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18(1), 203-225. 

  11. Ju, J.H., Ki, J.H., & Lim, H.B.(2010). Effectiveness evalua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engineering education: perception of graduates form accreditated engineering program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s, 14(3), 55-78. 

  12. Kang, B.W., & Paek, J.H.(2005). A comparative analysis of accreditation system among Korea, USA, and UK.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15(2), 1-32. 

  13. Korean Accreditation Board on Nursing(2006). Manual and standards for accreditation of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in 2006.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n Nursing. 

  14.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1997). Manual for accreditation for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Seoul: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15. Kwak, J.(2010). A study on the accreditation standards validity of university evaluation: a case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3(4), 793-820. 

  16. Lee, M.S., & Yang, E.B.(1999).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and accreditation. Yonsei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1(1), 55-74. 

  17. Lee, J.W.(2010). Online support service quality, online learning acceptance, and student satisfaction.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3(4), 277-283. 

  18. Lee, S.T.(2004). A Study of Efficiency Strategy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t National Universities: Focused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9. Leterlier, M.F., & Carrasco, R.(2004). Higher education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in Chile: state-of-the-art and trends.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9(1), 119-124. 

  20. Mancuso, J.M.(2009). Perceptions of distance education among nursing faculty members in North America. Nurs Health Sci, 11(2), 194-205. 

  21. Matthiesen, V., & Wilhelm, C.(2006). Quality outcomes and program evaluation in nursing education: an overview of the journey. Qual Manag Health Care, 15(4), 279-284. 

  22. Park, J.S.(1999). A Study on the Processes of Policies, Systems and Curricular in Korean Nursing Education.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3. Park, J.W., & Baek, H.D.(2009). A study on including the ABEEK activities in the professor evalua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Education, 12(4), 93-101. 

  24. Shin, K.R., Ahn, Y.H., Park, K.S., & Suh, Y.O.(2001). A study of the standard evaluation of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J Korean Acad Nurs, 31(6), 1109- 1118. 

  25. Won, J.A.(2007). Changes in Teachers' Self-efficacy and Child Care Quality by Participation in Accreditation of Child Care Center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26. Yang, E.B.(2008). Analysis on the performance and tasks of accreditation system for medical colleges. J Korean Med Assoc, 51(6), 586-592. 

  27. Zungolo, E.(2004). Faculty preparation: is clinical specialization a benefit or a deterrent to quality nursing education? J Contin Educ Nurs, 35(1), 19-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