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익숙함을 이용한 다감각적 자극 프로그램의 효과: 시설 입소 치매 노인
Effects of Multisensory Stimulation Using Familiarity: Person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y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4, 2011년, pp.528 - 538  

홍손귀령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ltisensory stimulation (MSS) using familiarity on persons with dementia (PWDs) residing in nursing homes in Korea.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pre and posttests was used. Fifty one PWDs were included if they: 1) wer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모델에서는 이런 치매 노인이 보존하고 있는 능력을 익숙/친숙한 환경을 통해 자극하여 끌어내어 치매 노인의 남은 기능을 최대한으로 유지시키고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과 치매노인의 익숙함에 관한 이론 틀을 기본으로, 치매 노인이 익숙/친숙한 환경 안에서 익숙했던 활동, 친숙했던 물건, 냄새, 노래 등을 이용한 다감각적 자극 프로그램이 인지, 일상 생활동작, 악력, 우울, 그리고 배회와 공격/불안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치매노인 대상자가 치매에 걸리기 전에 주로 경험했던 한국형 주거 환경 내에서 익숙/친숙하게 경험했던 일상생활 도구의 사용, 물건의 사용, 냄새 등을 이용한 다감각적 자극 중재를 통해 장기 요양 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능력, 우울, 악력을 증진시키고, 배회와 불안/공격행동을 줄이기 위해 익숙/친숙함을 이용한 다감감적 자극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서울시 소재 일개 장기요양시설에서 연구목적에 맞는 치매노인을 실험군, 대조군으로 무작위로 할당하여 일주일에 2번씩, 매회 55분 동안의 프로그램을 10주 동안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 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익숙함을 이용한 다감각적 자극 프로그램이 인지, 일상생활동작능력, 악력, 우울, 배회, 불안/공격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 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4) 제4가설(익숙함을 이용한 다감각적 자극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점수가 낮을 것이다). 그룹별 차이분석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F = 0.
  • 넷째, 익숙함을 이용한 다감각적 자극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우울점수가 낮을 것이다.
  • 다섯째, 익숙함을 이용한 다감각적 자극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 군보다 배회점수가 낮을 것이다.
  • 둘째, 익숙함을 이용한 다감각적 자극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일상생활동작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셋째, 익숙함을 이용한 다감각적 자극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악력 정도가 높을 것이다.
  • 여섯째, 익숙함을 이용한 다감각적 자극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 군보다 불안/공격행동 점수가 낮을 것이다.
  • 첫째, 익숙함을 이용한 다감각적 자극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인지기능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감각자극이란 무엇인가? 다감각자극이란 시각, 청각, 촉각, 후각의 자극을 의미하며(Baker et al., 2001),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이 치매에 걸리기 전 주로 경험 했던 한국형 주거 환경 내에서 익숙/친숙하게 경험했던 일상생활 도구, 물건, 냄새 등을 이용하여,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 등의 자극을 의미한다.
2008년 시행된 치매 유병률 조사결과 전국의 65세 이상 노인 중 치매 유병률은 몇%인가? 2008년 시행되었던 치매 유병률 조사에서는 전국의 65세 이상 노인 중 치매의 유병률이 8.4% (Cho et al., 2008)로 높은 편이었으며, 2020년에는 23.
요양 시설 입소의 한계는 무엇인가? 치매가 진행될수록 친숙한 환경, 즉 친숙했던 가족, 음식, 활동 등이 더욱 더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요양 시설 입소는 그런 친숙한 환경으로부터 멀어지게 만든다. 친숙하지 않은 주거시설 환경, 새로운 음식형태, 가족이 아닌 새로운 간병인으로부터의 간호 등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의 시설 입소는 상당한 스트레스의 원인이 됨에도 불구하고 인지 기능이 떨어져 있는 치매 노인은 이런 스트레스를 정확히 표현할 수 없으며, 또한 시설 입소 노인의 약 70-80%가 치매와 관련된 행동(dementia-related behavior)을 보이고 있다(Margallo-Lana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exopoulos, G. S., Abrams, R. C., Young, R. C., & Shamoian, C. A. (1988).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 Biological Psychiatry, 23, 271-284. 

  2. Baker, R., Bell, S., Baker, E., Gibson, S., Holloway, J., Pearce, R., et al. (2001).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multi-sensory stimulation (MSS) for people with dementia. The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0, 81-96. 

  3. Cho, M. J., Kim, K. W., Kim, M. H., Kim, M. D., Kim, S. K., Kim, J. R., et al. (2008).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 Cooler, C. Y. (1997).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ign and symptoms of dementia: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treatment what aspects of behavioral disturbances are important of caregiver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8/S3, 465-468. 

  6. Han, L., Cole, M., Bellavance, F., McCusker, J., & Primeau, F. (2000). Tracking cognitive decline in Alzheimer's disease using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 meta-analysi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12, 231-247. doi:10.1017/S1041610200006359 

  7. Harrison, B., Son, G. R., Kim, J., & Whall, A. L. (2007). Preserved implicit memory in dementia: A potential model for care.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22, 286-293. doi:10.1177/1533317507303761 

  8. Hong, G. R., & Song, J. (2009). Relationship between familiar environment and wandering behavior among Korean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 1365-1373. doi:10.1111/j.1365-2702.2008.02566.x 

  9. Kaplan, S., & Kaplan, R. (1982). Cognition and environment: Functioning in an uncertain world. New York, NY: Praeger 

  10. Kim, J. S., & Jung, J. S. (2005). The effects of a folk play program on cognition, ADL, and problematic behavior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153-1162. 

  11. Kim, S. Y., Won, C. W., & Rho, Y. G. (2004).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Barthel ADL index. Journal of Korean Academic Family Medicine, 25, 534-541. 

  12. Kuller, R. (1988). Environmental activation of old persons suffering from senile dementia. In H. V. Hoogdalem, N. L. Prak, T. J. van der Voordt, & H. B. R. van Wegen (Eds.), Looking back to the future, Vol. II: Symposia and Papers/Symposiums et Communications (pp. 133-139). Delft University Press. 

  13. Lee, D. Y., Lee, K. U., Lee, J. H., Kim, K. W., Jhoo, J. H., Youn, J. C., et al. (2002). A normative study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 508-525. 

  14. Lee, Y. J., & Kim, S. M. (2004). The effect of horticultural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hand grip strength of institutionalized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6, 123-134. 

  15. Margallo-Lana, M., Swann A., O'Brien J., Fairbair, A., Reichelt, K., Potkins, D., et al. (2001). Prevalence and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behaviou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mongst dementia sufferers living in care environ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6, 39-44. doi:10.1002/1099-1166(200101)16:1 3.0.CO;2-F 

  16. Milev, R., Kellar, T., McLean, M., Mileva, V., Luthra, V., Thompson, S., et al. (2008). Multisensory stimulation for elderly with dementia: A 24-week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 Other Dementias, 23, 372-376. doi:10.1177/1533317508316681 

  17. Park, A. J. (2004). A study on development and e?ects of an activation program for use of senile dementia people's residual functions and reduction of their problematic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8. Park, M. W., Ha, J. C., Kim, H. G., Lee, S. Y., Cho, J. H., Kim, H. R., et al. (2009). 2008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19. Randolph, C., Tierney, M. C., & Chase, T. N. (1995). Implicit memory in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17, 343-351. 

  20. Roselli, F., Tartaglione, B., Federico, F., Lepore, V., Defazio, G., & Livrea, P. (2009). Rate of MMSE score change in Alzheimer's disease: Influence of education and vascular risk factors. Clinical Neurology and Neurosurgery, 111, 327-330. doi:10.1016/j.clineuro.2008.10.006 

  21. Schacter, D. L. (1994). Priming and multiple memory systems: Perceptual mechanisms of implicit memory. In D. L. Schacter & E. Tulving (Eds.), Memory systems (pp. 233-268). Cambridge, MA: MIT Press. 

  22. Son, G. R., & Kim, H. R. (2006). Culturally familiar environment among immigrant Korean elders.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An International Journal, 20, 159-171. 

  23. Son, G. R., Therrien, B., & Whall, A. (2002). Implicit memory and familiarity among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4, 263-267. doi:10.1111/j.1547-5069.2002.00263.x 

  24. Song, J. A., Hong, G. R., & Lim, Y. M. (2008). Validation of the Revised Algase Wandering Scale-Nursing Home Version (RAWS-NH) among Korean elders with dementia.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National Gerontological Nursing Association Annual Convention, Albuquerque, NM. 

  25. Song, J. H. (2009). Effects of a robot pet-assisted program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562-573. doi:10.4040/jkan.2009.39.4.562 

  26. Spaull, D., Leach, C., & Frampton, I. (1998). An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with people who have dementia. Behavio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26, 77-86. doi:10.1017/S1352465898000083 

  27. Suh, G. H. (2004). Agitated behaviours among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with dementia: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hen-Mansfield Agitation Inventor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9, 378-385. doi:10.1002/gps.1097 

  28. Talerico, K. A., Evans, L. K., & Strumpf, N. E. (2002). Mental health correlates of aggression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The Gerontologist, 42, 169-177. doi:10.1093/geront/42.2.169 

  29. van Weert, J. C., van Dulmen, A. M., Spreenwenberg, P., Ribbe, M. W., & Bensing, J. M. (2005). Behavioral and mood effects of snoezelen integrated into 24-hour dementia care.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53, 24-33. doi:10.1111/j.1532-5415.2005.53006.x 

  30. Voyer, P., Verreault, R., Azizah, G. M., Desrosiers, J., Champoux, N., & Bedard, A. (2005). Prevalence of physical and verbal aggressive behaviour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older adul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BMC Geriatrics, 10(5), 13. doi:10.1186/1471-2318-5-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