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기반 임상추론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imulation based Clinical Reasoning Practice Program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5, 2013년, pp.574 - 584  

허혜경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노영숙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imulation based clinical reasoning practice program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simulation models and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Methods: The program consi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매주 시뮬레이션 실습은 실습 전 브리핑 10분, 시뮬레이션 20분, 다른 팀 수행 관찰 20분, 디브리핑 한 시간으로 진행되었다. 다른 팀의 수행관찰을 통해 간접 경험을 통한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시뮬레이션은 4명 한 조로 팀 리더 간호사, 제 1 간호사, 제2 간호사, 보호자의 역할을 매회 돌아가면서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초한 간호교육 시뮬레이션 교수학습 모델(Jeffries, 2005)과 경험주의 학습 사이클(Kolb, 1984)을 교수학습 원리로 하여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간호학과 3학년 학생들의 간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과정 개발 여섯 단계 모델(Kern, Thomas, & Hughes, 2009)에 따라 시뮬레이션기반 임상추론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적용효과를 검증하였다.
  • 학생들은 실습 과정동안 리더 간호사 중심으로 환자 문제해결을 위한 의사소통, 필요한 도움 요청, 각자 맡은 역할 분담의 수행 등의 협력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보호자의 질문에 간결한 정보나 교육을 제공하고, 의사와 환자 상황에 대하여 보고, 처방, 자문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소통과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시나리오 구동에서 교수자는 의사 역할을, 운영자는 환자 역할을 연기하였다.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 시뮬레이션기반 임상추론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간호역량(비판적 사고, 임상판단, 간호수행능력)을 비교하여 간호학생의 간호역량 향상을 위해 개발된 일 시뮬레이션기반 임상추론 실습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시뮬레이션은 4명 한 조로 팀 리더 간호사, 제 1 간호사, 제2 간호사, 보호자의 역할을 매회 돌아가면서 하였다. 학생들이 맡을 역할은 시뮬레이션 실습실에서 실습 시작 바로 전에 선택한 후 리더를 중심으로 환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를 하였다. 리더는 제1, 제2 간호사에게 그 상황에서 필요한 역할을 부탁하면서 실습이 시작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시뮬레이션은 반복학습, 피드백, 평가와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며 실제의 재현, 적극적인 학습자 참여 촉진, 실무와 이론 학습간의 통합을 포함하는 역동적 과정으로 정의된다(Bland, Topping, & Wood, 2011). 이러한 시뮬레이션의 특성으로 인해 간호교육에서 지식과 기술, 경험 학습의 통합과정으로서 학생들의 간호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으로 적극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Blum et al.
역량이란 무엇인가? , 2013). 역량은 한 상황에서 개념, 지식, 정보, 절차, 방법을 끌어내어 다른 상황을 다룰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황에 맞는 지식을 사용하고 적절한 전략적 능력들을 보여줄 수 있는 능력이다(Blum, Borglund, & Parcells, 2010). 간호역량은 수행 과정을 통해서 재조명되고 재구성되는 능력으로서 역량과 수행은 상호적인 관계를 가지므로(Lenburg, 1999) 간호학생에게 간호역량의 수행을 가능케 하는 실습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무엇인가? 교수학습 전략으로서의 시뮬레이션 원리는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상황인지이론에 근거하며, Kolb (1984)의 경험학습이론으로 학습 경험이 설명되고 있다(Kaakinen & Arwood, 2009). 구성주 의는 경험에 관한 비판적 반성을 장려하고 개인적으로 구성한 지식을 확인하면서 학습자들이 가진 가정들에 도전한다(Lee, Ko, Choi, Jung, & Park, 2011). Jeffries (2005)에 의해 제안된 구성주의 학습 원리에 기초한 간호교육 시뮬레이션 교수 학습 모델에 따르면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반성적 사고를 통해 창조적 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을 유도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land, A. J., Topping, A., & Wood, B. A. (2011). Concept analysis of simulation as a learning strategy in the educa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1, 664-670. http://dx.doi.org/10.1016/j.nedt.2010.10.013 

  2. Blum, C. A., Borglund, S., & Parcells, D. (2010). High fidelity nursing simulation: Impact on student self-confidence and clinical c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7 (1), 1-14. http://dx.doi.org/10.2202/1548-923X.2035 

  3. Cant, R. P., & Cooper, S. J. (2010).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3-15. http://dx.doi.org/10.1111/j.1365-2468.2009.05240.x 

  4. Chang, S. O., Kong, E. S., Kim, C. G., Kim, H. K., Song, M. S., Ahn, S. Y., et al. (2013). Exploring nursing education modality for facilitating undergraduate students' critical thinking focus goup interview 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 125-135.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125 

  5. Clark, M. (2006). Evaluating an obstetric trauma scenario.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2, e75-e77. http://dx.doi.org/10.1016/j.ecns.2009.05.028 

  6. Davis, A. H., & Kimble, L. P. (2011). Human patient simulation evaluation rubrics for nursing education: Measuring the essential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0, 605-611.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10715-01 

  7. Hur, H. K., Park, S., Shin, Y. H., Lim, Y. M., Kim, G. Y., Kim, K. K., et al. (2013).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an emergency care management simulation practicum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 111-119. http://dx.doi.org/ 10.5977/jkasne.2013.19.2.228 

  8. Hur, H. K., Park, S. M., Kim, K. K., Jung, J. S., Shin, Y. H., & Choi, H. O. (2012). Evaluation of Lasater judgment rubric to measure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of emergency management simulation of hypoglycemia.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5, 15-27. 

  9. Jeffries, P. R. (2005). A frame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on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6, 96-103. 

  10. Kaakinen, J., & Arwood, E. (2009). Systematic review of nursing simulation literature for use of learning of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6 (1), 1-20. http://dx.doi.org/10.2202/1548-923X.1688 

  11. Kang, H. W., & Hur, H. K. (2010). Development of a simulation scenario on emergency nursing care of dyspnea patient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3 , 59-74. 

  12. Kern, D. E., Thomas, P. A., & Hughes, M. T. (2009). Curriculum development for medical education (2nd ed.).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3. Ko, J. K., Chung, M. S., Choe, M. A., Park, Y. I., Bang, K. S., Kim, J. A., et al. (2013). Modeling of nursing competencie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 , 87-96.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1.87 

  14. Kolb, D. (198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New Jersey: Prentice Hall. 

  15. Larew, C., Lessans, S., Spunt, D., Foster, D., & Covington, B. G. (2006). Innovations in clinical simulation: Application of Benner theory in an interactive patient care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7 , 6-22. 

  16. Lasater, K. (2007).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Using simulation to create an assessment rubric.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6, 496-503. 

  17. Lee, J. H., & Choi, M. (2011). Evaluation of effects of a clinical reasoning cours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3, 1-9. http://dx.doi.org/10.7475/kjan.2011.23.1.01 

  18. Lee, K. W., Ko, J. Y., Choi, P. Y., Jung, M. K., & Park, S. H. (2011). Educational psychology for effective teaching learning strategy (2nd ed.). Seoul: Kyoyookbook Co. 

  19. Lee, S. H. (2008).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into practice. Seoul: Hakjisa. 

  20. Lenburg, C. B. (1999). The framework, concepts, and methods of the competency outcomes and performance assessment (COPA) model.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4 (2), 1-12. Retrieved May 15, 2012, from http://www.nursingworld.org/ojin 

  21. Lim, K. C. (2011). Direction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practic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 246-256. 

  22. Mariani, B., Cantrell, M. A., Meakim, C., Prieto, P., & Dreifuerst, K. T. (2013). Structured debriefing and students' clinical judgment abilities in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9, e147-e155. http://dx.doi.org/10.1016/j.ecns.2011.11.009 

  23. McGaghie, W. C., Issenberg, S. B., Cohen, E. R., Barsuk, J. H., & Wayne, D. B. (2011). Medical education featuring mastery learning with deliberate practice can lead to better health for individuals and populations. Academic Medicine, 86, e8-9. 

  24. Oermann, M. H. (1999). Critical thinking, critical practice. Nursing Management, 30 (4), 40C-40F, 40H-40I. 

  25. Suh, E. E. (2012).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for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utilizing human patient simulators and standardiz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 206-219.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2.206 

  26. Suh, Y. O., Ahn, Y. H., & Park, K. S. (2009). Content validity of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judgment during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 245-256. 

  27. Tanner, C. A. (2006).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5, 204-211. 

  28. Yang, J. J.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cours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 548-560. 

  29. Yoon, J. (200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