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각 통제 균형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sion Control Balance Training on Balance and Muscle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2, 2012년, pp.718 - 724  

이연섭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진상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조남정 (한려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 적용한 시각 통제 균형훈련이 환자의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26명의 뇌졸중 환자들로 하여 환측 1/2시각통제군(9), 건측 1/2시각통제군(9), 비시각통제군(8)으로 나누어 연구에 참여하였다. 세 그룹 모두 흔들림 균형 판(posturo-med)위 시각통제 후 거울 1m앞에서 자기를 주시하며 균형 훈련을 8주간 주 4회 20분간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의 중재 전, 4주, 8주 후 균형 능력을 측정하여 균형유지시간, 근 활성도를 측정 하였다. 훈련 전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시각통제 균형 훈련은 균형시간의 증가와 안쪽 넓은 근의 근 활성도가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본연구의 결과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시각통제 균형 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균형 훈련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effects of vision control balance training applied to stroke patients on their balance. 26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an affected side 1/2 vision control group (9), a non-affected side 1/2 vision control group (9), and a non-vision con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졸중 환자 에게 기능의 증진이란 개인적인 측면, 사회적인 측면에서 보다 자유로운 이동으로 대부분의 환자에서 환 측으로 체중지지율이 25%~43%라고 하였고[24], 상대적으로 체성감각에 비해 높은 시각감각 의존성을 가지고 있어 균형을 잃고 넘어지기 쉽다[25].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의 시각정보를 차단하여 보다 많은 체성 감각자극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균형수행능력을 개선하기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각 차단의 방법은 Beis[17]의 방법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시각차단을 결정하기에 좌우측, 양측 시각통제는 기본적인 동적 자세유지를 할 수 없어 최대한 시각통제가 자세조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시각통제 균형 훈련이 균형 능력과 근 활성도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하였다. 결과적으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시각통제 균형 훈련은 흔들림 균형판위에서 균형능력증가와 안쪽 넓은 근의 근 활성도에 유의하게 작용하며 불안정면 균형능력의 상승으로 이동능력의 증진보다는 일상생활동작적인 측면에서 도움을 주는 훈련이라 생각되며 뇌졸중 환자의 동적균형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자세 유지 근의 근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흔들림 균형판 위 스쿼트 동작 시 근전도(mp35, USA)를 이용하여 마비측 하지를 측정하였다. 근육측정부위는 마비측 장딴지근 외측(Gastrocnemius lateral), 장딴지근 내측(Gastrocnemius medial), 안쪽넓은근(Vastus medialis), 앞정강근(Tibialis anterior)의 근 활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 대부분 시 지각 장애 상태별 연구가 많았고 시기별, 손상부위별 또는 시각차단유형별 시각을 통제했을 경우에 대해서는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고유수용성 흔들림 자극 훈련 중에 시각을 통제하여 그 변화를 근 활성도, BBS(Berg Balance Scale) 검사, 균형 판위 균형유지 능력검사를 통하여 알아보고자한다.

가설 설정

  • 이 검사는 1975년 영국 정신과 의사 폴 스타인 박사가 만든 것을 한국형으로 개작한 것으로, 피검자가 최소한 초등학교를 졸업했을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단, 피검자가 무학인 경우에는 시간 공간 지각테스트에1점을 가산해주며, 주위집중 및 계산 테스트에2점, 언어기능 테스트에 각 1점을 가산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어떤 질환인가? 뇌졸중은 뇌의 정상적인 혈액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여 일어나며 발생 빈도가 높은 신경학적 질환이다[1]. 발병 환자의 40%가 기능적 손상을 받게 되고 15-30%가 심각한 장애를 나타내며[2], 운동과 감각 신경 로의 붕괴 및 감각 해석의 이상을 야기 시켜 자세 및 선택적인 운동 조절을 방해한다.
중추신경계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중추신경계는 일반적으로 균형조절과 보행에 관한 움직임을 위해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인체의 효과적인 운동을 일으킨다[5]. 이러한 요소들의 기능 손상에서는 신체 중심의 안정성을 감소시킨다[6].
뇌졸중에 걸린 환자는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뇌졸중은 뇌의 정상적인 혈액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여 일어나며 발생 빈도가 높은 신경학적 질환이다[1]. 발병 환자의 40%가 기능적 손상을 받게 되고 15-30%가 심각한 장애를 나타내며[2], 운동과 감각 신경 로의 붕괴 및 감각 해석의 이상을 야기 시켜 자세 및 선택적인 운동 조절을 방해한다. 운동과 감각의 이상은 뇌졸중 환자의 자세조절에 가장 큰 어려움을 가져오게 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 S. Bae, J. H. Lee, "The study of clinical pictures and received rehabilitation service patterns of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13(3), pp799-814, 2001. 

  2. p. w. Duncan, R. D. Horner, D. M. Reker, "Adherence to Post acute Rehabilitation Guidelines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Stroke, 33;167-178, 2002. 

  3. Geurts, A. C. H., de Haart, M, van Nes, I. J. W., & Duysens, J. Are view of standing balance recovery from stroke. Gait Posture, 22:267-281, 2005. 

  4. N. Smania, B. Montagnana, S. Faccioli, et al, "Rehabilitation of somatic sensation and related deficit of motor control in patients with pure sensory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84:1692-702, 2003. 

  5. M. A. Nurse, & B. M. Nigg, "The effect of change in foot sensation on planter pressure and muscle activity", Clin Biomech, 16, 719-727, 2001. 

  6. J. S. Park, H. S. Choi, T. H. Kim, et al, "Effects of the Foot Position on Standing Bal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2(8), pp73-85, 2001. 

  7. L. M. Nashner, "Sensory, neuromuscular, and bio mechanical contributions to human balance", Proceedings of the APTA Forum. APTA publication, 1990. 

  8. G. Sid, & W. N. Sarah, "Manter and Gatz' s Essentials of Clinical Neuro anatomy and Neurophysiolog". edition 9. 1996. 

  9. E. R. Kandel, T. M. Jessell, J. H. Schwartz,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4th ed., New york. Mc Graw-Hil, 2000. 

  10. A. Shumway-Cook, M. H. Woollacott,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ed1, Baltimore: Williams& Wilkins, 119-206, 1995. 

  11. M. Horvat, C. Ray, V. Ramsey et al, "Compensatory analysis and strategies for balance in indivisuals with visual impairments" J.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97(11), 695-703, 2003. 

  12. D. S. Nichols, "Balance retraining after stroke using force platform bio feedback", Physical Therapy, 77(5), 553-558, 1997. 

  13. W. M. Paulus, A. Straube, T. Brandt, et al, Visual stabilization of posture: Physiological stimulus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aspects. Brain, 107(pt4), 1143-1163, 1984. 

  14. R. Dickstein, M. Nissan, T. Pillar, et al, "Foot-ground pressure pattern of standing hemiplegic patients: major characterstics and patterns of improvement", Phys Ther, 64, 19-23, 1984. 

  15. Dickstein, R., Shefi, S., Mar covitz, E., & Villa, Y, 2004. 

  16. M. J. Kim. "Effects of Vision and Visual Feedback on Standing Postur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5(3), pp42-47, 1998. 

  17. V. S. Stel, J. H. Smit, S. M. Pluijm, et al, "Balance and mobility performance as treatable risk factors for recurrent falling in older persons", J Clin Epidemiol, 56(7), 659-668, 2003. 

  18. J. M. Beis J. M. Andre, Baumgarten. et al. "Eye patching in unilateral spatical neglet; efficacy of two methods", Arch Phys Med Rehabil, 80;71-76, 1999. 

  19. E. J. Kim, "The Effect of Eye Patching to Unilateral Neglect in the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ccupational therapy, 11(23), pp101-111, 2003. 

  20. M, Dohm-Acker P. Spitzenpfeil U. Hartmann, "Effect of propriocetive trainings tools for the muscles in stance stability", Sport verletz Sports chaden. Mar; 22(1):52-7, 2008. 

  21. O. Muller M. Gunther I. Krauss, et al,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the therapeutic device Posturomed as a measuring device -presentation of a procedure to characterize balancing ability", Biomed Tech (Berl). Mar; 49(3): 56-60, 2004. 

  22. T. Hilberg, M. Herbsleb, H. H. Gabriel, et al, "Proprioception and isometric muscular strength in haemophilic subjects", Haemo philia. Nov;7(6):582-8, 2001. 

  23. S. E. Lee, H. D. Kim, S. B. Kim et al, "The Change of Postural Stability after Fatigue Induced by Different Type of Exercise" Korean Society Of Growth And Development, 16(43) pp295 -301, 2008. 

  24. K. O. Berg, B. E. Maki, J. I. Williams, et al, "Clinical and laboro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Rehabil, 73;1073-1080, 1992. 

  25. J. J. Eng, K. S. Chu,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 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83:1138-44, 2002. 

  26. A. E. Palta,. "Age-related changes in visually guided locomotion over different terrain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31-252, 1993. 

  27. G. P. Jacobson, C. W. Newman, J. M. Kartush, "Handbook of balance function testing", St. Louis: Mosby, 1993. 

  28. M. G. Kwon, "Postural Stability and Balance Training Using Vision in Adul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10(1), pp149-154. 1998. 

  29. V. Hatzitaki, M. Pavlou, A. M. Bronstein, et al, "The integration of multiple proprio-ceptive information: effect of ankle tendon vibration on postural responses to platform til", Exp Brain Res, 154(3), 345-354, 2004. 

  30. H. S. Lee, H. C. Kwon, "The Influence of Foot Angle on Standing Balance Upon the Unstable Platform",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4(3), pp34-44, 1997. 

  31. O. U. Kwon, H. S. Choi. "Evaluation of the Balance Ability for 20 to 29 Years Old on the Unstable Platform",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3(3), pp1-11 1996. 

  32. H. Y Kang, Y. S. Kim, J. B. Jang et al, "The Effect of Weight Bearing Exercise on Bone Mineral Density of Postmenopausal Women's Femoral and Lumbar Spine", sports science, 8(1), PP83-96, 1999. 

  33. K. W. An, "Analysis on the Recruitment Type in Musclesof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y", THESES COLLECTION, 41, PP523-528, 2006. 

  34. C. Buell,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tio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Washington DC : AAHPERD 1982. 

  35. Y. J. Joung, J. H. Youn, G. Y. Kim. et al, "The Effects of Altered Surface conditions on Balance Ability for the Patients with Hemiplegi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ist, 15(1), pp67-74, 2008. 

  36. J. H. Kim,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on Standing-Balance in Stroke with Neglect and/or Sensory Deficit", doctor's thesis, Daegu university,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