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MK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on Number and Operation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6 no.1, 2012년, pp.71 - 84  

김해규 (제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초등 예비 교사들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MKT)을 분석한 후, 권민성 남승인 김상룡(2009)의 결과들과 비교 분석함으로서 교육대학에서의 초등수학교과 교육을 개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함에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권민성 외에 의해서 한국어로 번안된 수와 연산에 관한 MKT 설문지를 사용하여 J 대학교 교육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88명의 초등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MKT를 측정하고 권민성 외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 교사들이 수와 연산에 관하여 이미 알고 있는 '내용지식'(CK) 정도는 긍정적이었으나 '내용과 학생에 대한 지식'(KCS) 정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나 이들의 KCS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CK 및 KCS 문항들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와 교사가 느끼는 문항 난이도는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초등 예비 교사들은 교사들보다 교실수업에서 MKT 문항들의 활용성을 더 높게 평가하는데도 불구하고, 약 70%의 초등 예비 교사들은 MKT 문항들이 교육대학에서 배운 내용이 아니라고 응답하였고 일부 문항에 대해서는 교사들과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 수행에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 교사들의 MKT를 향상시키기 위해 J 대학교 교육대학 초등수학교과교육의 개선이 필요하며 둘째, 우리나라 초등 예비 교사의 MKT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학교와 교육과정에 적합한 MKT 항목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me Korea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MKT)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btained by Kwon, Nam, & Kim(2009), so that we can provid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educa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subject at Ko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초등 예비 교사들의 MKT 설문 문항에 대한 반응들을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들과 권민성 외(2009)의 연구 결과들의 비교를 통하여 초등 예비 교사들의 수학과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가?
  •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PCK와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내용 지식’(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CKTM)에 대한 연구로는 Piccolo(2008)의 연구를 들 수 있는데, Piccolo는 수학 교육과 예비 교사 교육의 연구 분야에서 기존 연구자들의 전문적인 연구에 기여하기 위해 4, 5, 7, 8학년을 각각 담당하는 7명의 중학년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12주 동안의 교육 실습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방법으로 예비 교사들의 수학 교육에 대한 CKTM과 PCK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그는 예비 교사들의 CKTM과 PCK 사이를 발달시키는 요인과 관련성을 탐색하였는데, 수학 수업 관찰, 예비 교사와의 상호작용과 논의 및 신뢰할만한 평가를 통해 CKTM과 PCK의 상호관련성을 조사하여 기존의 교사의 내용지식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였다. 한편, 서동엽(2010)은 Ball 외(2008)가 정립한 MKT의 하위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초등 수학 내용과 연결지어 설명한 후, 초등수학교육에서 MKT 정립을 위한 향후 과제로서 교원 양성 과제에서 어느 수준까지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KT의 하위 범주들은 어떻게 정리 할 수 있는가? CCK는 학습자에게 가르칠 수학지식을 말하며, SCK는 학습자에게 직접 가르치지는 않지만 교사가 이해하고 숙지해야 할 지식, KCS는 학습자가 특정 개념을 배울 때 어떻게 이해하는지, 혹은 어떤 오개념을 갖는지와 같이 수학 내용과 학습자를 연결하는 지식을 의미한다. KCT는 학생들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학지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고 어떤 예를 동원하는 것이 적절한지의 문제를 다룬다(Hill, Sleep, Lewis, & Ball, 2007; 박경미, 2009, 재인용).
MKT란? 96)하였고, 그 후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이론들이 발전되어 미시간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에서 주관한 교사교육 프로젝트에서 Deborah Ball과 Heather Hill이 주축이 되어 미국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의 본질을 규명하고, 미국 수학교사가 보유하고 있는 지식을 측정하기 위한 Learning Mathematics for Teaching (LMT)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2000년 초 처음으로 지필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그 후 Ball, Thames와 Phelps(2008)에 의하여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1)이라는 이론으로 정립되었다. 한편, 박경미(2009)에 의하면 수학교사의 전문성은 수학을 담당할 교사들이 수학과 일반 교육학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학교수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토대로 해야 하며, PCK의 개념으로 정립되었다고 하였다.
PCK의 특징은 무엇인가? ‘교과지식’은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수학의 필수적인 정의, 개념, 원리, 절차, 아이디어 등을 포함하며, ‘PCK’는 교과지식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설명하는 방법을 찾고 적절한 유추와 예시를 선택하며, 상이한 수준과 연령의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과 전개념(preconcetion)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오개념과 그 오개념이 추후 학습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는 즉, 수학을 가르치는 것과 관련된 실제적인 지식을 총체적으로 다루며, ‘교육과정 지식’은 학교수학의 특정주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배열되고, 조직되며, 학생들이 다른 교과에서 학습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까지 포함한다(박경미, 2009, p. 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권민성?남승인?김상룡 (2009). 미국의 선다형 문항 적용을 통한 우리나라 초등교사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 한 지식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8(4), 399-417. 

  2. 김방진?류성림 (2011). 소수의 나눗셈에 대한 교사의 PCK와 실제 수업에의 적용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논총 제40집, 49-65. 

  3. 박경미 (2009).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48(1), 93-105. 

  4. 서동엽 (2010). 초등수학교육에서 MKT 탐구. 대한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논총, 제38집, 163-175. 

  5. 이현숙 (2011).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MKT)과 수업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이현숙?이광호 (2010).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MKT). 대한수학 교육학회 수학교육논총 제38집, 373-387. 

  7. 최승현 (2007).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 및 수업 컨설팅 연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ORM2007-18-1. 

  8. Ball, D. L., Hill, H. C., & Bass, H. (2005). Knowing mathematics for teaching: Who knows mathematics well enough to teach third grade, and how can we decide? American Educator, 14-22 & 43-46. 

  9.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10. Hill, H. C., Schilling, S. G., & Ball, D. L. (2004). Developing measures of teachers' mathematics knowledge for teaching.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5, 11-30. 

  11. Hill, H. C., Sleep, L., Lewis, J. M., & Ball, D. L. (2007). Assessing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In F.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pp.111-155).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2. Piccolo, D. L. (2008). Development of content and pedagogical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A case study of seven middle-grade student teachers. In G. Kulm. (Ed.), Teacher Knowledge and Practice in Middle Grades Mathematics.(pp.87-99). Rotterdam, The Netherlands.: Sense. 

  13.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4-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