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성 향상을 위한 연구
A Study on Elderly for Improvement of Usability on Smartphone 원문보기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17 no.1, 2012년, pp.39 - 52  

한영석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  최종규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  황보환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  고상민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  윤솔희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  지용구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9년 아이폰(iPhone)의 도입을 계기로 국내 스마트폰 보급률이 급증하게 되었으며, 2011년 8월에는 가입자 수가 1500만 명을 넘어섰다. 사용자의 연령별 이용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 60대 이상의 고령자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매우 저조한 이용률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정보 격차 및 사회적 소외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 시 기본이 되는 터치 동작에 대해 고령자를 대상으로 평가함으로써 고령자에게 적합한 수준을 도출하고 최종적으로는 사용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터치 동작의 수행 시간과 오류 횟수 등 객관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주관적 평가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과 설문지를 이용하여 65세 이상의 고령자 22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대상의 크기와 간격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에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폰 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스마트폰 환경을 고려하여 고령자에게 적합한 터치 대상을 구체화 한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roduction of iPhone was an opportunity to increase of internal smarphone users in 2009 and it exceeded 15 millions at August, 2011. According to report about usage of smartphone users, elderly people aged over 60 was quite low compared to other groups. Moreover these elderly peoples feel la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과제 수행 시간 : 과제 완료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크기와 간격에 따른 수행 수준을 분석하고자 함.
  • 본 연구는 고령자들의 스마트폰 사용성 향상을 목적으로 프로그램을 통한 객관적인 평가와 설문지를 이용한 주관적인 평가를 개발하고 사용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포인팅 동작과 고령자에 관한 연구를 수집함으로써 구체적인 평가 방법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크기와 간격 수준을 도출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통한 객관적 평가와 설문지를 이용한 주관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의 절차를 통해 스마트폰 환경에서 고령자의 포인팅 능력을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수립하였다.
  • [10]은 연령에 따라 마우스와 터치패드를 이용한 포인팅 동작에 있어서의 차이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연령에 따라 청소년(12~14세), 성인(25~33세), 장년층(61~69)의 세 그룹으로 구성하여 포인팅 과제를 부여하였고, 이를 통해 세 그룹 사이의 차이 및 기기 간의 차이, 커서의 부수적인 움직임이 능력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포인팅 대상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45도 간격으로 8개를 배치하였으며, 중심점과 랜덤으로 나타나는 대상 사이를 계속적으로 포인팅 하도록 하였다.
  • 이러한 이론적 배경에 의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제시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와 간격에 따라 고령자를 대상으로 포인팅 능력을 측정하고 주관적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적절한 수준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러한 측면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의 기본 동작이라고 할 수 있는 터치 동작에서 고령자의 수행 능력 수준을 측정하고 주관적 만족도를 평가함으로써 적합한 수준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안드로이드에서 구동되는 측정 프로그램과 주관적 평가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고령자에게 적합한 수준의 터치 대상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의 스마트폰 이용에 관한 기초 연구로서 연구에 적용된 대상의 크기와 간격이 제한적인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스마트폰 환경에서 대표성을 가지는 크기를 선정함으로써 현실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포인팅 능력 평가 방법 선정을 위해 우선 기존 연구들에서 사용된 방법을 수집하였으며 <표 2>에 나타나있다. 수집된 연구들에서 사용한 과제는 크게 두 가지 1) 중심을 기준으로 배치된 대상 포인팅하기 2) 제시된 문자 또는 숫자 입력하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고령자를 피험자로서 포함한 연구들은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는 것 보다는 랜덤으로 제시되는 대상을 포인팅 하는 과제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었다.
  • 1) 고령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운동 잡음을 가진다.2) 피드백 시스템의 능력이 떨어진다.3) 고령자는 성인과 다른 전략을 선택할 것이다.
  • 2) 피드백 시스템의 능력이 떨어진다.3) 고령자는 성인과 다른 전략을 선택할 것이다.4) 매우 빠른 움직임을 위한 힘이 부족하다.
  • 3) 고령자는 성인과 다른 전략을 선택할 것이다.4) 매우 빠른 움직임을 위한 힘이 부족하다. 실험은 12인치 스크린을 통해 제시되는 4px, 8px, 16px, 32px의 크기와 20~580px 까지 거리 조합으로 제시되는 대상을 포인팅 하는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방송통신위원회, "스마트폰 가입자 1,000만 돌파, 스마트 시대 본격 개막", 2011. 

  2. 양호철, 정일권, "스마트폰 사용자의 집단간 특성 비교", 사이버사회문화, 제2권, 제1호, pp. 17-49, 2011. 

  3. 이재범, 신용재, 김희영, "기업 모바일 애플리케이션(Business Mobile Application)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2010. 

  4.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 2011. 

  5. 홍승권, 박정철, 김선수, "고령자용 터치입력장치 설계를 위한 인적 수행도 평가",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제29권, 제4호, pp. 605-610, 2010. 

  6. 황하성, 손승혜, 최윤정, "이용자 속성 및 기능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2호, pp. 277-313, 2011. 

  7. Albinsson, P.-A. and Zhai, S., "High precision touch screen interaction,"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Ft. Lauderdale, Florida, USA., 2010. 

  8. Colle, H. and Hiszem, K., "Standing at a kiosk : effects of key size and spacing on touch screen numeric keypad performance and user preference," Ergonomics, Vol. 47, No. 13, pp. 1406-1423, 2004. 

  9. Douglas, S. A., Kirkpatrick, A. E., and MacKenzie, I. S., "Testing pointing device performance and user assessment with the ISO 9241, Part 9 standard,"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the CHI is the limit, Pittsburgh, Pennsylvania, United States, 1999. 

  10. Henze, N., Rukzio, E., and Boll, S., "100,000,000 Taps :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ouch Performance in the Large," Paper presented at the MobileHCI, 2011. 

  11. Hertzum, M. and Hornbæk, K., "How Age Affects Pointing With Mouse and Touchpad : A Comparison of Young, Adult, and Elderly User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Vol. 26, No. 7, pp. 703-734, 2010. 

  12. Jin, Z. X., Plocher, T., and Kiff, L., "Touch screen user interfaces for older adults : button size and spacing," the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niversal access in human computer interaction : coping with diversity, Beijing, China, 2007. 

  13. Lee, S. and Zhai, S., "The performance of touch screen soft buttons," the Proceedings of the 2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Boston, MA, USA., 2009. 

  14. Park, Y. S. and Han, S. H., "Touch key design for one-handed thumb interaction with a mobile phone: Effects of touch key size and touch key lo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Vol. 40, No. 1, pp. 68-76, 2010. 

  15. Schedlbauer, M., "Effects of Key Size and Spacing on the Completion Time and Accuracy of Input Tasks on Soft Keypads Using Trackball and Touch Input,"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Annual Meeting Proceedings, Vol. 51, No. 5, pp. 429-433, 2007. 

  16. Smith, M. W., Sharit, J., and Czaja, S. J., "Aging, motor control, and the performance of computer mouse tasks," Human Factors : The Journal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Vol. 41, No. 3, pp. 389-396, 1999. 

  17. Teeken, J. C., Adam, J. J., Paas, F. G. W. C., van Boxtel, M. P. J., Houx, P. J., and Jolles, J.,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discrete and reciprocal aiming movements. Psychology and aging," Vol. 11, No. 2, pp. 195-198, 1996. 

  18. Walker, N., Philbin, D. A., and Fisk, A. D., "Age-related differences in movement control : Adjusting submovement structure to optimize performanc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 52, No. 1, pp. 40-52,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