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치에 의한 생약의 항산화 활성 및 성분 변화
Change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Ingredient in Medicinal Plants by Processing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3 no.1 = no.168, 2012년, pp.46 - 53  

차배천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제약공학과) ,  전경수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제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y and ingredient in 4 species medicinal plant by processing. As a result, EtOAc extract and n-BuOH extract obtained from Cistanche deserticola Y. C. Ma and processed Cistanche deserticola Y. C. Ma showed difference on the ex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수치가 생약의 효능과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백출과 백출을 가열에 의해 볶아서 수치한 청초 백출과 쌀뜨물로 수치한 미감침 백출, 지모와 지모를 술과 소금물로 수치한 주구 지모와 염수 지모, 보골지와 보골지를 소금물을 이용하여 수치한 염초 보골지 및 육종용과 육종용을 술로 수치한 주구 육종용의 생약에 대하여 수치 전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DPPH법을 이용하여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TLC와 HPLC를 이용하여 성분의 패턴 변화 및 함량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하지만 수치에 따른 생약의 성분 및 활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치에 따른 생약의 성분 및 활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백출, 지모, 보골지, 육종용의 4종 생약의 수치 따른 성분변화를 TLC를 통하여 비교하고, free radical 소거 효과의 측정 방법인 DPPH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큰 변화를 나타낸 육종용으로부터 활성에 영향을 미친 주성분을 분리하여 활성 주성분의 화학구조 결정, HPLC 정량 분석법 개발 및 육종용과 수치 육종용에 있어서의 활성 주성분의 함량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 지금까지 이들 생약 4종에 대하여서는 수치에 따른 성분의 변화와 항산화 활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생약 4종에 대하여 수치 전후의 성분 변화와 이에 따른 항산화 활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TLC를 이용하여 성분의 패턴 변화를 비교 확인함과 동시에 DPPH법에 의해 항산화 활성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백출, 지모, 보골지, 육종용의 4종 생약 중에서 항산화 활성 및 성분의 패턴 변화가 나타난 생약에 대해서는 변화를 나타낸 항산화 활성 주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활성 주성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 결정을 위하여 IR 및 NMR 등의 기기분석을 이용하여 화합물의 구조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 또한 백출, 지모, 보골지, 육종용의 4종 생약 중에서 항산화 활성 및 성분의 패턴 변화가 나타난 생약에 대해서는 변화를 나타낸 항산화 활성 주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활성 주성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 결정을 위하여 IR 및 NMR 등의 기기분석을 이용하여 화합물의 구조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화합물들에 대하여 수치 전후 생약에 있어서 함량 변화를 실험하기 위한 지표성분으로의 선정과 함께 지표성분의 HPLC 조건을 검토하여 정량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확립된 정량분석법을 통하여 수치 전후 생약에 있어 지표성분의 함량을 분석함과 동시에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활성 성분의 함량변화에 따른 항산화 활성 변화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므로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또한 이들 화합물들에 대하여 수치 전후 생약에 있어서 함량 변화를 실험하기 위한 지표성분으로의 선정과 함께 지표성분의 HPLC 조건을 검토하여 정량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확립된 정량분석법을 통하여 수치 전후 생약에 있어 지표성분의 함량을 분석함과 동시에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활성 성분의 함량변화에 따른 항산화 활성 변화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므로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제란 무엇인가? 생약은 천연물을 기원하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이용하기 보다는 사용에 필요한 형태로 가공을 거치며 이러한 공정을 수치 또는 한방에서는 포제라 한다. 수치는 가공 처리에 의해 생약의 부작용이나 독성의 경감, 악성의 완화, 효능의 변화 및 보관 저장에 용이하도록 변형시키는 약물 제조 기술로 오늘날에도 임상에서 활용되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수치란 무엇인가? 생약은 천연물을 기원하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이용하기 보다는 사용에 필요한 형태로 가공을 거치며 이러한 공정을 수치 또는 한방에서는 포제라 한다. 수치는 가공 처리에 의해 생약의 부작용이나 독성의 경감, 악성의 완화, 효능의 변화 및 보관 저장에 용이하도록 변형시키는 약물 제조 기술로 오늘날에도 임상에서 활용되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불을 이용하거나 물과 불을 같이 사용하여 증기로 찌거나 또는 꿀, 식초, 소금, 쌀뜨물 등을 이용하여 약재를 가공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생약 4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따라서 생약 4종에 대하여 수치 전후의 성분 변화와 이에 따른 항산화 활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TLC를 이용하여 성분의 패턴 변화를 비교 확인함과 동시에 DPPH법에 의해 항산화 활성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백출, 지모, 보골지, 육종용의 4종 생약 중에서 항산화 활성 및 성분의 패턴 변화가 나타난 생약에 대해서는 변화를 나타낸 항산화 활성 주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활성 주성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 결정을 위하여 IR 및 NMR 등의 기기분석을 이용하여 화합물의 구조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화합물들에 대하여 수치 전후 생약에 있어서 함량 변화를 실험하기 위한 지표성분으로의 선정과 함께 지표성분의 HPLC 조건을 검토하여 정량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남재 (1995) 한방약물의 약리작용. 병원약사회지 12: 121-138. 

  2. 강수영, 서부일, 최호영 (2003) 한약포제와 임상응용, 15-28. 영림사, 서울. 

  3. Kitagawa, I., Chen, Z. L., Yoshihara, M., Kobayashi, K., Yoshikawa, M., Ono, N. and Yoshimura, Y. (1984) Chemical studies on crude drug processing. III. Aconiti tuber (2). On the constituents of pao-fuzi, the processed tuber of Aconitum carmichaeli Debx,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lipo-alkaloids. Yakugaku Zasshi 104: 858-866. 

  4. Park, S. Y., Chung, B. S., Lee, H. K., Lee, H. S. and Ryu, J. H. (1989)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processed Aconiti tubers. Kor. J. Pharmacogn. 20: 25-31. 

  5. Kitagawa, I., Fukuda, Y., Taniyama, T. and Yoshikawa, M. (1991) Chemical studies on crude drug processing. VII. On the constituents of Rehmanniae Radix.(1) : Absolutes stereostructures of rehmaglutins A, B, and D isolated from chines Rehmanniae Radix, the dried root of Rehamannia glutinosa Libosch. Chem. pharm. Bull., 39: 1171-1176. 

  6. Lee, J. H., Koh, J. A., Hwang, E. Y. and Hong, S. P. (2002)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5-hydroxymethyl-2-furaldehyde from Rehmanniae Radix preparata according to various processings. Kor. J. Herbology 17: 145-149. 

  7. Kim, N. J. and Hong, N. D. (1996)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crude drugs(V). On the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Glycyrrhizae Radix by processing. Kor. J. Pharmacogn. 27: 196-206. 

  8. Shin, Y. W., Kim, D. H. and Kim, N. J. (2003)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crude drugs(VII). On the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Gardeniae Fructus by processing. Kor. J. Pharmacogn. 34: 45-54. 

  9. 김남재 (1997) 한약의 수치와 약효. 병원약사회지, 14: 66-69. 

  10. Uchiyama, M., Suzuki, Y. and Fukuzawa, K. (1968) Biochemical studies of physiological function of tocopheronolactone. 1. Yakugaku Zasshi 88: 678-683. 

  11. Choi, J. S., Park, J. H. and Kim, H. G.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ana. Kor. J. Pharmacogn. 24: 299-303. 

  12. Yoshikawa, M., Harada, E., Miki, A., Tsukamoto, K., Liang, S. Q., Yamahara, J. and Murakami, N. (1994) Antioxidant constituents from the fruit hulls of Mangosteen (Garcinia mangostana L.) originating in Vetnam. Yakugaku Zasshi 114: 129-133. 

  13. Li, L., Tsao, R., Liu, Z., Liu, S., Yang, R., Cristopher Young, J., Zhu, H., Deng, Z., Xie, M. and Fu, Z. (2005)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cteoside and isoacteoside from Plantago psyllium L. by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1063: 161-169. 

  14. Namba, T. (1994) The encyclopedia of Wakan-Yaku (Traditional Sino- Japanese Medicines) with color pictures. Vol. II. 16-17. Hoikusha, Osaka. 

  15. Wong, C. C., Li, H. B., Cheng, K. W. and Chen, F. (2006) A systematic survey of antioxidant activity of 30 Chinese medicinal plants using the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 Food Chem. 97: 705-711. 

  16. Kobayashi, H., Karasawa, H. and Miyase, T. (1984)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Cistanchis Herba. III. Isolation and structures of new phenylpropanoid glycosides, Cistanoside A and B. Chem. Pharm. Bull. 32: 3009-3014. 

  17. Kobayashi, H., Oguchi, H., Takizawa, N., Miyase, T.Ueno, A., Usmanghani, K. and Ahmad, M. (1987) New phenylethanoid glycosides from Cistanche tubulosa (Schrenk) Hook. F. I. Chem. Pharm. Bull. 35: 3309-3314. 

  18. Zong, G., He, W., Wu, G. L. and Chen, L. H. (1996) Comparisons between Cistanche deserticola Y. C. Ma and Cistanche tubulosa(Schrenk) Wight on some pharmacological activities. J. Tradit. Chin. Med. 21: 436-438. 

  19. Xiong, Q., Hase, K., Tezuka, Y., Tani, T., Namba, T. and Kadota, S. (1998)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phenylethanoids from Cistanche deserticola. Planta Med. 64: 120-125. 

  20. Lu, M. C. (1998) Studies on the sedative effect of Cistanche deserticola.. J. Ethnopharmacol. 59: 161-1655. 

  21. Cheng, X. Y., Wei, T., Guo, B., Ni, W. and Liu, C. Z. (2005) Cistanche deserticola cell suspension cultures: Phenylethanoid glycosides biosynthesis and antioxidant activity. Process Biochem. 40: 3119-3124. 

  22. Yoshizawa, F., Deyama, T., Takizawa, N., Usmanghani, K. and Ahmad, M. (1990) The constituents of Cistanche tubulosa (Schrenk) Hook. F. II. Isolation and structuers of a new phenylethanoid glycoside and a new neolignan glycoside. Chem. Pharm. Bull. 38: 1927-1930. 

  23. Munkombwe, N. M. (2003) Acetylated phenolic glycosides form Harpagophytum procumbens. Phytochemistry 62: 1231-1234. 

  24. Li, L., Tsao, R., Yang, R., Liu, C., Cristopher Young, J. and Zhu, H. (2008)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phenylethanoid glycosides from Cistanche deserticola by high-speed counter chromatography. Food chem. 108: 702-710. 

  25. Owen, R. W., Haubner, R., Mier, W., Giacosa, A., Hull, W. E., Spiehelhaler, B. and Bartsch, H. (2003) Isolation, structure elucidation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the major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in brined Olive drupes. Food Chem. Toxicol. 41: 703-717. 

  26. Wu, Y. T., Lin, L. C., Sung, J. S. and Tsai, T. H. (2006) Determination of acteoside in Cistanche deserticola and Boschniakia rossica and its pharmacokinetics in freely-moving rats using LC-MS/MS. J. Chromatogr. B 844: 89-95. 

  27. Yin, J. G., Yuan, C. S. and Jia, Z. J. (2007) A new iridoid and other chemical constituents from Pedicularis kansuensis forma albiflora Li. Arch. Pharm. Res. 30: 431-435. 

  28. Xiong, Q., Kadota, S., Tani, T. and Namba, T. (1996) Antioxidative effects of phenylethanoids from Cistanche deserticola. Biol. Pharm. Bull. 19: 1580-15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