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Clinic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8 no.1, 2012년, pp.14 - 24  

양진주 (광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relevant to the care of patients with acute renal failure (ARF) for third-yea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pre-posttest design. Based on the clinical situation scenarios pe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교육에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일개 교과목에서 간호학생이 임상현장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급성신부전 환자 간호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적용하고 임상수행능력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관련 지식 및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도되었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한편, 전공에 잘 적응하고 만족할수록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고(양진주, 2008),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실습효과가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최귀윤, 2009)가 보고되고 있어 대상자의 전공 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촉진하기위해 3학년 1학기 성인간호학 교과목의 학습내용 중 수술, 외상 및 약물 사용 후 임상에서 흔히 발생되는 급성신부전 환자 간호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적용하고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및 관련 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할 목적으로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과 3학년을 대상으로 급성신부전 환자 간호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적용한 후 학습목표 관련 지식 및 임상수행능력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그룹 당 4~5명씩을 배정하여 2011년 실험군에 19개 그룹, 2010년 대조군에 20개 그룹을 편성하고 배치하였으며, 본 연구 대상 학교의 교과과정 운영상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2개 분반에 나눠서 배정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3학년 1학기 성인간호학 학습내용 중 급성신부전 환자 간호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적용한 연구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급성신부전 환자 간호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반교육이 간호학생의 학습목표 관련 지식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격적인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교수자는 실험군이 사전학습으로 개별 작성하고 제출한 학습목표와 핵심질문에 대해 피드백하였다. 특히 상황별 핵심질문에 관한 답은 그룹 토의 후 교수자와 함께 답을 풀어 가면서 시나리오 상황에 따른 대상자의 이해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후에 본 연구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해 4가지 상황별 필수적인 중재 및 역할 분담에 관해 그룹별 토의를 실시하게 하였다.

가설 설정

  •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지식점수는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가설 1: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지식 점수는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가설 2: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임상수행능력점수는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간호교육의 목표는 간호지식과 함께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된 간호인재를 양성하는 것으로 간호교육 목표의 달성을 확인하기위해 과거에는 지필평가 위주의 지식을 측정하였다면 최근에는 복잡한 임상 상황에서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사정하고 중재를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김해란, 최은영, 강희영, 김성민, 2011; 이주희, 최모나, 2011; Blum, Borglund, & Parcells, 2010).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간호교육은 현장실습을 강화시키고 실습영역별 핵심술기능력을 갖출 수 있는 다양한 실습교육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란 무엇인가?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멀티미디어 기술, 모형, 인체모형 시뮬레이터 등을 포함하는 교육 형태로써 실제 상황을 모방하도록 설계된 수업과정으로 최근 의학 및 간호학에서는 학생들이 환자에게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고 임상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교육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Bond & Spillane, 2002).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학생들의 실수 교정, 의사소통 증진, 팀워크가 증진, 학업성취도 및 임상수행능력의 증가(Haskvist & Koop, 2004; Nehring Lashley, 2004)뿐 아니라 비판적 사고력, 자신감과 만족감 향상(Jeffries, 2005) 및 자신이 선택한 중재의 결과를 경험할 수 있으며 디브리핑(debriefing)을 통해 실제적으로 실습한 경험을 다른 학생들과 함께 공유하고 반성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보고된다(Beyea & Kobokovich, 2004; Rhodes & Curran, 2005).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확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실제 임상현장에서는 질적인 간호에 대한 대상자 요구로 인해 간호학생이 직접 수행할 수 있는 간호술기 실습의 기회가 부족하고(조미혜, 권인수, 2007), 사례대상자의 간호과정 적용 시에도 직접적인 간호중재의 수행보다는 관찰위주의 실습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양진주, 2007). 따라서 최근 간호교육에서는 이러한 임상실습의 제한성을 극복하고 환자에게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반복적으로 간호 술기를 실습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확대되고 있다(양진주, 2008; 이숙정, 노영숙, 김주옥, 장기인, 류언나, 박영미, 2010; 이주희,김소선, 여기선, 조수진, 김현례, 2009; 이주희, 최모나,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분한, 김소야자, 이정섭, 탁영란, 김희순, 최의순, 신경림, 최 경숙, 김귀분, 김광주, 이소우, 김금순, 이숙자, 김윤희, 이 경혜, 정영숙, 송지은, 박정호 (1998). 간호사 국가시험 방 향설정을 위한 임상수행능력 -기본간호학, 성인간호학, 정 신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 아동간호학, 간호행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28(4), 1075-1087. 

  2. 김윤희 (2010). 시뮬레이션 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광주. 

  3. 김윤희, 김윤민, 강서영 (2010). $MicroSim^{(R)}$ 을 병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중환자간호교육의 운영 및 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24-32. 

  4. 김지윤, 최은영 (2008). 시뮬레이션 실습이 접목된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PBL 학습 요소별 인식과 학업성취도. 성인간호학회지, 20(5), 731-742. 

  5. 김해란, 최은영, 강희영, 김성민 (2011). 시뮬레이션 기반 응급 간호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1), 5-13. 

  6. 양진주 (2007). 간호학생이 신경외과 병동의 뇌출혈 환자에게 적용한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결과 및 간호중재 분석. 간호과학논집, 12(1), 59-69. 

  7. 양진주 (2008).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20(4), 548-560. 

  8. 양진주, 박미영 (2004).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4), 636-647. 

  9. 이명선, 한숙원 (2011).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 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2), 226-234. 

  10. 이숙정, 노영숙, 김주옥, 장기인, 류언나, 박영미 (2010). 호흡 곤란환자 간호의 실습교육평가에서 Multi-mode와 Simman 시뮬레이션 활용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51-60. 

  11. 이원희, 김조자, 유지수, 허혜경, 김경숙, 임성민 (1990). 간호 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간호학 논문집, 13, 17-29. 

  12. 이주희, 김소선, 여기선, 조수진, 김현례 (2009). 일 대학 간호 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경험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2), 183-193. 

  13. 이주희, 최모나 (2011).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임상추론 교과목의 적용효과: 일대학의 예를 중심으로. 성인간호학회지, 23(1), 1-9. 

  14. 임경춘 (2011). 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시뮬레이션기반학습의 방향 고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2), 246-256. 

  15. 장선주, 권은옥, 권영옥, 권희경 (2010). 시뮬레이션 교육이 중환자실 신규간호사의 응급상황 관련 지식과 자기효능감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2(4), 375-383. 

  16. 조미혜, 권인수 (2007).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중 간호활동 경험 정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2), 143-154. 

  17. 최귀윤(2009). 간호학생의 임상실습환경에 관한 인식과 관련 변수의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21(1), 129-139. 

  18. 허혜라, 김선, 박성환 (2007). 의과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필기시험 성적과의 상관연구. 한국의학교육, 19(4), 335-341. 

  19. Bearnson, C. S. & Wiker, K. M. (2005). Human patient simulators: A new face in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at Brigham Young Universit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4(9), 421-425. 

  20. Beyea, S. C., & Kobokovich, L. J. (2004). Human patient simulation: A teaching strategy. AORN Journal, 80(4), 738-741. 

  21. Blum, C. A., Borglund, S., & Parcells, D. (2010). High-fidelity nursing simulation: Impact on student self-confidence and clinical c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7(1), Article 18. 

  22. Bond, W. F., & Spillane, L. (2002). The use of simulation for emergency medicine resident assessment. Academic Emergency Medicine, 9(11), 1295-1299. 

  23. Bremmer, M. N., Aduddell, K., Bennett, D. N., & Vanceest, J. B. (2006). The use of human pateints simulators: Best practice with novic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or, 31(4), 170-174. 

  24. Jeffries, P. R. (2005).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on simulation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6(2), 96-103. 

  25. Haskvist, L. M., & Koop, E. C. (2004). Students struggling in clinical? A new role for the patients simulator.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3(4), 181-184. 

  26. METI (2007). PNCI (Program for Nursing Curriculum $Integration^{TM}$ )-2 영한 대역판. 서울: 약산출판사. 

  27. Nehring, W. N., & Lashley, F. R. (2004). Current use and opinions regarding human patients simulators in nursing education: An international survey.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5(5), 233-238. 

  28. Rhodes, M. L., & Curran, C. (2005). Use of the human patient simulator to teach clinical judgment skills in a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23(5), 256-262. 

  29. Scherer, Y. K., Burce, S. A., & Runkawatt, V. (2007). A comparison of clinical simulation and case study presentation on nurse practitioner students' knowledge and confidence in managing a cardiac ev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4(1), 1-14. 

  30. Sinclair, B., & Ferguson, K. (2008). Integrating simulat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 the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6(1), 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