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과 학습에 대한 PBL과 S-PBL의 효과
Effects of Simulation and Problem-Based Learning Courses on Student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Learning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8 no.1, 2012년, pp.43 - 52  

손영주 (제주한라대학교 간호과) ,  송영아 (안산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iscover long-term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Simulation Problem-based learning (S-PBL) on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learning attitude,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at Cheju Halla Colleg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는 임상 간호핵심능력을 갖춘 현장실무형 간호사를 배출할 수 있는 소명을 가지고 PBL과 S-PBL 수업의 효과성을 파악하였고, 효과성 분석을 통해 교수와 임상교육자가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근거를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손영주, 송영아, 최은영, 2009)에서 제언한 대로, 문제중심학습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일개 대학의 간호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종단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실제상황을 적용한 문제중심학습으로 지식, 기술, 태도를 갖춘 전문적인 임상실무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반이 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PBL과 S-PBL의 학습효과로서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학습태도 및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반복측정설계이다.
  • 본 연구는 PBL의 학습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반복측정설계(One group pre-posttest with repeated measure design)이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손영주, 송영아, 최은영, 2009)에서 제언한 대로, 문제중심학습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일개 대학의 간호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종단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실제상황을 적용한 문제중심학습으로 지식, 기술, 태도를 갖춘 전문적인 임상실무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반이 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 •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은 제시되는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하여 문제해결능력 또는 비판적 사고력의 적용과 문제해결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촉진시키는 교수학습방법이다(Barrows & Tamblyn, 1980). 본 연구에서는 통합 교과과정에서 개발한 PBL 교재로 1학년 1학기에 2과목(Nursing 1-1-1, Nursing 1-1-2), 2학년 1학기에 2과목(Nursing 2-1-1, Nursing 2-1-2), 2학년 2학기에 2과목(Nursing 2-2-1, Nursing 2-2-2)에서 5-6 명씩의 다섯 소그룹에 적용하여 튜터가 PBL 진행 절차에 따라 토론과 강의 및 그룹지도를 진행해나가는 학습방법을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 교과과정에 따라 문제중심학습(PBL)과 시뮬레이션 문제중심학습(S-PBL)을 시행하고 있는 일개 대학 간호과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 관련 특성의 변화와 학습효과로서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학습태도 및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 본 연구자는 학습자들의 비판적 사고를 증진시키기 위해 실제 임상상황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제시하였고, 대상자 문제를 파악하고 가설을 설정한 후 간호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또한 자율학습, 조별학습, 성찰저널을 통해 비판적 사고능력이 향상될 수 있음을 기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문제중심학습의 효과를 측정하고, 학습태도와 동기 및 수업만족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중심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실제 임상과 간호교육현장에서 PBL과 S-PBL의 필요성과 적용가능성에 대한 실증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제1가설: PBL과 S-PBL 수업을 받은 학생은 받기 전보다 받은 후 학습관련특성에서 변화가 있을 것이다.
  • 제2가설: PBL과 S-PBL 수업을 받은 학생은 받기 전보다 받은 후 비판적 사고성향에 변화가 있을 것이다.
  • 제3가설: PBL과 S-PBL 수업을 받은 학생은 받기 전보다 받은 후 문제해결능력에 변화가 있을 것이다.
  • 제4가설: PBL과 S-PBL 수업을 받은 학생은 받기 전보다 받은 후 학습태도에 변화가 있을 것이다.
  • 제5가설: PBL과 S-PBL 수업을 받은 학생은 수업을 받기 전보다 받은 후 학습동기에 변화가 있을 것이다.
  • 제6가설: PBL과 S-PBL 수업을 받은 학생은 수업을 받기 전보다 받은 후 수업만족도에 변화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간호환경은 간호사에게 무엇을 요구하는가? 임상간호환경은 간호사가 임상수기능력뿐만 아니라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지식의 통합과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능력을 갖기를 요구한다. 또한 역할중심의 실무자로서 새로운 변화에 적응할 수 있게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자기주도적 자율적 탐구와 팀워크를 위한 간호역량을 갖춘 간호사를 요구한다.
간호실무교육은 어떠한 노력을 해야하는가? 이러한 의료기관의 변화는 간호실무교육에도 많은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즉, 간호실무교육은 간호학생들이 간호사로서 정체성과 임상수행능력을 겸비하여 임상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임상간호핵심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문제중심학습이란 무엇인가? PBL은 학생들에게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임상적 맥락안에서 지식을 구조화하며, 자기성취감을 촉진하고 문제해결 등의 인식력을 높인다. 특히 학습자들이 소그룹 협동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가면서 비판적 사고 습관을 실천하고, 학습의 책임감과 자율성을 기르도록 하는 교수-학습 전략이다(Thomas,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인애(2003). PBL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문음사. 

  2. 구정모, 박정호, 송정범, 배영권, 안성훈, 이태욱(2008). 문제중 심 스토리텔링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습동기 및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2(1), 23-32. 

  3. 김경희(2001). 문제중심학습이 아동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4. 김승현, 정옥분(1997). 제 6차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와 학습만족도 및 주관적 학습효과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9(2), 47-67. 

  5. 김지윤, 최은영(2008). 시뮬레이션 실습이 접목된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PBL 학습요소별 인식과 학업성취도. 성인간호학회지, 20(5), 731-742. 

  6. 김희순(1997). 문제중심학습: 간호교육에서 새로운 학습 방법. 한국간호교육학회지, 6(2), 26-33. 

  7. 남옥수(1999). 소집단 활동중심 교수방법의 수학과 학습효과 분석.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8. 배영숙, 이숙희, 김미희, 선광순(2005). 문제중심학습이 자기주도성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2), 184-190. 

  9. 손영주, 송영아, 최은영(2009). 간호학생에게 적용한 문제중심 학습(Problem Based Learning)의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7(1), 82-89. 

  10. 송영아(2008).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과 주제 중심학습(Subjective Based Learning) 간의 학습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태도 및 동기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55-62. 

  11. 송영아, 신혜숙(2005). RN-BSN 학생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패키지 개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1(2), 99-109. 

  12. 유명란, 최윤정, 강명숙(2009). 문제중심학습이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6(1), 46-55. 

  13. 윤진(2004).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 개발 : 간호학을 중심 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14. 이우숙, 조갑출, 양선희, 노영숙, 이규영(2009). 시뮬레이션 연계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간호기본역량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6(1), 64-72. 

  15. 장희정(1996). 주사방법 교육을 위한 코스웨어 개발 및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16. 정미숙(2006).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문제해결능 력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17. 제주한라대학 PBL 교육연구원 (PRPBLAC, 2004). PBL in nursing. Problem Based Learning Assessment and Research Center. Web site: http://pbl.hc.ac.kr 

  18. 최희정(2004).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메타 인지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34(5), 712-721. 

  19. 한국간호평가원(2011). 간호사 핵심역량, 간호교육 학습성과 (안). Retrieved September 14, 2011, from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Foundation Web site: http://www.kabon.or.kr/HyAdmin/view.php?&ss[sc]1&ss[kw] 핵심역량&bbs_idkab01&page&doc_num307 

  20. 한국교육개발원(KEDI, 1992).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1. 현명선, 김선아(2003). 문제중심 학습 방법(Problem-based learning method)를 통한 대학원 학생들의 학습 경험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2(3), 260-267. 

  22. 황선영, 장금성(2000). 폐암환자 사례를 바탕으로 한 PBL모듈의 개발과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6(2), 390-405. 

  23. Barrow, H. & Tamblyn, R. H. (1980). Problem-based learning: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NY: The Free Press. 

  24. Busari, J. O., Scherpbier, A. J. J. A., & Boshuizen, H. P. A. (1996). Comparative study of medical education as perceived by students at three Dutch universities.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1(2), 141-151. 

  25. Facione, N. C., & Facione, P. A. (1992).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eposition Inventory Test Manual (CCTDI). Millbrae: California Academic Press. 

  26. Hppner, P. P., & Baker, C. E. (1997). Applications of the problem solving inventory. Measurement & Evaluation in Counseling & Development, 29(4), 229-242. 

  27. Kaufman, D. M., & Mann, K. V. (1997). Basic sciences in problem-based learning and conventional curricula: students' attitude. Medical Education, 31(3), 177-180. 

  28. Keller, J. M. (1994).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M. Reigeluth(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29. Thomas, R. E. (1997). Problem-based learning: Measurable outcomes. Medical Education, 31(5), 320-329. 

  30. Tiwari, A., Lai, P., So, M., & Yuen K. (2006).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and lecturing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ritical thinking. Medical Education, 40(6), 547-5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