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기간에 따른 땅두릅 잎김치의 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 i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Kimchi during Storage Peri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8 no.2, 2012년, pp.159 - 165  

신동선 (경기대학교 외식조리관리학과) ,  김명희 (경기대학교 외식조리관리학과) ,  한귀정 (농촌진흥청 농식품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땅두릅잎을 이용하여 양념을 달리한 LA(간장), LB(간장+고춧가루), LC(간장+고춧가루+젓갈)의 잎김치를 제조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총 비타민 C, 환원당, 식이섬유, 총 클로로필, 총 수용성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땅두릅 잎김치의 화학적 특성에서 총 비타민 C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실험군이 감소하였으며 비교적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환원당의 경우 저장 초기부터 완만하게 감소하다가 저장 5개월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이후부터 저장 6개월까지 다소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식이섬유는 전반적으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용성 식이섬유는 증가하고 불용성 식이섬유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식이섬유는 다소 증가하거나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총 클로로필은 저장 1개월에는 다소 감소하다가 저장 3개월에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처리구 LB가 가장 높은 클로로필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구인 LA가 가장 낮은 잔존율를 보였다. 총 수용성 고형분 함량은 저장 초기 LA, LB, LC가 각각 10.3, 10.1, 10.4%이었으며 저장 1개월에는 11.7, 11.3, 12.1%로 다소 증가하였고 저장 3개월에는 12.8, 12.2, 13.0%이었으나 저장 6개월에는 12.0, 11.0, 12.5%로 총 수용성 함량이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땅두릅 잎김치는 양념 및 가공방법을 더 다양화한다면 땅두릅잎은 식품의 적용을 증대시켜 아울러 소비를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cK) $leaf-kimchi$ prepared using different seasonings were examined during storage. In the analysis, no visible changes in the degree of total vitamin C, reducing sugar and total chl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땅두릅잎을 김치로 제조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비타민 C, 환원당, 총 클로로필, 식이섬유, 총 수용성고형분 등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저장음식은 어떻게 이용해 왔는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저장음식은 계절별, 지역별로 많이 생산되는 채소류를 침강하여 다양한 종류의 장아찌를 만들거나 발효식품인 김치를 제조하여 저장 음식으로써 특히 겨울철에 부족하기 쉬운 영양 공급을 보충해 주는 유용한 반찬으로 이용하여 왔다(Jo MS 2003, Chang CH 1988, Lee SW 1988, Lee YN 등 1991). 장아찌를 만드는 방법은 소금물에 절여서 삭히는 방법, 날 것으로 그대로 갖가지 양념을 하여만드는 방법과 갖가지 장으로 가공하는 것을 비롯하여 재료와 만드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땅두릅잎을 이용하여 양념을 달리한 잎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총 비타민 C, 환원당, 식이섬유, 총 클로로필을 분석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땅두릅잎을 이용하여 양념을 달리한 LA(간장), LB(간장+고춧가루), LC(간장+고춧가루+젓갈)의 잎김치를 제조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총 비타민 C, 환원당, 식이섬유, 총 클로로필, 총 수용성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땅두릅 잎김치의 화학적 특성에서 총 비타민 C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실험군이 감소하였으며 비교적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환원당의 경우 저장 초기부터 완만하게 감소하다가 저장 5개월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이후부터 저장 6개월까지 다소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식이섬유는 전반적으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용성 식이섬유는 증가하고 불용성 식이섬유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식이섬유는 다소 증가하거나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총 클로로필은 저장 1개월에는 다소 감소하다가 저장 3개월에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처리구 LB가 가장 높은 클로로필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구인 LA가 가장 낮은 잔존율를 보였다. 총 수용성 고형분 함량은 저장 초기 LA, LB, LC가 각각 10.3, 10.1, 10.4%이었으며 저장 1개월에는 11.7, 11.3, 12.1%로 다소 증가하였고 저장 3개월에는 12.8, 12.2, 13.0%이었으나 저장 6개월에는 12.0, 11.0, 12.5%로 총 수용성 함량이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땅두릅 잎김치는 양념 및 가공방법을 더 다양화한다면 땅두릅잎은 식품의 적용을 증대시켜 아울러 소비를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땅두릅의 잎과 줄기에 포함된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식용은 물론 유익한 약용 산나물 겸 약초로 이용되고 있는 땅두릅은 뿌리에 스테롤, 유기산, 당류, 아미노산, 정유성분, 알칼로이드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Han BH 등 1983). 땅두릅의 잎과 줄기에는 플라보노이드와 쿠마린 등이 들어있는데(Kim JS 등 2005a)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kaempferol, quercetin, astragalin, trifolin, hyperoside, kaempferol 3-O-(6"-O-acetyl-β-D-glucopyrano side) 이며, 이중에서 kaempferol, quercetin, hyperoside이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JS 등 2005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7th ed. rev2. Ch. 32,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Gaithersbrug, Maryland, U.S.A. pp 7-10 

  2. Chang CH. 1988. The future prospect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Korean J Dietary Culture 3(4) : 341-345 

  3. Choi MS, Do DH, Choi DJ. 2002. The effect of mixing beverage with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root on blood pressure and blood constituents of the diabetic and hypertensive elderly. J Korean Soc Food Sci Nutr 15(2) : 165-172 

  4. Choi YH. 2003. Changes in vitamin C and minerals content of perilla leaves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19(2) : 174-180 

  5. Han BH, Han YN, Han KA, Park MH, Lee EO. 1983.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ralia continentalis(I). Arch Pharm Res 6(1) : 17-23 

  6. Han GJ, Jang MS, Shin DS. 2007.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Pickl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3) : 294-301 

  7. Han GJ, Jang MS. 2006.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oring time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Kimchi. Korean J Food Cookery Sci 22(5) : 681-689 

  8. Han GJ, Jang M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Kimchi as affected by storage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9) : 1202-1207 

  9. Han GJ, Shin DS, Jang MS. 2008. A study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40(6) : 680-685 

  10. Han GJ, Shin DS, Jang MS. 2009.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Jangachi by storing time. Korean J Food Cookery Sci 25(1) : 8-15 

  11. Hwang JK. 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s. J Korean Soc Food Nutr 25(4) : 715-719 

  12. Jo MS. 2003. A study of intakes of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8(6) : 601-612 

  13. Kim JS, Kang SS, Lee MW, Kim OK. 2005a.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Aralia continentalis. Korean J Pharmacogn 26(3) : 239-243 

  14. Kim JS, Shim SH, Chae SW, Han SJ, Kang SS, Son KH, Chang HW, Kim HP, Bae KW. 2005b. Saponins and other constituents from the leaves of Aralia elata. Chem Pharm Bull 53(6) : 696-700 

  15. Kim MJ, Kim SD. 1994. The fermentation control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2) : 62-78 

  16. Kim YK, Kim YI. 2000. Feeding value of leaves and stems from Aralia cordata thunberg in Korean native goats. Korean J Anim Sci Technol 42(6) : 897-904 

  17. Lee HJ, Joo YJ, Park CS, Lee JS, Park YH, Ahn JS, Mheen TI. 1999. Fermentation patterns of green onion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2) : 488-494 

  18. Lee JM, Lee HR, Nam SM. 2002. Optimization for pretreatment condition according to salt concentration and soaking time in the preparation of Perilla jangachi. Korean J Dietary Culture 17(1) : 70-77 

  19. Lee JM, Lee SH, Kim HM. 2000. Use of oriental herbs as medicinal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5(1) : 50-56 

  20. Lee SW. 1988. The historical review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Korean J Dietary Culture 3(4) : 331-339 

  21. Lee YN, Sin MJ, Kim BN. 1991.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traditional food. Korean J Dietary Culture 6(1) : 71-81 

  22. Park BH, Cho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2(5) : 600-608 

  23. Park KY, Ha JO, Rhee SH. 1996. A study o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s and crude fiber in Kimchi ingredients and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5(1) : 69-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