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추김치 저장조건에 따른 발효특성 및 오르니틴 함량 변화
Changes in Fermentation Properties and Ornithine Levels of Baechu Kimchi by Storage Condi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4, 2013년, pp.945 - 951  

박기범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수곤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유지현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지선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은선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전종인 (위니아만도(주)연구소) ,  오석흥 (우석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추김치 제조 후 익힘 시간을 달리한 후 김치냉장고에 저장한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과 오르니틴 함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익힘 및 저장 기간별 pH, 산도, 유산균 수 변화, 유산균 속 분포 및 오르니틴 함량 변화 패턴을 조사하였다. 배추김치는 조제 후 $15^{\circ}C$에서 각 시간 별로 익힘 과정을 거친 후 -$1.4^{\circ}C$의 김치냉장고에 60일까지 보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는 익힘시간에 따라서 32 hr(S1), 36 hr(S2), 40 hr(S3), 44 hr(S4), 48 hr(S5)라 명명하였다. 김치냉장고 보관 모드로 전환하기 전 $15^{\circ}C$에서의 저장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준 S5구에서 S1, S2구에 비하여 pH 감소가 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관 시간이 지남에 따라 pH가 4.3~4.4까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젖산농도의 경우 $15^{\circ}C$에서의 저장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준 S5구에서 젖산농도 증가가 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젖산농도는 0.70~0.74까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산균의 경우 모든 시료가 저장 초기 20일 경과까지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20일 이후에는 S4, S5 시료가 S1, S2, S3 시료에 비하여 좀 더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유산균 속은 저장 40일 기준으로 S5 시료에서 바이셀라 속 균이 50% 이상 검출되었다. 오르니틴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저장 40~50일차에 최대치를 보였으며, S4, S5 시료의 경우 오르니틴 함량은 100그램당 최대 130mg과 170mg까지 증대되었다. 그러나 S1, S2, S3 시료의 경우는 오르니틴 함량 증대 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김치냉장고 조건에서 김치를 저장하기 전 $15^{\circ}C$ 조건에서 44~48시간을 발효한 후 김치냉장고에 40~50일 보관하면 김치 100그램 중의 오르니틴 함량을 최대 130~170mg까지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그 중에서도 S5 (48 hr) 조건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fermentation properties and ornithine levels of Baechu Kimchi by storag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After making and fermenting Kimchi at $15^{\circ}C$ for 32 hr (S1), 36 hr (S2), 40 hr (S3), 44 hr (S4), and 48 hr (S5) during the first 10 days of storage. The Kimchi sampl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는 조개류나 재첩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Uchisawa 등 2004), 최근 김치의 발효과정 중 전구물질인 아르기닌의 감소와 오르니틴의 급격한 생성이 관찰되기도 하였다(Kim 2010; Moon 등 2012). 따라서 본 연구는 김치 제조 후 정해진 온도(15℃)에서 익힘 시간을 달리하여 김치를 숙성 후, 김치냉장고 저장을 통해서 오르니틴의 함량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조건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서 소비자들에게는 오르니틴 생성 유산균과 오르니틴 함량이 증진된 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추김치의 주재료와 부재료는 무엇인가? 한국의 전통발효식품 중 하나인 배추김치는 배추를 주재료로 하고, 마늘, 고추, 양파, 부추, 파, 생강, 젓갈, 소금 등 다양한 부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다(Kim 등 2011; Rhee 등 2011). 전통적인 김치는 젖산균의 첨가 없이도 주재료와 부재료에서 유래한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서 발효되고, 김치 고유의 맛, 향, 영양소, 생리활성물질 들을 만들어낸다.
김치가 세계5대 건강식품 중의 하나로 선정된 이유는? 김치에는 바타민 B, C 등 각종 비타민류, 식이섬유, 베타-시토스테롤, 클로로필 그리고 풍부한 유산균과 GABA, 오르니틴 등 다양한 발효생성물 등의 기능성 영양소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Oh 등 2008; Rhee 등 2011; Moon 등 2012; Park 등 2012; Choi 등 2013). 김치가 세계5대 건강식품 중의 하나로 선정되는 데에는 김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비타민과 풍부한 유산균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Choi 등 2013). 또한 김치는 항비만, 항암, 항산화, 항당뇨, 섬유소 용해능 등을 포함하는 많은 기능성을 가지고 있음이 그 동안의 연구를 통해 확인된 바 있다(Moon 등 2012; Park 등 2012; Choi 등 2013).
한국의 전통발효식품 중 하나인 김치는 어떤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가? 김치가 세계5대 건강식품 중의 하나로 선정되는 데에는 김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비타민과 풍부한 유산균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Choi 등 2013). 또한 김치는 항비만, 항암, 항산화, 항당뇨, 섬유소 용해능 등을 포함하는 많은 기능성을 가지고 있음이 그 동안의 연구를 통해 확인된 바 있다(Moon 등 2012; Park 등 2012; Choi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rena ME, Saguir FM, Manca de Nadra MC. 1999. Arginine, citrulline and ornithine metabolism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wine. Int J Food Microbiol 52:155-161 

  2. Bucci L, Hickson JF, Pivarnik JM, Woimsky Ira, McMahon JC, Tumer SD. 1990. Ornithine ingestion and growth hormone release in body-builders. Nutr Res 10:239-245 

  3. Bucci LR, Hickson JF Jr, Wolinsky I, Pivarnik JM. 1992. Ornithine supplementation and insulin release in bodybuilders. Int J Sport Nutr 2:287-291 

  4. Cho JH, Lee DY, Yang CN, Jeon JI, Kim JH, Han HU. 2006. Microbial population dynamics of Kimchi, a fermented cabbage product. FEMS Microbial Lett 257:262-267 

  5. Choi IH, Noh JS, Han JS, Kim HJ, Han ES, Song YO. 2013. Kimchi, a fermented vegetable, improves serum lipid profiles in healthy young adults: randomized clinical trial. J Med Food 16:223-229 

  6. Elam RP, Hardin DH, Sutton RA, Hagen L. 1989. Effects of arginine and ornithine on strength, lean body mass and urinary hydroxyproline in adult males. J Sports Med Phys Fitness 29:52-56 

  7. Jung JY, Lee SH, Kim JM, Park MS, Bae JW, Hahn YS, Madsen EL, Jeon JO. 2011. Metagenomic analysis of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Appl Environ Microbiol 77:2264-2274 

  8. Kim B, Seo WT, Kim MG, Yun HD, Cho KM. 2012. Metagenomic lactic acid bacterial diversity during Mulkimchi fermentation based on 16S rRNA sequenc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5:787-792 

  9. Kim EK, An SY, Lee MS, Kim TH, Lee HK, Hwang WS, Choe SJ, Kim TY, Han SJ, Kim HJ, Kim DJ, Lee KW. 2011. Fermented Kimchi reduces body weight and improves metabolic parameters in overweight and obese patients. Nutr Res 31:436-443 

  10. Kim M, Chun J. 2005.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Kimchi, a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 as revealed by 16S rRNA gene analysis. Int J Food Microbiol 103:91-96 

  11. Kim MJ. 2010.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imchi using lactic acid bacteria having GABA and ornithine producing capacity and its some functional properties.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 Jeonju, Korea 

  12. Lee D, Kim S, Cho J, Kim J. 2008. Microbial population dynamics and temperature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jang kimchi. J Microbial 46:590-593 

  13. Lee CH. 1997. Lactic acid fermented foods and their benefits in Asia. Food Control 9:259-269 

  14. Liu SQ, Holland R, Crow VL. 2003. The potential of dairy lactic acid bacteria to metabolise amino acids via non-transaminating reactions and endogenous transamination. Int J Food Microbiol 86:257-269 

  15. Moon YJ, Soh JR, Yu JJ, Sohn HS, Cha YS, Oh SH. 2012.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inhibitory effect of Weissella koreensis OK1-6 isolated from Kimchi on differentiating adipocyte. J Applied Microbiology 113:652-658 

  16. Muting D, Kalk JF. 1992. Long-term effectiveness of highdosed ornithine-aspartate on urea synthesis rate and portal hypertension in human liver cirrhosis. Amino Acids 3:147-153 

  17. Noh JS, Seo HJ, Oh JH, Lee MJ, Kim MH, Cheigh HS, Song YO. 2007. Development of auto-aging system built in Kimchi refrigerator for optimal fermentation and storage of Korean cabbage Kimchi. Kor J Foof Sci Technol 39:432-437 

  18. Oh SH, Kim HJ, Kim YH, Yu JJ, Park KB, Jeon JI. 2008. Changes in some physic-chemical properties and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J Food Sci Nutr 13:219-224 

  19. Park KB, Oh SH.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buchneri strains with high ${\gamma}$ -aminobutyric acid producing capacity from naturally aged cheese. Food Sci Biotechnol 15:86-90 

  20. Park JA, Tirupathi Pichiah PB, Yu JJ, Oh SH, Daily J. III, Cha YS. 2012. Anti-obesity effect of Kimchi fermented with Weissella koreensis OK1-6 as starter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C57BL/6J mice. J Applied Microbiology 113:1507-1516 

  21. Rhee SJ, Lee JE, Lee CH. 2011. Importance of lactic acid bacteria in Asian fermented foods. Microbial Cell Factories 10(Suppl 1):S5,1-13 

  22. Shi HP, Fishel RS, Efron DT, Williams JZ, Fishel MH, Barbul A. 2002. Effect of supplemental ornithine on wound healing. J Surgical Res 106:299-302 

  23. Uchisawa, H, Sato A, Ichita J, Matsue H, Ono T. 2004. Influence of low-temperature processing of the brackish water bivalve, Corbicula japonica, on the ornithine content of its extract. Biosci Biotechnol Biochem 68:1228-1234 

  24. Yu JJ, Park HJ, Kim SG, Oh SH. 2009.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eissella strains with high ornithine producing capacity from Kimchi. Kor J Microbiol 45:339-345 

  25. Yu JJ, Oh SH. 201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with ornithine producing capacity from natural sea salt. J Microbiology 48:467-472 

  26. Yu JJ, Kim SG, Seo KY, Oh SH. 2011.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rnithine-producing Enterococcus faecalis OA18 from Kefir grain. Kor J Microbiology 47:218-2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