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GABA 함량이 높은 청국장을 발효하는 균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ABA-producing Microorganism from Chungkookjang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1 = no.153, 2013년, pp.102 - 109  

맹소연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은아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가영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로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대연 (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  손홍주 (부산대학교 생명환경화학과) ,  김동섭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청국장으로부터 우수한 발효 균주들을 분리하여 재래식으로 청국장을 제조하고, 제조된 청국장의 생리활성 물질인 GABA를 유지 및 보강하면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청국장 발효능이 뛰어난 종균을 찾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 가운데 GABA의 함량이 높은 청국장을 생산하는 MC 31을 실험균주로 선택하였고 API Kit와 16S rDNA sequence를 통하여 Bacillus subtilis MC 31로 명명하였다. B. subtilis MC 31의 최적배지와 온도, 시간을 찾아본 결과 LB 배지에서 $37^{\circ}C$, 24시간이 가장 높은 생육을 나타내었다. GABA 생산에 적합한 발효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여 최적 조건을 찾아본 결과 B. subtilis MC 31는 $40^{\circ}C$에서 72시간에 가장 많은 GABA를 생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solate GABA-producing microorganisms, 1,500 strains were isolated from different Chungkookjang samples and screened. From these strains, 20 were selected for further analyses based on a protease and slime-producing activity test. The MC 31 strain showed the highest GABA concentration in Chungk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두에 함유된 GABA와 같은 생리활성물질들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연구가 발표되었으나 발효를 통해 증진시키는 미생물 관련 연구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두를 청국장이나 된장으로 발효 시 GABA가 증가한다는 다양한 보고들을 바탕으로 청국장 발효능이 뛰어난 종균을 찾기 위해 여러 가지 청국장들로부터 발효 균주들을 분리하고, 분리된 균주들 가운데 GABA의 함량이 높은 청국장을 생산하는 실험균주를 선택하였다. 선택된 실험균주를 동정 하고, GABA의 대량 생산에 적합한 발효 온도와 시간을 살펴보았다.
  • B. subtilis MC 31로 부터 GABA대량 생산의 최적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온도와 시간이 균의 GABA생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B.

가설 설정

  • 4).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배양 시간을 대수기에서 정지기로 들어가는 6시간으로 정하였다. Park [22] 등은 Bacillus s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낫토와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청국장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다른 나라에서도 대두를 이용하여 그 나라의 기호에 맞는 발효식품들이 발전하였는데, 그 예로 중국의 간장, 된장 및 청국장과 일본의 natto, 인도네시아의 tempeh을 들 수 있다[8]. 우리나라의 청국장은 일본의 natto에 비해 원료의 차이는 없지만 발효과정 중 대두의 종류도 다양하게 쓸 수 있고 단일 균이 아닌 다양한 미생물이 관여하여 세균 주도형 발효패턴을 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27]. 우리 나라 전통대두발효식품인 청국장은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많고 소화율이 높은 고단백식품[19]으로 다른 전통장에 비해 담그는 기간이 짧고 방법이 간단하다.
다른 나라의 대두 발효 식품은 무엇이 있습니까? 그러나 콩은 조직이 단단하여 그대로 삶거나 볶아서 섭취하기에는 소화흡수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대두를 가공하거나 발효시켜 소화율과 영양가를 높여서 섭취하기 위한 식품들이 개발되었고, 청국장은 대두를 짧은 기간에 발효시키는 식품으로 한국의 뚜렷한 사계절 기후에 맞는 독특한 조리법으로 발달되어 왔다[12]. 다른 나라에서도 대두를 이용하여 그 나라의 기호에 맞는 발효식품들이 발전하였는데, 그 예로 중국의 간장, 된장 및 청국장과 일본의 natto, 인도네시아의 tempeh을 들 수 있다[8]. 우리나라의 청국장은 일본의 natto에 비해 원료의 차이는 없지만 발효과정 중 대두의 종류도 다양하게 쓸 수 있고 단일 균이 아닌 다양한 미생물이 관여하여 세균 주도형 발효패턴을 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27].
우리나라의 청국장의 제조 방법은? 우리 나라 전통대두발효식품인 청국장은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많고 소화율이 높은 고단백식품[19]으로 다른 전통장에 비해 담그는 기간이 짧고 방법이 간단하다. 전통적인 청국장은 대두를 18시간 이상 불려서 익힌 다음 볏짚에 있는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40℃에서 2~3일 정도 발효를 시켜 만든다[20]. 청국장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숙성 과정 중 균으로부터 각종 효소가 생성이 되고 그 효소들이 청국장에 작용하여 대두 성분들을 분해해 소화를 증진시키고 발효과정 중 특이한 향미와 구수한 맛을 형성하는 동시에 끈끈한 점질물을 생성시킨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 M. K., Ahn, J. B., Lee, S. H. and Lee, K. G. 2010. Analysis of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 in germinated pigmented rice. Food Sci Tech 42, 632-636. 

  2. Byun, M. W., Son, J. H., Yook, H. S., Jo, C. and Kim, D. H. 2002.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Korean soybean fermented foods, Chungkookjang and Doenjang. Radiat Phys Chem 64, 245-248. 

  3. Eom, S. M. 2006. Changes in chemical constituents of soybeans during germin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u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M.S.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4. Hong, J. Y., Choue, R. W., Baek, J. Y., Cho, H. J. and Song, Y. B. 1999.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serum vitamin K concentration and bone metabolism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21, 287-295. 

  5. Jeo, G., Lee, M. Y., Yoon, J. Y., Jang, S., Jung, M., Jeong, H. S. and Lee, J. 2010.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selected medicinal plant extracts on GABA content after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54-158. 

  6. Joo, H. K. 1996. Studies on chemical composition of commercial Chungkukjang and flavor compounds of Chungkukjang by mugwort (Artimisia asiatica) or red pepper seed oil. Korea Soybean Digest 13, 44-56. 

  7. Jo, S. J., Hong, C. O., Yang, S. Y., Choi, K. K., Kim, H. K., Yang, H and Lee, K. W. 2011. Changes in contents of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and isoflavones in traditional korean Doenjang by ripening peri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57-564. 

  8. Jung, D. H. and Sim, S. K. 1994. Fermented soybean foods, pp. 3, Pond of intellect, Korea. 

  9. Kang, M. J., Kim, J. I. and Kwon, T. W. 2003. Effect of Chungkukjang on blood glucose and lipid profile in neonatal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Food Sci Biotechnol 12, 544-547. 

  10. Katagiri, M., Shimizu, S. 1989. ${\alpha}$ -aminobutyric acid accumulation in bean sprouts (soybean, black gram, green gram) treated with carbon dioxide. Nippon Shokuhin Kagaku Kougaku Kaishi 36, 916-919. 

  11. Kim, B. N. and Lee, S. Y. 1995. Nattokinase, ${\gamma}$ -GTP, protease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of natto added with spice. J Korean Soc Food Nutr 24, 228-233. 

  12. Kim, J. U., Park, S. G. and Kim, J. H. 1999. Food technology. pp. 44. Munundang. 

  13. Kim, S. H., Yang, J. L. and Song, Y. S. 1999.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ungkukjang. Food Ind and Nutr 4, 40-46. 

  14. Kim, W. K., Choi, K., Kim, Y. T., Park, H. H. and Lee, S. Y. 1996.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ytic enzyme produced from Bacillus sp. strain CK 11-4 screened from Chungkook-Jang. Appl Environ Microbiol 62, 2482-2488. 

  15. Kim, Y. T., Kim, W. K. and Oh, H. I. 1995.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the fibrinolytic bacterial strain from Chungkookjang. Korean J Appl Microbial Biotechnol 23, 1-5. 

  16. Koh, H. J. 2001. A study on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ase producing bacteria. M.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7. Kum, J. S., Choi, B. K., Lee, H. Y. and Park, J. D.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Preserv 11, 182-188. 

  18. Lee, H. C. and Won, M. B. 1995. Mystery of Chungkookjang, Shinkwangpub, Korea. 

  19. Lee, I. B., Choi, K. J., K. K., Chuag, K. W. and Kim, K. J. 1992. Tocopherols and fatty acids in plant seeds from Korea. J Korean Agric Chem Soc 35, 1-5. 

  20. Lee, J. O., Ha, S. D., Kim, A. J., Yuh, C. S., Bang, I. S. and Park, S. H. Industrial application and physiogical functions of Chongkukjang. 2005. Food Sci Indu 38, 69-78. 

  21. Lim, A. D. and Kim, K. S. 2009. Effects and utilization of GABA. Korean J Dairy Sci Technol 27, 45-51. 

  22. Park, J. C., Yoo, J. H., Cha, J. Y., Kim, M. S and Cho, Y. S. 2004.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optimal culture condition of Bacillus sp. FF-9 having antifungal on the turf grass pathogens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II-II.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373-378. 

  23. Pyo, Y. H. 2008. Effect of monascus-fermentation on the content of GABA and free amino acids in soyb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08-1213. 

  24. Sawai, Y., Konomi, K., Odaka, Y., Yoshitomi, H., Yamaguchi, Y., Miyama, D. and Takeuchi, A. 1999. Repeating treatment of anaerobic and aerobic incubation increases the amount of ${\alpha}$ -aminobutyric acid in tea shoots.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46, 462-466. 

  25. Shon, M. Y., Seo, K. I,, Lee, S. W., Choi, S. H. and Sung, N. J. 2000. Biological activities of Chungkugjang prepared with black bean and changes in phytoestrogen content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36-941. 

  26. Wei, H., Wei, L., Frenkel, F., Brown, R. and Bames, S. 1993. Inhibition of tumor promoter-induced hydrogen peroxid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by genistein. Nutr Cancer 20, 1-12. 

  27. Yoshikatsu, murooka. and Mitsuo, yamshita. 2008. Traditional healthful fermented products of Japan. J Ind Microbiol Biotechnol 35, 791-798. 

  28. Xiao, L. Y. 2011. Identification of three strains isolated from Cheonggukjang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crude protease and amylase. M.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9. Zhang, G. and Bown, A. W. 1997. The rapid determin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Pytochemistry 44, 1007-1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