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부 위장관 출혈 환자 간호의 시뮬레이션-기반 학습효과와 만족도
Outcomes and Satisfaction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of Patient with UGI Bleed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3, 2013년, pp.1274 - 1282  

류언나 (신성대학교 간호학과) ,  박연숙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하은호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부 위장관 출혈 환자 간호에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을 적용하여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자신감 변화와 시뮬레이션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간호대학생 7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방법은 단일군 전후설계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자신감 변화는 paired t-test를, 시뮬레이션 만족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자신감 점수는 시뮬레이션 전에 비해 후의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시뮬레이션 만족도 점수는 4.20점(5점 척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자 만족도와 동기유발 항목에서 4.54점으로 제일 높은 점수를 보였다.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이 임상수행능력과 학습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므로 다양한 주제로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을 간호학 교과과정에 적용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reinforcement in patient's rights and safety, simulation-based learning is getting popular in nursing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utcomes and satisfaction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on patient with UGI bleeding. Participants of this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위와 같은 시뮬레이션-기반 학습의 장점을 토대로, 본 연구는 저자의 시뮬레이션-기반 학습 교육경험과 전문지식을 근거로 제작한 생동감 있고 현실적인 시나리오와 객관적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등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기반 학습에 한 번도 노출되지 않은 간호학생들에게 위장관 출혈과 같은 응급상황을 적용했을 때, 교육효과로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자신감의 변화와 시뮬레이션-기반 학습의 만족도가 어느 정도 인지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선행연구들을 보면 시나리오 개발을 하고 개발된 시나리오를 평가하는 수준에서 수행도 평가 및 만족도를 측정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고, 시나리오의 주제도 발열환아 간호[12], 산과간호영역[9], 두부손상 환자 간호[13], 천식환자 간호[14] 등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기반 학습은 무엇인가? 시뮬레이션-기반 학습은 환자에게 해를 가하지 않는 안전한 환경에서 술기․비술기적 간호활동 및 팀 역량 증진, 다학제적 보건의료팀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고도로 진화된 교육방법이다[3]. 임상과 유사한 가상 상황 및 현실감 있는 시나리오를 통해 학생들은 임상 실습에서 경험할 수 없었던 간호활동을 환자시뮬레이터와 표준화 환자를 통해 적용할 수 있으므로 현 임상 실습의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대처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의사결정 능력 등의 향상으로 임상 현장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4].
시뮬레이션 운영에서 브리핑은 무엇을 제공하였는가? 시뮬레이션 운영은 브리핑(briefing), 시뮬레이션 운영과 디브리핑(debriefing) 순서로 진행하였다. 브리핑에서는 시뮬레이션-기반 학습, SimMan simulator, 기구, 물품, 진행절차, 평가방법, 병실환경, 시나리오와 환자 개요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물품과 기계 작동 등을 직접 만져보는 시간을 가지고 실습해보게 하였다. 대상자를 2개의 팀으로 나누어 오전, 오후로 진행하였고 한 조에 3-4명씩 배정하였다.
임상과 유사한 가상 상황 및 현실감 있는 시나리오를 통해 학생들은 무엇을 극복하고 적응할 수 있는가? 시뮬레이션-기반 학습은 환자에게 해를 가하지 않는 안전한 환경에서 술기․비술기적 간호활동 및 팀 역량 증진, 다학제적 보건의료팀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고도로 진화된 교육방법이다[3]. 임상과 유사한 가상 상황 및 현실감 있는 시나리오를 통해 학생들은 임상 실습에서 경험할 수 없었던 간호활동을 환자시뮬레이터와 표준화 환자를 통해 적용할 수 있으므로 현 임상 실습의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대처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의사결정 능력 등의 향상으로 임상 현장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4]. 교수자는 학생들의 간호수행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관찰할 수 있고, 끊임없는 질문과 대답이 연속되는 소크라테스식 문답법(Socrates method)을 이용한 디브리핑을(debriefing) 통해 자기성찰 및 반복학습을 도와줄 수 있으며,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여 학습에 대한 관심과 몰입, 긍정적 행동변화 등을 이끌어 낼 수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2, February 5). "Address book: National college of nursing and hospital". Retrieved May 31, 2012, from DOI http://www.koreanurse.or.kr/, 2012. 

  2. Lee JH, Kim SS, Yeo KS, Cho SJ & Kim HL. "Experienc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high-fidelity simulation education; a focus group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5, No. 2, pp. 183-193, 2009.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09.15.2.183 

  3. Crea KA. "Practice skill development through the use of human patient simulation".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Vol. 75, No. 9, pp. 188, 2011. DOI: http://dx.doi.org/10.5688/ajpe759188 

  4. Maxson PM, Dozois EJ, Holubar SD, Wrobleski DM, Dube JA & Klipfel JM et al. "Enhancing nurse and physician collaboration in clinical decision making through high-fidelity interdisciplinary simulation training" Mayo clinic proceeding, Vol. 86, No. 1, pp. 31-36, 2011. DOI: http://dx.doi.org/10.4065/mcp.2010.0282 

  5. Hamman WR, Beaubien JM & Beaudin-Seiler BM. "Simulation for the training of human performance and technical skills: the intersection of how we will train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the future".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Vol. 1, No. 2, pp. DOI: http://dx.doi.org/10.4300/JGME-D-09-00055.1 

  6. Wotton K, Davis J, Button D & Kelton M. "Third-yea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high-fidelity simul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9, No. 11, pp. 632-9, 2010. DOI: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00831-01 

  7. Seybert AL & Kane-Gill SL. "Elective course in acute care using online learning and patient simulation".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Vol. 75, No. 3, pp. 54, 2011. DOI: http://dx.doi.org/10.5688/ajpe75354 

  8. McLaughlin SA, Doezema D & Sklar DP. "Human simulation in emergency medicine training: a model curriculum". Academic Emergency Medicine, Vol. 9, No. 11, pp. 1310-1318, 2008. DOI: http://dx.doi.org/10.1111/j.1553-2712.2002.tb01593.x 

  9. Lee YS & Kim MO. "Effect and adequacy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obstetrical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1, No. 4, pp. 433-443, 2011.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1.41.4.433 

  10. Marken PA, Zimmerman C, Kennedy C, Schremmer R & Smith KV. "Human simulators and standardized patients to teach difficult conversations to interprofessional health care teams".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Vol. 74, No. 7, Article 120, 2010. DOI: http://dx.doi.org/10.5688/aj7407120 

  11. Robinson JD, Bray BS, Willson MN & Weeks DL. "Using human patient simulation to prepare student pharmacists to manage medical emergencies in an ambulatory setting".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Vol. 75, No. 1, Article 3, 2011. 

  12. Kim HR & Choi EJ. "Development of a scenario and evaluation for simbaby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children with fever in emergency uni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1, No. 6, pp. 279-288, 2011.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1.11.6.279 

  13. Baek ML. "Development of scenario and evalua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head trauma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15, No. 2, pp. 55-66, 2011. 

  14. Ko IS, Kim HS, Kim IS & Kim SS. "Development of a scenario and evaluation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patients with asthma in emergency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7, No. 3, pp. 371-381, 2010. 

  15. Park JS. "Accreditation standards for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assessment". Seoul: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12. 

  16. Yoo MS.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01. 

  17. Pittini R, Oepkes D, Macrury K, Reznick R, Beyene J & Windrim R. "Teaching invasive perinatal procedures: assessment of a high fidelity simulator-based curriculum". Ultrasound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 19, pp. 478-483, 2002. DOI: http://dx.doi.org/10.1046/j.1469-0705.2002.00701.x 

  18. Jude DC, Gilberte CG & Magrane D. "Simulation training in the obstetrics and gynecology clerkship".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 195, pp. 1489-1492, 2006. DOI: http://dx.doi.org/10.1016/j.ajog.2006.05.003 

  19. McCaughey CS & Traynor MK. "The role of simulation in nurse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Vol. 30, pp. 827-832, 2010.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10.03.00 

  20. Rhodes ML & Curran C. "Use of the human patient simulator to teach clinical judgement skills in a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Vol. 23, No. 5, pp. 256-262, 2005. DOI: http://dx.doi.org/10.1097/00024665-200509000-00009 

  21. KoSSH(Korea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Manual of simulation in healthcare". Seoul: Yedang Books, 2010. 

  22. Alinier G, Hunt B, Gordon R & Harwood C. "Effectiveness of intermediate-fidelity simulation training technology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54, pp. 359-369,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6.03810.x 

  23. Swenty CF & Eggleston BM. "The evaluation of simulation in a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 2, pp. 1-7, 2010. 

  24. Bailie L & Curzio J. "Students' and facilitators' perceptions of simulation in practice learning".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 9, pp. 297-306, 2009. DOI: http://dx.doi.org/10.1016/j.nepr.2008.08.007 

  25. Mole LJ & McLafferty IH. "Evaluating a simulated ward exercise for third year student nurse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 4, pp. 91-99, 2004. DOI: http://dx.doi.org/10.1016/S1471-5953(03)00031-3 

  26. Lasater K. "High fidelity sim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judgement: students' experienc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6, No. 6, pp. 269-27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