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측방 보행 훈련이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Balance and Gait for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Side Walking Train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1 no.1, 2013년, pp.1 - 9  

김인섭 (대전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전승재 (경남정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건철 (대전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안병욱 (통영서울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the ability to walk, balance after side walking training of hemiplegic patients caused by stroke. Method : The subjects were training before stroke onset whether more than one year elapsed 15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patient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측방 보행이라는 단일 과제훈련을 통한 균형 및 보행능력의 향상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측방 보행훈련 후에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가 퇴원 후에도 스스로 쉽게 할 수 있는 훈련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 하였다.
  • 본 연구는 1년 이상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형적인 물리치료와 측방 보행 훈련을 한 후 균형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 본 연구는 발병 1년이 지난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측방 보행 훈련이 만성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 96으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리치료사 1인을 동행하였다.
  • 5) 보행 시 보행을 방해할 정도의 연합반응이 나타나는 자는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실험에 참여하기 전 실험 목적 및 방법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하고 자발적인 실험 참여에 동의한 자에 한하여 평가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에 의한 편마비 환자들이 다양한 재활치료를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뇌졸중의 징후로는 근력 약화, 강직, 통증, 그리고 감각기관과 평형성의 손상으로 인한 운동능력의 감소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이 감소된 운동능력은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위해 필요한 보행(gait), 계단 오르기(stair climbing), 자리에서 일어서기(sit to standing), 그리고 돌기(turning) 등과 같은 기본적인 활동의 제한을 초래한다(Sharp & Brouwer, 1997). 그렇기 때문에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들은 기능적 독립수준 향상을 위해 일상생활 동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최소화하고 장애예방을 위해 다양한 재활치료를 받고 있다(Verheyden 등, 2004).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의 허혈성 및 출혈성 등의 손상에 의한 혈액순환 장애로 일어나는 의식 장애와 운동마비를 수반하는 증후군(한태륜등, 1992)이며, 우리나라에서 10만 명 중 51.5명이 사망하는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로(통계청, 2010),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심각한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다(정철, 1993).
뇌졸중에 의한 편마비 환자들은 어떤 증상을 보이는가? 뇌졸중에 의한 편마비 환자들은 앉아 있거나, 서기, 걷기 등에서 균형유지 능력이 저하되며, 이는 보행 및 일상생활 활동의 제약을 초래하고, 이로 인한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정한영, 2005). 뇌졸중 급성기 이후 살아남은 환자의 20~30%는 보행을 할 수 없으며, 나머지 대부분의 사람들 역시 보행장애를 가지게 된다(Van de Port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주진(2000). 측방 보행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환자의 보행 및 체중 부하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왕곤(2011). 걷기 방향에 따른 하지의 근활성도와 족저압의 비교.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이동진, 조유미, 이완희(2007). 과제관련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정적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지, 18(6), 61-69. 

  4. 장순자, 김범준, 김창원 등(1999). 편마비 환자에서 단하지 보조기 및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후 보행 양상 변화, 대한재활의학회지, 23(4), 853-860. 

  5. 정철(1993). 허혈성 뇌졸중의 재발과 연관된 위험인자.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정한영(2005). 뇌졸중 환자에서 Berg 균형 검사와 FIM 검사와의 상관관계. 대한재활의학회지, 29(2), 167-170. 

  7. 통계청, 우리나라 사망원인. 2010. 

  8. 한태륜, 김진호, 성덕현(1992). 뇌졸중 환자에 있어서 Mini-Mental State 검사와 기능적 회복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6(2), 118-122. 

  9. Ada L, Dean CM, Hall JM, et al(2003). A treadmill and over ground walking program improves walking in persons residing in the community after stroke: a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84(10), 1484-1491. 

  10. Bale M, Strand L(2008). Does functional strength training of the leg in subacute stroke improve physical performac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2(10/11), 911-921. 

  11. Basmajian JV, Wolf SL(1990). Therapeutic exercise. 5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2. Bergfield JA, Anderson TE(1985). Achieving mobility, strength length variation on oxygen uptake during distance running. Med. Sci. Sports Exerc, 14, 30-35. 

  13.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2000).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81(4), 409-417. 

  14. De Oliveira CB, De Medeiros IR, Frota NA, et al(2008). Balance control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Main tools for evaluation. J Rehabil Res Dev, 45(8), 1215-1226. 

  15. Dettman MA, Linder MT, Sepic SB (1987). Relationships among walking performance, postural stability, and functional assessments of the hemiplegic patient. Am J Phys Med, 66(2), 77-90. 

  16. Fujisawa H, Takeda R(2006). A new clinical test of dynamic standing balance in the frontal plane: the side-step test, Clin Rehabil, 20(4), 340-346. 

  17. Keenan MA, Perry J, Jordan C(1984). Factors affecting balance and ambulation following stroke. Clin Orthop Res, 182, 165-171. 

  18. Krebs DE, Scarborough DM, McGibbon CA(2007). Functional vs strength training in disabled elderly out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86(2), 93-103. 

  19. Kwakkel G, Wagenaar RC, Koelman TW, et al(1997). Effects of intensity of rehabilitation after stroke: a research synthesis. Stroke, 28(8), 1550-1556. 

  20. Liston RA, Brouwer BJ(1996).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s obtained from stroke patients using the Balance Master. Arch Phys Med Rehabil, 77(5), 425-430. 

  21. Morris SL, Dodd KJ, Morris ME(2004). Outcomes of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following stroke: a systematic review. Clin Rehabil, 18(1), 27-39. 

  22. Podsiadlo D, Richardson S(1991).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39, 142-148. 

  23. Rosen E. Sunnerhagen KS, Krueter M(2005). Fear of falling, balance, and gait velocity in patients with stroke. Physiother Theory Pract, 21(2), 113-120. 

  24. Salbach NM, Mayo NE, Hanley JA, et al(2004). A task-orientated intervention enhances walking distance and speed in the first year post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18(5), 509-519. 

  25. Sharp SA, Brouwer BJ(1997).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 Phys Med Rehabil, 78(11), 1231-1236. 

  26. Tyson SF, Desouza LH(2004).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unctional balance tests post stroke. Clin Rehabil 18(8), 916-923. 

  27. Van de Port IG, Kwakkel G, van Wijk I, et al(2006). Susceptibility to deterioration of mobility long-term after stroke: A prospective cohort study. Stroke, 37(1), 167-171. 

  28. Verheyden G, Nieuwboer A, Mertin J, et al(2004). The Trunk Impairment Scale: a new tool to measure motor impairment of the trunk after stroke. Clin Rehabil, 18(3), 326-3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