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어묵의 유통기한을 예측하기 위해서 어묵을 30, 35, $40^{\circ}C$에서 각각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중 총 호기성균 수를 측정하였다. Gompertz model을 이용하여 최대성장속도와 유도기를 구하였고, 각 parameter의 온도 의존성에 대한 식을 통해 유통기한에 관한 예측모델 식을 얻었다. 예측모델 식으로부터 계산된 유통기한은 0, 4, $10^{\circ}C$에서 각각 6.9, 5.5, 3.8일이었다. 이렇게 얻어진 예측모델 식의 적합성 평가를 위해 $A_f$$B_f$ 값을 산출한 결과, 각각 1.008, 1.003으로 나타나 예측모델식의 적합성이 뛰어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얻어진 유통기한예측 모델 식은 어묵의 유통기한 설정의 기초연구로써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 predictive model for the shelf-life of fish cake, fish cake was stored at 30, 35, or $40^{\circ}C$ and popul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were determined during storage. Gompertz model parameters were determined and their dependence on temperature formulated as a quadra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산 가공식품인 어묵을 대상으로 온도 변화에 따른 총 호기성균의 성장 변화를 정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을 적용하고, 또한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의 성장패턴에 따른 최대성장속도와 유도기뿐만 아니라 식품의 유통기한을 설정할 수 있는 유통기한 예측모델 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정 온도에서의 미생물 성장 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Gompertz model의 각 parameter(C, B, M)에 대한 quadratic equation을 얻었고, 유통기한 예측모델 식은 Gompertz model로부터 변형된 것으로 Corbo 등(30)과 Raybaudi-Massilia 등(31)의 연구보고에 기초하였다.
  • 2 h로 최대값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기존 식품에서 생육 가능한 병원성 미생물을 접종하여 그 성장패턴을 연구함으로써 식중독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식품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성장패턴을 확인하여 식품의 유통기한을 설정하고자 하는 것이 목표였는데, 본 실험 결과 수학적 모델은 기존 연구에서의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예측모델의 도출뿐만 아니라 일반 세균의 성장패턴도 확인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측미생물학이란? 이러한 경향과 더불어 최근 식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식품 중 미생물의 증식을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 예측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9-12). 예측미생물학은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미생물의 성장패턴을 예측, 이로부터 특정 미생물의 최대성장속도(maximum specific growth rate, μmax), 유도기(lag time, LT) 등을 예측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는데, 수학적 모델에는 미생물의 성장을 표현하는 1차 모델과 미생물의 증식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표현하는 2차 모델, 그리고 균의 종류와 증식조건 등을 입력함으로써 균의 성장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3차 모델 등으로 나눌 수 있다(13,14).
Gompertz model을 이용하여 각 온도 별로 총 72시간의 저장기간 중 어묵에서의 총 호기성균의 최대성장속도와 유도기를 계산한 결과는? 따라서 미생물 성장예측모델 개발 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델인 Gompertz model을 이용하여 각 온도 별로 총 72시간의 저장기간 중 어묵에서의 총 호기성균의 최대성장속도와 유도기를 계산하였다(Table 1). 그 결과 저장온도가 높아질수록 미생물의 최대성장속도는 증가하여 40℃에서 0.146 h-1로 최대를 보였고 반면에 유도기는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30℃에서는 유도기가 최대 6.850 h로 나타나 어묵에서의 총 호기성균의 최대성장속도와 유도기는 모두 온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즉석식품 중 어묵의 특징은? 즉석식품 중 어묵은 어육에 식염 및 부재료를 첨가해 성형한 가공식품으로써 원료의 사용범위가 넓어 어떤 소재라도 배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즉시 섭취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서 간편 식품으로써 그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1). 그러나 어묵은 포장 및 유통 과정에서의 오염이나 제조과정 시 살균되지 않은 유해미생물 등으로 인하여 쉽게 변질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hin HY, Lee YJ, Park IY, Kim JY, Oh SJ, Song KB. 2007. Effect of chlorine dioxide treatment on microbial growth and qualities of fish paste during storag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42-47. 

  2. Cho HO, Kwon JH, Byun MW, Lee MK. 1985. Preservation of fried fish meat paste by irradi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474-481. 

  3.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1. Korean Food Code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mid69&pageNo20&seq11157&cmdv. 

  4. Jo EJ, Ahn ES, Shin DH. 1997. Lipid and microbial changes of fried foods at market during storage. J Fd Hyg Safety 12: 47-54. 

  5. Park YK, Kim HJ, Kim M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ied fish paste added with ethanol extract of on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049-1055. 

  6. Kim MH, Kim YJ, Kim KS, Song YB, Seo WJ, Song KB. 2009. Microbial change in hot peppers, ginger, and carrots treated with aqueous chlorine dioxide or fumaric acid. Korean J Food Preserv 16: 1013-1017. 

  7. Kim HJ, Song HJ, Song KB. 2011.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with ultraviolet-C on the quality of red chicory and pak choi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45-252. 

  8. Nthenge AK, Weese JS, Carter M, Wei CI, Huang TS. 2007. Efficacy of gamma radiation and aqueous chlorine on Escherichia coli O157:H7 in hydroponically grown lettuce plants. J Food Prot 70: 748-752. 

  9. Whiting RC, Buchnan Rl. 1997.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odel for Salmonella enteritidis in pasteurized liquid eggs. Int J Food Microbiol 36: 111-125. 

  10. Hathaway SC, Cook RL. 1997. A regulatory perspective on the potential use of microbial risk assessment in international trade. Int J Food Microbiol 36: 127-133. 

  11. Dalgaard P, Jørgensen LV. 1998. Predicted and observed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seafood challenge tests and in naturally contaminated cold-smoked salmon. Int J Food Microbiol 40: 105-115. 

  12. Moon SY, Peak JM, Shin IS. 2005. Development of predictive growth model of imitation crab sticks putrefactive bacteria using mathematical quantitative assessment mod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012-1017. 

  13. Coleman ME, Marks HM. 1999.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Food Control 10: 289-297. 

  14. Yano N. 1998. Predictive microbiology and its application in food industry. Jpn J Food Microbiol 15: 81-87. 

  15. Dalgaard P. 1995. Modeling of microbial activity and prediction of shelf life of packed fish. Int J Food Microbiol 26: 305-317. 

  16. Dalgaard P, Mejlholm O, Huss HH. 1997. Application of an iterative approach for development of a microbial model predicting the shelf-life of packed fish. Int J Food Microbiol 38: 169-179. 

  17. Gibson DM. 1985. Predicting the shelf life of packaged fish from conductance measurements. J Appl Microbiol 58:465-469. 

  18. Pooni GS, Mead GC. 1984. Prospective use of temperature function integration for predicting the shelf-life of non-frozen poultry-meat products. Food Microbiol 1: 67-68. 

  19. Ratkowsky DA, Ross T. 1995. Modeling the bacterial growth/no growth interface. Lett Appl Microbiol 20: 29-33. 

  20.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0. Manual for Microbial Risk. Assessment available from http://www.nifds.go.kr/nifds/08_part/part02_c_dA.jsp 

  21. Koseki S, Isobe S. 2005. Prediction of pathogen growth on iceberg lettuce under real temperature history during distribution from farm to table. Int J Food Microbiol 104:239-248. 

  22. Koseki S, Mizno Y, Yamamoto K. 2007. Predictive modeling of the recovery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sliced cooked ham after high pressure processing. Int J Food Microbiol 119: 300-307. 

  23. Cho JI, Lee SH, Lim JS, Kwak HS, Hwang IG. 2011. Predictive mathematical model for the growth kinetics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smoked salmon. J Fd Hyg Safety 26:120-124. 

  24. Miles DW, Ross T, Olley J, McMeekin TA. 199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edictive model for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water activity on the growth rat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t J Food Microbiol 38: 133-142. 

  25. Pal A, Labuza TP, Diez-Gonzalez F. 2008. Comparison of primary predictive models to study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at low temperatures in liquid cultures and selection of fastest growing ribotypes in meat and turkey product slurries. Food Microbiol 25: 460-470. 

  26. Zuliani V, Lebert I, Augustin JC, Garry P, Vendeuvre JL, Lebert A. 2006. Modeling the behavior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ground pork as a function of pH, water activity, nature and concentration of organic acid salts. J Appl Microbiol 103: 536-550. 

  27. Cho JI, Lee SH, Lim JS, Kawk HS, Hwang IG. 2011.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odel describing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fresh cut vegetable. J Fd Hyg Safety 26: 25-30. 

  28. Park HS, Bahk GJ, Park KH, Pak JY, Ryu K. 2010. Predictive model for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in Suyu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 487-494. 

  29. Park SY, Choi JW, Yeon JH, Lee MJ, Chung DW, Kim MG, Lee KH, Kim KS, Lee DH, Bahk GJ, Bae DH, Kim KY, Kim CH, Ha SD. 2005. Predictive modeling for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NaCl, and pH. J Microbiol Biotechnol 15: 1323-1329. 

  30. Corbo MR, Del Nobile MA, Sinigaglia M. 2006. A novel approach for calculating shelf life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Int J Food Microbiol 106: 69-73. 

  31. Raybaudi-Massilia RM, Rojas-Grau MA, Mosqueda- Melgar J, Martin-Belloso O. 2008. Comparative study on essential oils incorporated into an alginate-based edible coating to assure the safety and quality of fresh-cut Fuji apples. J Food Prot 71: 1150-1161. 

  32. Nonaka J, Hashimoto H, Takabashi H, Suyama M. 1971. Freshness determination method of fish and shellfish. In Seafood Science. Kouseishow Kouseigaku, Tokyo, Japan. p 72-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