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changes in quality and enzyme activity during Chungkookjang fermentation, germinated- and nongerminated yellow soybeans were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and traditional methods. When the soybean was soaked for 6 h and then watered for 4 days with 2 h-interval at $25^{...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청국장이 볏짚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기 때문에 품질의 일관성 없다는 사실과 발아시킨 콩에는 이전에 존재하던 성분이 대폭 강화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콩의 발아조건 및 기능성 성분 분석, 순수분리된 발효균주를 이용한 청국장 발효조건을 확립하였다. 또한 청국장이 간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조사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청국장이 볏짚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기 때문에 품질의 일관성 없다는 사실과 발아시킨 콩에는 이전에 존재하던 성분이 대폭 강화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콩의 발아조건 및 기능성 성분 분석, 순수분리된 발효균주를 이용한 청국장 발효조건을 확립하였다. 또한 청국장이 간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조사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 콩의 isoflavone (Sigma, USA) 함량은 HPLC (PerkinElmer, USA)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29]. 분쇄한 시료 1 g에 0.
  • 이동상은 시작 시 20% methanol 100에서 50분 후 60% methanol 100이 되도록 하였고, 유속은 1 ml/분이었다. Isoflavone 함량은 표준물질의 농도에 대한 피크의 면적을 표준정량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 청국장과 증류수를 1 : 6 (w/v)의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였다.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각종 발효변수 분석에 사용하였다. 대조구로는 미발아콩에 B.
  • 05% KI] 용액 10 ml을 첨가하였다. 600 nm에서 흡광도를 UV/VIS spectrophotometer (Pharmacia Biotech,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효소 1 unit는 상기 조건에서 blank 흡광도가 10% 감소되는 효소량으로 정의하였다.
  • 동결건조된 청국장 20 g을 증류수 200 ml에 첨가하여 진탕(200 rpm, 20분)한 후, 원심분리(580 ×g, 20분)로 잔여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회수하여 다시 동결건조함으로써 청국장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 ICR 마우스는 방사선 조사된 사료(Purina Mills Inc, Korea)를 자유 급식하였으며, 12시간의 조명주기(08:00~20:00)로 specified pathogen-free 상태인 부산대학교 청정실험동물센터(온도 23 ± 2℃, 상대습도 50 ± 5%)에서 사육하였다. ICR 마우스를 4개 군으로 분류하여 군당 5마리의 실험동물을 임의적으로 배정하였으며, 증류수 음용군(대조군), B. subtilis D7-발아콩 청국장 음용군, B. subtilis D7-미발아콩 청국장 음용군, 볏짚-미발아 콩 청국장 음용군으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이때 청국장 시료는 다음과 같이 조제하였다.
  • 동결건조된 청국장 20 g을 증류수 200 ml에 첨가하여 진탕(200 rpm, 20분)한 후, 원심분리(580 ×g, 20분)로 잔여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회수하여 다시 동결건조함으로써 청국장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추출물을 증류수에 70 m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존데를 통하여 1일 1회 투여하였다. 7일 후에 CO2 가스를 이용하여 마우스를 안락사시킨 후, 부검을 실시하였다.
  • 최종적으로 얻어진 추출물을 증류수에 70 m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존데를 통하여 1일 1회 투여하였다. 7일 후에 CO2 가스를 이용하여 마우스를 안락사시킨 후, 부검을 실시하였다.
  • 청국장 섭취가 혈청 내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24시간 동안 절식하여 CO2 가스를 이용하여 마우스를 안락사시킨 후,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수거하였으며, 혈청 내 효소의 변화는 혈청분석기(HITACHI 7080 Automatic Analyzer, Japan)를 이용하여 ALP (alkaline phosphatase)는 Tietze 방법[28], AST (asparatate aminotransferase) 및 ALT (alanine aminotransferase)는 Reitman과 Frankel의 방법[23]으로 분석하였다.
  • 당류는 청국장 발효과정 중에 원료콩의 전분질이 Bacillus 등의 미생물이 생산한 효소의 작용으로 분해되어 생성되며, 청국장 감미의 주성분이다. 콩에 있는 전분이 glucose로 전환되는 양을 조사하기 위하여 발효 경과에 따른 환원당의 양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B.

대상 데이터

  • 사용된 컬럼은 μ-Bondapak C18 컬럼(Agilent Technologies, USA)이었고, UV detector를 이용하여 254 nm에서 분석하였다.
  • 본 실험에서 청국장 발효를 위하여 사용된 균주는 Lee 등[18]에 의하여 한국의 전통식품인 된장으로부터 분리, 동정된 Bacillus subtilis D7이었으며, 콩은 재배농가에서 직접 구입한 노랑콩(황태, Glycine max L. Merr)이었다.
  •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각종 발효변수 분석에 사용하였다. 대조구로는 미발아콩에 B. subtilis D7을 접종한 것과 미발아콩에 볏짚 끓인 물(100℃, 20분)을 접종한 것을 사용하였다.
  • ICR 마우스는 방사선 조사된 사료(Purina Mills Inc, Korea)를 자유 급식하였으며, 12시간의 조명주기(08:00~20:00)로 specified pathogen-free 상태인 부산대학교 청정실험동물센터(온도 23 ± 2℃, 상대습도 50 ± 5%)에서 사육하였다.
  • 본 연구는 부산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PNU-IACAU)로부터 과학성과 윤리성에 대한 심사를 거쳐 승인을 받아 수행되었다. 식이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8주령의 ICR 마우스이며, 샘타코(Korea)로부터 구입하였다. ICR 마우스는 방사선 조사된 사료(Purina Mills Inc, Korea)를 자유 급식하였으며, 12시간의 조명주기(08:00~20:00)로 specified pathogen-free 상태인 부산대학교 청정실험동물센터(온도 23 ± 2℃, 상대습도 50 ± 5%)에서 사육하였다.

데이터처리

  • 실험결과는 mean ± SD로 제시하였으며, 평균값간의 유의 성은 SPSS (Statistical Package Inc., USA) version 18을 이용하여 one-way ANOVA 분석(Turkey method)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p < 0.05).

이론/모형

  • 생균수는 청국장 1 g을 멸균수 9 ml에 첨가하여 계단희석한 후, 표준평판법에 의하여 배양하여 계수하였다. 환원당은 dinitrosalicylic acid (DNS; Sigma, USA) method [20]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 생균수는 청국장 1 g을 멸균수 9 ml에 첨가하여 계단희석한 후, 표준평판법에 의하여 배양하여 계수하였다. 환원당은 dinitrosalicylic acid (DNS; Sigma, USA) method [20]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 아미노태 질소는 Formol 적정법[1]으로 측정한 후, 다음 식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 암모니아태 질소는 Indophenol blue method [1]에 의하여측정하였으며, NH4Cl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Indophenol법으로 작성된 표준곡선으로부터 환산하였다.
  • 간세포 내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은 microplate WST-1 assa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33]. 실험동물에서 적출한 간 100 mg을 sucrose buffer 600 μl에 넣고 homogenizer를 이용하여 마쇄하였다.
  • 가스를 이용하여 마우스를 안락사시킨 후,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수거하였으며, 혈청 내 효소의 변화는 혈청분석기(HITACHI 7080 Automatic Analyzer, Japan)를 이용하여 ALP (alkaline phosphatase)는 Tietze 방법[28], AST (asparatate aminotransferase) 및 ALT (alanine aminotransferase)는 Reitman과 Frankel의 방법[23]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미노태 질소는 무엇입니까? 청국장이 가지는 구수한 맛의 척도인 아미노태 질소는 청국장 발효숙성 중 단백질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물질로서, 장류 발효의 중요한 품질 지표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식품공전에는 청국장의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을 280 mg%/g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의 식품 공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청국장의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은? 청국장이 가지는 구수한 맛의 척도인 아미노태 질소는 청국장 발효숙성 중 단백질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물질로서, 장류 발효의 중요한 품질 지표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식품공전에는 청국장의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을 280 mg%/g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Fig.
콩의 isoflavone은 어떤 형태로 존재합니까? 콩을 발효시키면 대부분의 isoflavone은 비배당체로 전환되어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키는 등 생리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1]. Isoflavone은 체내 이용률이 낮은 배당체인 genistin, daiszin, glycitin 등과 체내 이용률이 높은 비배당체인 genistein, daidzein, glycitein 등의 형태로 존재하므로 향후 청국장 발효에 따른 비배당체 함량 변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Cho, K. M., S. Y. Hong, R. K. Math, J. H. Lee, D. M. Kambiranda, J. M. Kim, S. A. Md. Islam, M. G. Yun, J. J. Cho, W. J. Lim, and H. D. Yun. 2009. Biotransformation of phenolics (isoflavones, flavanols and phenolic acids) during the Cheonggukjang by Bacillus pumilus HY1. Food Chem. 114: 413-419. 

  3. Cho, Y. J., W. S. Cha, S. K. Bok, M. U. Kim, S. S. Chun, and U. K. Choi. 2000. Production and separation of anti-hypertensive peptide during Chungkukjang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CH-1023.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247-252. 

  4. Eom, S. M., B. Y. Jung, and H. I. Oh. 2009.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during fermentation. J. Appl. Biol. Chem. 52: 133-141. 

  5. In, J. P. and S. K. Lee. 2004. Effect of yucca(Yucca shidigera) extrac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using Bacillus subtilis p01.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76-181. 

  6. Jeong, W. J., A. R. Lee, J. Y. Chun, J. H. Cha, Y. S. Song, and J. H. Kim. 2009. Properties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acillus strains with high fibrinolytic activities. J. Food Sci. Nutr. 14: 252-259. 

  7. Jung, D. H. and S. K. Shim. 1994. Fermented Soy Foods. Spring of Knowledge, Seoul, Korea, 673-686. 

  8. Kim, A. R., J. J. Lee, S. S. Cha, H. C. Chang, and M. Y. Lee. 2012. Effect of soybeans, Chungkukjang, and Doenjang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21-629. 

  9. Kim, J. S. 1996. Current research trends on bioactive function of soybean. Korean Soybean Digest 13: 17-24. 

  10. Kim, M. H., W. W. Kang, N. H. Lee, D. J., Kwon, O. J. Kwonm, Y. S. Chung, Y. H. Hwang, and U. K. Choi. 2007.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made with germinated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76-680. 

  11. Kim, M. H., Lee, N. H. and Choi, U. K. 2008.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made of germinated soybean under light condition. J. Life Sci. 18: 1420-1425. 

  12. Kim, Y. S., H. J. Jung, Y. S. Park, and T. S. Yu. 2003. Characteristics of flavor and functionality of Bacillus subtilis K-20 Chu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75-478. 

  13. Kwon, H. Y., Y. S. Kim, G. S. Kwon, C. S. Kwon, and H. Y. Sohn. 2004. Isolation of immune-stimulating strain Bacillus pumilus JB-1 from Chungkook-jang and ferm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JB-1.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2: 290-296. 

  14. Kwon, H. Y., H. Y. Ryu, C. S. Kwon, S. H. Lee, and H. Y. Sohn. 2007.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of Bacillus pumilus JB-1 for Chungkook-jang fermentation in soybean boiling-waste liquor medium.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5: 304-309. 

  15. Lee, D. G., N. Y. Kim, M. K. Jang, B. H. Yoo, K. Y. Kim, S. G. Kim, Y. K. Jeong, and S. H. Lee. 2006. Isolation of a fibrinolytic bacterium from Cheongkukjang and characterization of its bioactivity.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4: 299-305. 

  16. Lee, J. J., A. R. Kim, H. Lee, C. H. Kim, H. C. Chang, and M. Y. Lee. 2010. Effects of powders of soybean and Doenjang on cholesterol level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rats fed with a high cholesterol diet. J. Life Sci. 20: 1134-1142. 

  17. Lee, J. J., C. H. Cho, J. Y. Kim, D. S. Kee, and H. B. Kim.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substance extracted by alchohol from Chungkukjang power. Korean J. Microbiol. 37: 177-181. 

  18. Lee, N. R. 2012. Production and functionality of amino acid biomaterial, poly- $\gamma$ -glutamic acid by Bacillus subtilis D7 isolated from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M. 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Korea. 

  19. Lim, A. K., H. K. Jung, J. H. Hong, J. S. Oh, J. H. Kwak, Y. H. Kim, and D. I. Kim. 2008. Effects of the soybean powder with rich aglycone isoflavon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302-308. 

  20. Miller, G. 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9. 

  21. Oh, H. I. and S. M. Eom. 2008.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6-62. 

  22. Park, S. K., C. Y. Ryu, and S. W. Lee. 2008. Establishment of preparation method of Dua-chungkukjang. J. Life Sci. 18: 1758-1763. 

  23. Reitman, S. and G. Frankel. 1957.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m. J. Clin. Pathol. 28: 56-63. 

  24. Shon, M. Y., S. H. Kwon, S. K. Park, J. R. Park, and J. S. Choi. 2001.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black bean Chungkugjang added with kiwi and radish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Postarvest Sci. Technol. 8: 449-445. 

  25. Shon, M. Y., S. H. Kwon, C. K. Sung, S. W. Lee, and S. K. Park. 2001. Isolation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megaterium SMY-212 for preparation of black bean Chungkugjang. J. Life Sci. 11: 304-310. 

  26. Son, D. H., O. J. Kwon, W. D. Ji, U. K. Choi, O. J. Kwon, E. J. Lee, Y. J. Cho, W. S. Cha, and W. G. Chung. 2000. The quality change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Bacillus sp. CS-17 during fermentation tim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6. 

  27. Sung, N. J., Y. A. Ji, and S. Y. Chung. 1984. Changes in nitrogenous compounds of soybean during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3: 275-284. 

  28. Tietze, F. 1969. Enzymatic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nanogram amounts of total and oxidized glutathione. Anal. Biochem. 27: 502-522. 

  29. Wang, G., S. S. Kuan, O. J. Francis, G. M. Ware, and A. S. Carman. 1990. A simplicated HPL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ytoestrogens in soybean and its processed products. J. Agr. Food Chem. 38: 185-190. 

  30. Yoo, J. S. 2011. Pretreatment of soybean and development of fermentation conditions of Chungkukjang for high contents isoflavone production. Food Eng. Prog. 15: 355-361. 

  31. Youn, H. K., H. S. Choi, S. H. Hur, and J. H. Hong. 2001.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iscous substance from Chungkukjang fermented with difference Bacillus spp. J. Fd. Hyg. Safety 16: 188-193. 

  32. Youn, K. C., D. H. Kim, J. O. Kim, B. J. Park, H. S. Yook, J. M. Cho, and M. W. Byun.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eniform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04-210. 

  33. Zhou, J. Y. and P. Prognon. 2006. Raw material enzymatic activity determination: A specific case for validation and comparison of analytical methods-The example of superoxide dismutase( SOD). J. Pharm. Biomed. Anal. 40: 1143-11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