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전문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노인전문간호 수행 정도 비교
The Role-expectations of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s and Performance of Gerontological Nursing by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6, 2014년, pp.642 - 652  

이혜진 (광주보훈병원) ,  김계하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ole-expectations of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s and performance of gerontological nursing by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Methods: Subjects were 200 nurses; 100 nurses from long term care hospitals where as 1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라고 분석이 되어진 내용들에 대해서 현재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국내 간호사들이 이러한 직무들이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이라고 실제로 기대하는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현재까지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또는 직무라고 명확하게 규정된 사항이 없는 현 상황에서 다양한 기관의 실무현장에 근무하며 직접 노인을 접하는 많은 간호사들의 의견이 충분히 수렴되어야 노인전문간호사 직무 문항이 개발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현 제도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가 시행될 것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전문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노인전문간호 수행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비교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전문 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노인전문간호 수행 정도를 비교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앞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현재 법적으로는 노인전문간호사의 업무나 역할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고, 임상에서도 역시 노인전문간호사의 업무가 일반간호 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일반간호사의 업무 외에도 전문가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육 및 상담, 자문 및 협동, 연구, 자원활용 및 관리의 임무를 개발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강화와 병원환경 변화 및 법적 규정 마련이 필요하다[17].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요양병원과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인전문간 호사에 대한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현재 노인 환자에게 실제로 어떤 역할들을 수행하고 있는지 비교, 조사함으로써 노인전문간호사 역할 규정을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노인전문간호사란 보건복지부령 제112호[9]에 의해 인정 되어진 13개 전문간호사 중 하나로 노인을 위한 간호를 제공 하고 옹호자 역할을 하며, 노인들의 기능적 능력을 최대화시켜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며 장애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하는데 노력하고, 다양한 기관의 노인에게 일차 건강간호를 제공하는 전문가로 독립적으로 혹은 다른 건강 전문직팀들과 협동적으로 실무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10]. 선행연구에 의하면 의사와 노인전문간호사가 협력하여 치료했을 때 노인 환자의 급성 질환 20개군 중 17개군에서 평균 2.
요양병원 기관수와 입원환자의 수는 어떻게 변하였는가? 우리나라는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인구의 고령화로 만 성질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요양병원 및 종합병원을 찾는 노인 환자의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요양병원은 2008년 12월 690기관이었으나 2012년 1167기관으로 2배 정도 증가하였 고, 입원 환자는 29만 7천 명으로 2008년에 비해 1.6배나 증가하였다. 종합병원 역시 2008년 65세 이상 노인 환자의 외래 이용률이 1990년 대비 3.
노인 환자를 접하게 되는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간호역량이 커지고 있어 노인건강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문간호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노인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도시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10대 만성 질환으로 진단받은 노인 환자는 69.8%로 나타났다[2]. 또한 이들 유병 노인 중 과반수인 52.5%가 만성질환으로 인해 일상 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노인 질병은 질병증상이 노화과정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와 병적 진행과 정의 구분이 어려우며, 질병 양상도 젊은 사람들과는 달리 질병 발현 시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비전형적인 경과를 보이는 특성이 있다[3]. 따라서 노인 환자를 접하게 되는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간호역량 역시 매우 커지고 있어[4] 노인 건강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를 수 있는 전문간호사가 필요하다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The number of long-term care hospitals [Internet].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2 [cited 2013 January 19].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rec_infopub.medical.do?methodgetResources&ty_cd10&pgmidHIRAA030501020500 

  2. Lee MS. Chronic disease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0;27:5-30. 

  3. Eun Y, Song KA, Ko SH, Park MH, Kim JS, Ki YS, et al. General studies gerontology nurse practitioner. 2nd ed. Seoul: Hyunmonsa; 2010. 

  4. Lee KJ, Kong ES, Kim NC, Kim JH, Kim CG, Kim HK, et al. Roles and functions of the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4;6(1):125-33. 

  5. Shin SR, Oh PJ. A study on the projected need for geriatric APN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3;5(2): 218-27. 

  6. Jung JY, Yun SY. Elder care related knowledge, attitudes, nursing practice and awareness of elder abuse in geriatric hospital health personne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3):233-41. 

  7. Kim HJ.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and toward aging and sexuality of the elderly.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1. 

  8. Kim JS, Kim KH, Kim MH, Kim HS. Nurse education needs related to knowledge and practice of gerontological nursing.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0;12(2):177-89. 

  9.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Rules on the credentialing of nurse practitioner [Internet]. Seoul: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2 [cited 2013 September 16].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24006#0000 

  10. Lim KC. Historical perspectives for the roles of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5;7(2):213-20. 

  11. Miller SK. Impact of a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 on the nursing home elderly in the acute care setting. AACN Clinical Issues: Advanced Practice in Acute & Critical Care. 1997;8(4):609-15. 

  12. Nurse Korea. Nurse practitioners open the way. [Interne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0 [cited 2013 September 25]. Available from: http://www.nursenews.co.kr/Article/ArticleDetailView.asp? typ3&articleKey1204 

  1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urrent status of obtaining caregiver certification.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cited 2011 November 15]. Available from: http://stat.mw.go.kr/stat/civil/ask_data_view.jsp?menu_codeMN04010000&cont_seq17643&page1&search_keyTIT LE&search_word 

  14. Lee MJ. The role of a geriatric nurse practitioner in the community.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5. 

  15. Nursenews. Nurses working in national long-term care facilities. [Interne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0 [cited 2013 November 28]. Available from: http://www.nursenews.co.kr/Article/ArticleDetailView.asp?typ2&articleKey1264 

  16. Yang YS, Kim DH. Nurse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n the level of delegation of nursing activiti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3;15(2):175-84. 

  17. Im KM. Task analysis of gerontological advanced practice nurse. [master's thesis]. Busan: Pusan University; 2010. 

  18. Yeom HJ. Job importance perceived by nurses according to role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5. 

  19. Kim KS, Park YH, Lim NY. Task analysis of the job description of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s based on DA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6):853-65. 

  20. American Nurse Credentialing Center. ANCC certification. Silver Spring, MD: American Nurse Credentialing Center; 2001. 

  21. Cho MS, Cho YA, Kwon IG, Seo MJ, Baek HJ. Importance, satisfaction and contribution of advanced practice nurses' role recognized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2):168-79. 

  22. Nurse Korea. Independent roles and prescription rights of the nurse practitioners. [Interne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0 [cited 2013 September 25]. Available from: http://www.nursenews.co.kr/Article/ArticleDetailView.asp?typ13&articleKey238 

  23. Lim KC, Park KO, Kim BJ. A investigative study of role expectation on the clinical nurse specialist.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997;3(1):65-82. 

  24. Lee MY, Kim KH. Influence of head nurs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taff nurse's psychological well-being, stress and somatization-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2):166-75. 

  25. Lee TW, Ko IS, Kim IS, Kim HO, Park YW, Kim IJ, et al. Development of roles and organizational policy of advanced practice nurses in an acute hospital setting.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07;13(3):352-61. 

  26. Hendrix C, Wojciechowski C. Chronic care management for the elderly: an opportunity for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American Academy Nurse Practitioner, 2005;17(7):263-7. 

  27. Kim SJ, Choi MS, Sung KW. Variables affecting competency of nurse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0;12(1):29-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