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라남도 7개 지역에 거주하는 남녀 장수인의 봄과 가을 영양섭취 실태 비교 연구
Study on Nutrition Intakes of Long-Lived Men and Women Living in Seven Regions in Jellanam-do: Comparisons between Spring and Fall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6, 2014년, pp.723 - 738  

전순실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수영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 임상시험지원센터) ,  빙동주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은주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nutrient intake of long-lived men and women living in Jeollanam-do (Gangjin, Goksung, Gurye, Damyang, Boseong, Suncheon, Jangheung) which is known as representative Korean longevity area. Using the 24 hr recall method, dietary nutrient intake data were collected from 134 subjec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장수 벨트 지역인 곡성, 구례, 담양, 보성지역 이외에 순천, 장흥, 강진을 포함하여 총 7개 지역 8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봄과 가을 연 2회에 걸친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영양소 섭취 실태를 평가함으로써 전라남도 노인들의 영양상태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소 적정섭취 비율이란? 영양소 적정섭취 비율(NAR)은 각 영양소의 권장량에 대한 섭취비율로서, 봄과 가을의 영양소 섭취량의 평균을 계산한 후, 다음 식으로 산출하였다(N=134).
24시간 회상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식이 섭취조사 방법으로는 24시간 회상법과 식이 기록법을 사용하였다. 24시간 회상법은 훈련된 조사원의 면접을 통해 섭취한 음식의 종류, 음식의 양, 시간 등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Lee et al 1998; Kim et al 1996), 조사 대상자의 기억에 의해서만 식품섭취량을 조사하기에는 다소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조사 대상자에게 아침, 점심, 저녁식사의 섭취 음식과 섭취량을 기록하게 하는 식이 기록법을 사용하였다.
식이 섭취조사 방법 중, 24시간 회상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식이 섭취조사 방법으로는 24시간 회상법과 식이 기록법을 사용하였다. 24시간 회상법은 훈련된 조사원의 면접을 통해 섭취한 음식의 종류, 음식의 양, 시간 등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Lee et al 1998; Kim et al 1996), 조사 대상자의 기억에 의해서만 식품섭취량을 조사하기에는 다소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조사 대상자에게 아침, 점심, 저녁식사의 섭취 음식과 섭취량을 기록하게 하는 식이 기록법을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ek JW, Koo BK, Kim KJ, Lee YK, Lee SK, Lee HS (2000) Seasonal food intake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Kyungpook Sung-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691-700. 

  2. Choe JS, Paik HY (2004) Seasonal variation of nutritional intake and quality in adults in longevity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668-678. 

  3. Choi MK, Kim HS, Lee WY, Lee HM, Ze KR, Park JD (2005) Comparative evaluation of dietary intakes of calcium, phosphorus, iron, and zinc in rural, coastal, and urban distri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59-666. 

  4. Choi HJ, Kang DH, Kim GE, Cheong HS, Kim SH (2002)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Kyung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77-884. 

  5. Choi YH (2002)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polymorphisms of ACE and APOE genes in Korean centenarians.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pp 50-53. 

  6.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First Revision, 2010.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7. Han HK, Choi SS, Kim MW, Lee SD (2005) Food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Ganghwa-gu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0: 101-110. 

  8. Jeon SH, Kim NH (2013) Prevalence of diabete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according to food frequency similarity in Korea.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 751-758. 

  9. Kang YB (2008) A research on the nutritional intake status according to seasons by Jeju seniors using the 24-hour recall. MS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Cheju. pp 19-20. 

  10. Kim CI, Park YS (2000) Comparing health-related behaviors, food behaviors, and the nutrient adequacy ratio of rural elderly by single-elderly families vs. extended families. Korean J Community Nutr 5: 307-315. 

  11. Kim HY, Lee SH (1995) A study on the dietary and nutrients intake of the elderly resident in nursing home. J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5: 29-83. 

  12. Kim JI (2002) Social-environment factors by region of centenarians. J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1: 157-168. 

  13. Kim MK, Lee SS, Ahn YO (1996) Reproductibility and validity of a self-administer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mong middle-aged men in Seoul. Korean J Nutr 1: 376-394. 

  14. Kim MW, Han HK, Choi SS, Lee SD (2005) A study on dietary pattern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by food habit index in Ganghwa-gu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 892-904. 

  15. Kim WY (2006) Nutritional approach for conceptualization of the healthy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11: 397-400. 

  16. Kwak CS, Yon MY, Lee MS, Oh SI, Park SC (2010) Anthropometric index and nutrient intake in Korean aged 50 plus years living in Kugoksoondam longevity-belt regio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5: 308-328. 

  17. Kwak CS, Yon MY, Lee MS, Oh SI, Park SC (2014) Investigation on influencing environmental factors on health status of Korean septuagenarians dwelling in longevity region in Jeonla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19: 142-162. 

  18. Kwon IS, Park SC (2005) Gender-specific and age-dependent changes in health status and med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entenarians. Korean J Gerontol 15: 10-25. 

  19. Lee JK, Kang BY, Jho KH (2013)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and regular exercise participants in Korean -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1). Korean J Sports Sci 22: 1373-1382. 

  20. Lee KH, Park JR, Seo JS (2007)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a private silver town of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293-1299. 

  21. Lee MS (2005) Nutritional status of the nanogerian population in longevity belt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0: 290-302. 

  22. Lee MS (2009) Nutritional status of the oldest-elderly population in Soonchang county. Korean J Community Nutr 14: 255-265. 

  23. Lee SY, Ju DL, Paik HY, Shin CS, Lee HK (1998)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in adults living in Yeonchon area (I): assessment based on nutritient intake. Korean J Nutr 31: 333-342. 

  24. Min, YK, Lee MS (2013) Regional differences in population aging and policy responses of local governments. GRI review 15: 113-140. 

  25. Park MY, Chun BY, Joo SJ, Jeong GB, Huh CH, Kim GR, Park PS (2008) A comparis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aged females in a rural long life community by the stage model of dietary behavior change. Korean J Community Nutr 13: 34-45. 

  26. Park MY, Kim GR, Lee DJ, Kim JM, Park PS (2006) A survey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the aged people in rural area Gyeongbuk Yecheon. Korean J Nutr 39: 58-73. 

  27. Park SC, Lee MS, Kwon IS, Kwak CS, Yeo EJ (2008) Environment and gender influences on the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centenarians. Asian J Gerontol Geriatr 3: 75-83. 

  28. Park SC (2002) Korean Centenarians.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Seoul. 

  29. Park YK, Lee YJ, Lee SS (2012) The intake of food and nutrient by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the Seoul area. Korean J Nutr 45: 531-540. 

  30. Yang KM (2005)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people in Gyeong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018-1027. 

  31. Yon MY, Lee MS, Oh SI, Park SC, Kwak CS (2010) Assessment of food consumption, dietary diversity and dietary pattern during the summer in middle aged adults and older adults living in Gugoksoondam logevity area,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5: 536-549. 

  32. Yoon JJ (1988) A study on the internal migration in Korea. J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8: 7-18. 

  33. Yoon HJ, Kwoun JH, Lee SK (2002) Nutritional status and energy expenditure in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Korean J Community Nutr 7: 336-344. 

  34. http://www.kostat.go.kr. Accessed on Sep. 30.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