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라밴드를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 균형,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raband Exercise Programs on Strength, Balance and Proprioception in Elderl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2 no.4, 2014년, pp.1 - 8  

이동진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alance in order to minimize daily living restrictions and to prevent falls due to aging, and develop an eight-week theraband exercise program to benefit the elderly. Method: A total of 20 elderl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세라밴드를 이용한 운동이 외상후 재활이나 일상생활 기능 장애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건강한 일반 노인의 근력과 균형 능력이 삶의 질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라밴드를 사용한 8주간의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 기능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노인건강 증진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특히 근력, 균형, 고유수용성감각 저하는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이 일상생활을 할때에 낙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세라밴드 운동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근력, 균형, 고유수용성감각 강화운동을 8주간 16회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선행연구에서는 노인의 신체능력 증진에 모래주머니나 세라밴드 같은 저항을 이용하였는데 (Gardner 등, 2001), 본 연구에서도 세라밴드 운동프로그램을 이용한 운동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세라밴드를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 균형,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으로 나누어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근력과 고유수용성감각의 비교에서는 각 그룹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균형의 비교에서는 그룹과 시간, 교호작용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균형의 향상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운동을 실시하기에 앞서 미연의 부상방지를 위해 준비운동을 5분씩 실시하였으며, 스트레칭과 세라밴드 율동을 실시하여 흥미를 가지고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운동은 대상자 본인의 신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세라밴드로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근력강화와 균형증진을 위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밴드의 장점은 부하의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체력에 맞는 운동을 할 수 있고, 부하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움직임에 맞는 트레이닝이 가능하다는 것으로(박성학 등, 2000), 본 실험에서 사용되는 빨강색 세라밴드의 저항력은 20 ㎝ 늘릴 때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들에게 노화가 진행 됨에 따라 어떠한 결과가 나타나는가? 특히 노인들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움직임이 감소하고, 갈수록 운동량이 적어진다. 그로 인해 근육의 부피가 감소되고(Frontera 등, 1991), 근육 내 지방과 콜라겐이 증가하여(Kent-Braun 등, 2000), 근력이 감소한다 (Goodpaster 등, 2001). 이로 인하여 균형능력이 감소하게 되어 보행 시 낙상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Unsworth & Mode, 2003)
노인의 고유수용성 감각의 결함이 편측 관절 부하와 보행의 변화를 가져오고 관절 손상에 위험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균형능력의 감소와 함께 나타나게 되는 다른 요소 중 하나는 몸통과 사지의 위치 감각 능력인 고유수용성감각의 저하가 원인이다(Maki 등, 1991). 고유수용성 감각 능력의 저하는 신경근 조절 능력을 감소시키고 신체의 기능적 불안정을 야기하며, 이러한 신체적 불안정은 반복적인 손상으로 연결되어 계속적인 악순환을 일으키며 (Prentice, 1999), 근육이나 인대, 관절주머니와 반월판및 피부에 존재하는 기계적 수용기로부터 감각정도를 받아 들여 관절운동학과 근골격계 반사를 통해 동적 관절 안정성에 기여한다(Bennell 등, 2003) 따라서 노인의 고유수용성 감각의 결함은 편측 관절 부하와 보행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고 관절 손상 위험이 있다(Docherty 등, 1998).
신체적 노화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신체적 노화로 인한 근력과 균형 능력의 감소, 고유수용성감각의 저하는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 보행능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어 결국 일상생활 장애를 일으키게 되며, 개인이나 가정생활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의 하나로서 사회와의 관련을 가지고 생활하기 위한 매일의 필요한 모든 활동들이 제한된다. 그러나 노인들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한 경우 근력이나 전반적인 체력의 개선을 볼 수 있고,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주어 노년의 건강한 생활에 운동이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강지성과 박우영,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지성, 박우영(2008). 24주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여성의 체력 및 고유수용성 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운동사회스포츠건강의학학술지, 10(2), 1-9. 

  2. 김건(2008). 탄력밴드저항운동이 노인의 균형 및 보행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현갑(2003). 탄성밴드를 이용한 무릎관절 근력강화운동이 노인들의 균형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문은미(2007). 탄력밴드저항운동과 균형운동이 여성 노인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박성학, 김효철, 박우영(2000). 밴드트레이닝과 재활치료. 서울, 푸른솔. 

  6. 박시영, 선우섭(2003). 10주간의 탄성밴드 운동이 고령여성 고혈압 환자의 혈압, 혈중지질 농도 및 생활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체육학회지, 13(2), 115-127. 

  7. 박익렬(2004). 12주간의 유산소성 운동이 고령 여성 노인의 건강체력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2, 459-469. 

  8. 변재훈(2006). 8주간의 세라밴드 트레이닝 뇌성마비 아동의 등속성 근력과 보행 형태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윤영대, 서병도, 이상빈(2008). 탄력밴드를 이용한 슬관절 굴곡근에 대한 저항운동이 정적, 동적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15(2), 33-40. 

  10. 이경무, 강전완(2000). Manual muscle tester를 이용한 한국 정상 성인의 슬관절 신전력에 대한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24(2), 281-286. 

  11. 이숙자, 이평숙, 김소인 등(1999). 노인 운동의 의사결정 균형, 자아효능감의 운동 행위 변화단계에 대한 예측 모형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8(2), 280-290. 

  12. 이창석(2009). 탄성밴드 운동 프로그램이 여성고령자의 신체조성과 생활체력 및 균형감각기능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이혁종(2010).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하지근력, 근지구력, 균형능력,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이형수, 안윤희, 강현진 등(2005). PNF 하지 패턴에 기초한 탄력밴드 훈련이 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7(1), 61-70. 

  15. 임영태(2005). 프리-웨이트 탄성밴드 운동기구를 이용한 상완이두근 커얼 동작시 상지근육의 근활동치 비교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4(2), 363-371. 

  16. 정세나(2007). 탄성밴드를 이용한 하지 근력강화운동이 낙상경험 노인의 균형능력과 보행향상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통계청(2011).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서울. 

  18. 함용운(2000). PNF 패턴을 이용한 세라밴드 운동이 상지 굴곡근의 등장성 근력에 미치는 효과. 보건과학논집, 26(1), 49-56. 

  19. 홍인숙, 이창준(2005). 16주간의 탄성밴드운동이 체력저하 여고생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6), 629-640. 

  20. Barrett DS, Cobb AG, Bentley G(1991). Joint proprioception in normal, osteoarthritic and replaced knees. J Bone Joint Surg, 73(1), 53-56. 

  21. Bennell KL, Warren PJ, Metcalf BR et al(2003). Relationship of knee joint proprioception to pain and disability in individuals with knee osteoarthritis. J Orthop Res, 21(5), 792-797. 

  22. Decker MJ, Hintermeister RA, Faber KJ et al(1999).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ity during selected rehabilitation exercises. Am J Sports Med, 27(6), 784-791. 

  23. Docherty CL, Moore JH, Arnold BL(1998). Effects of strength training on strength development and joint position sense in functionally unstable ankle. J Athl Train, 33(4), 310-314. 

  24. Duncan PW, Studenski SA, Chandler JM et al(1992). Functional reach: Predictive validity in a sample of elderly male veterans. J gerontol, 47(3), 93-98. 

  25. Duncan PW, Weiner DK, Chandler J et al(1990).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45(6), 192-197. 

  26. Frontera WR, Hughes VA, Lutz KJ et al(1991). A cross-sectional study of muscle strength and mass in 45- to 78-yr-old men and women. J Appl Physiol, 71(2), 644-650. 

  27. Gardner MM, Buchner DM, Robertson MC et al(2001). Practical implementation of an exercise-based falls prevention programme. Age and Aging, 30(1), 77-83. 

  28. Goodpaster BH, Carlson CL, Visser M et al(2001). Attenuation of skeletal muscle and strength in the elderly: The Health ABC Study. J Appl Physiol, 90(6), 2157-2165. 

  29. Heislein DM, Harris BA, Jette AM(1994). A strength training program for postmenopausal women. Arch Phys Med Rehabil, 75(2), 198-204. 

  30. Jette AM, Lachman M, Giorgetti MM et al(1999). Exercise-it's never too late: the strong-for-life program. Am J Public Health, 89(1), 66-72. 

  31. Kent-Braun JA, Ng AV, Young K(2000). Skeletal muscle contractile and noncontractile components in young and older women and men. J Appl Physiol, 88(2), 662-668. 

  32. Lee SH, Kim SH, Jung MH et al(2008).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1, 205-234. 

  33. Maki BE, Holliday PJ, Topper AK(1991). Fear of falling and postural performance in the elderly. J Gerontol, 46(4), 123-131. 

  34. Prentice WE(1999). Rehabilitation techniques in sports medicine, 3, 511-513. 

  35. Skelton DA, Young A, Greig CA et al(1995).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on strength, power, and selected functional abilities of women aged 75 and older. J Am Geriatr Soc, 43(10), 1081-1087. 

  36. Song RH, Lee EO, Lee IO(2002). Pre-post comparisons on physical symptom, balance, muscle strength, physical functioning and depression in women with osteoarthritis after 12-weeks TaiChi exercise. J Rheumatol Health, 9(1), 28-39. 

  37. Thompson KR, Mikesky AE, Bahamonde RE et al(2003). Effects of physical training on proprioception in older women. J Musculoskel Neuron Interact, 3(3), 223-231. 

  38. Unsworth J, Mode A(2003). Preventing falls in older people: risk factors and primary prevent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Br J Community Nurs, 8(5), 214-220. 

  39. Wernick-Robinson M, Krebs DE, Giorgetti MM(1999). Functional reach: does it really measure dynamic balance? Arch Phys Med Rehabil, 80(3), 262-2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