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가 인식한 조직의 특성과 투약오류보고장애요인간의 정준상관관계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barrier to medication error reporting of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2, 2014년, pp.979 - 988  

김민정 (부산대학교병원 적정관리팀) ,  김명수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인식한 안전 분위기와 업무환경을 포함한 조직의 특성과 투약오류보고장애요인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수정된 안전 분위기, 업무환경, 투약오류보고장애 문항을 활용하여 7개 병원의 334명의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9월 한달 간이었고, 서술적 통계,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canonical correlation을 적용하였다. 조직의 특성은 투약오류보고장애와 세 가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첫 번째 정준상관계수는 .50(Wilks' ${\lambda}$=0.61, df=32, p<.001)이었고, 두 번째는 .35(Wilks' ${\lambda}$=0.81, df=21, p<.001), 세 번째는 .22(Wilks' ${\lambda}$=0.93, df=12, p=.018)이었다. 첫 번째 정준상관은 높은 안전 분위기와 업무환경이 오류보고에의 두려움을 제외한 투약오류보고와 관련이 있었다. 두 번째 식은 '의료인간의 안전 분위기'의 높은 지각과 높은 '병원에의 간호사 참여'와 '인적 자원의 적절성'은 낮은 '불안감'과 '행정자들의 반응'과 관련이 있었다. 투약오류보고장애를 위한 전략과 안전 분위기와 업무환경과 같은 조직의 특성의 진보가 적용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afety climate and work environment and barrier to medication error reporting. Methods: We surveyed 334 nurses from 7 hospitals. An assessment survey was consis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식한 조직의 특성인 안전 분위기와 업무환경과 투약오류보고장애요인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인지한 조직의 특성과 투약오류보고장애요인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여 투약오류보고장애요인의 인식을 낮추어 오류보고를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로, 변수 간 관련성을 토대로 실무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지각한 조직의 특성과 투약오류보고장애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 연구로 전국의 7개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334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한 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
  •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인과관계에 초점을 두고 안전 분위기와 업무환경만을 독립변수로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을 뿐, 이들이 동시에 고려되었을 때 투약오류보고장애요인과의 양 방향적 관계에 대한 연구는 찾기 힘들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의 변화와 개인의 지각을 동일선상에 두어 투약오류보고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설문조사에서 모든 간호사를 포함한 이유는 투약오류보고는 누구에 의해서든 모두 보고될 수 있고 일반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면 본 연구의 본래의 목적을 부분적으로만 규명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었다. 조사의뢰 시 설문지는 근무평정에 관계하는 직속상관이 아닌 자가 회수하도록 하여 자유로운 참여와 응답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3개 병원의 경우 간호부를 통해 직접 배부되었고, 다른 4개 병원의 경우 적정관리실의 협조를 얻어 우편으로 배부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오류중 투약오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인가? 투약오류는 보고된 의료오류 중 33%정도를 차지할 만큼 높은 수준이며[1], 지난 30년간의 연구를 토대로 한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도 투약업무 중 20% 정도는 오류가 발생한다는 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2]. 이러한 투약오류는 보고된 내용을 통해 구성원간 다양한 오류를 공유하여 익히고[3] 재발을 막으려는 노력을 함으로써 오류가 줄어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4].
투약오류보고를 하는데 있어 간호사 개인이 느끼는 장애요인은 무엇인가? 투약오류를 보고하는데 있어 간호사 개인이 느끼는 장애요인은 오류에 대한 정보와 지식의 부족, 보고에 드는 시간과 노력에 대한 부담감, 자신의 경력이나 평판에 대한 두려움의 몇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8]. 간호사들은 투약오류보고가 왜 중요한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보고 절차나 정책에 대해서 모르기도 하지만[7] 그보다 선행하는 문제는 과연 어느 것이 보고되어야 하고 보고될 필요가 없는지에 대한 판단을 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9].
투약오류를 줄이는 방법은 무엇인가? 투약오류는 보고된 의료오류 중 33%정도를 차지할 만큼 높은 수준이며[1], 지난 30년간의 연구를 토대로 한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도 투약업무 중 20% 정도는 오류가 발생한다는 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2]. 이러한 투약오류는 보고된 내용을 통해 구성원간 다양한 오류를 공유하여 익히고[3] 재발을 막으려는 노력을 함으로써 오류가 줄어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4]. 하지만, 투약오류의 보고가 발생한 만큼 이루어지지 않아 임상 연구자들은 보고를 촉진하기 위한 여러 전략들을 개발하고 있으나[5] 외국의 보고에서는 투약오류를 경험한 사람의 47%는 자신이나 타인의 오류를 보고한 적이 없으며[6], 국내연구의 보고에 따르면 투약오류를 경험한 대상자 중 2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 E. Milch, D. N. Salem, S. G. Pauker, T. G. Lundquist, S. Kumar, and J. Chen, "Voluntary electronic reporting of medical errors and adverse events. An analysis of 92,547 reports from 26 acute care hospital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Vol. 21, No. 2, pp 165-170,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525-1497.2006.00322.x 

  2. R. N. Keers, S. D. Williams, J. Cooke, & D. M. Ashcroft, "Causes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s in hospitals: A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idence", Drug Safety, Vol. 36, No. 11, pp 1045-1067, 2013. DOI: http://dx.doi.org/10.1007/s40264-013-0090-2 

  3. L. T. Kohn, J. M. Corriagan, and M. S. Donaldson,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s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99. 

  4. N. C. Elder, D. Graham, E. Brandt, and J. Hickner, "Barriers and motivators for making error reports from family medicine offices: A report from the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National Research Network (AAFP NRN)", Journal of American Board of Family Medicine, Vol. 20, No 2, pp 115-123, 2007. DOI: http://dx.doi.org/10.3122/jabfm.2007.02.060081 

  5. M. S. Kim, "The effectiveness of error reporting promoting strategy on nurse's attitude, patient safety culture, intention to report and reporting rat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0, pp 172-181, 2010.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0.40.2.172 

  6. H. Y. Chiang, S. Y. Lin, S. C. Hsu, and S. C. Ma, "Factors determining hospital nurses' failures in reporting medication errors in Taiwan", Nursing Outlook, Vol. 58, pp 17-25, 2010. DOI: http://dx.doi.org/10.1016/j.outlook.2009.06.001 

  7. K. S. Kim, S. H. Kwon, J. A. Kim, and S. H. Cho, "Nurses' perceptions of medication errors and their contributing fa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 19, pp 346-353, 2011. DOI: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1.01249.x 

  8. D. S. Wakefield, B. J. Wakefield, T. Uden-Holman, and M. A. Blegen, "Perceived barriers in report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s", Best Pract Benchmarking Healthcare, Vol. 1, No. 4, pp 191-197, 1996. 

  9. A. R. Robinson, K. B. Hohmann, J. I. Rifkin, D. Topp, C. M. Gilroy, and J. A. Pickard, "Physician and public opinions on quality of health care and the problem of medical error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 162, No. 19, pp 2186-2190, 2002. DOI: http://dx.doi.org/10.1001/archinte.162.19.2186 

  10. M. Kim, "The effectiveness of error reporting promoting strategy on nurse's attitude, patient safety culture, intention to report and reporting rate", Vol. 40, No. 2, pp 172-181, 2011. 

  11. C. Uribe, S. Schweikhart, D. Pathak, M. Dow, and G. B. Marsh, "Perceived barriers to medical-error reporting: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Journal of Healthcare Management, Vol. 47, pp 263-279, 2002. 

  12. C. Haw, and C. Cahill, "A computerized system for reporting medication events in psychiatry: The first two years of operation",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18, pp 308-315, 2011. DOI: http://dx.doi.org/10.1111/j.1365-2850.2010.01664.x 

  13. K. Catchpole, A. Mishra, A. Handa, and P. McCulloch, "Teamwork and error in the operating room. Analysis of skills and roles", Annals of Surgery, Vol. 274, pp 699-706, 2008. DOI: http://dx.doi.org/10.1097/SLA.0b013e3181642ec8 

  14. S. M. Handler, R. L. Altman, S. Perera, J. T. Hanlon, S. A. Studenski, J. E. Bost, M. I. Saul, and D. B. Fridsma, "A systematic review of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linical event monitor signals used to detect adverse drug events in the hospital setting", Journal of American Medical Information Association, Vol. 14, No. 4, pp 451-458, 2007. DOI: http://dx.doi.org/10.1197/jamia.M2369 

  15. R. Flin, "Measuring safety culture in healthcare: A case for accurate diagnosis", Safety Science, Vol. 45, pp 653-667, 2007. DOI: http://dx.doi.org/10.1016/j.ssci.2007.04.003 

  16. S. Singer, M. Meterko, L. Baker, D. Gaba, A. Falwell, and A. Rosen, "Workforce perceptions of hospital safety cultu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tient safety climate in healthcare organizations survey", Health Services Research, Vol. 42, pp 1999-2021,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475-6773.2007.00706.x 

  17. K. MacDavitt, S. S. Chou, and P. W. Stone, "Organizational climate and healthcare outcomes", Joint Commission Journal of Quality and Patient Safety, Vol. 33, pp45-56, 2007 

  18. H. Y. Chiang, and G. A. Pepper, "Barriers to nurses' reporting of medicine administration error in Taiwan",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 38, pp 392-399,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6.00133.x 

  19. J. B. Sexton, E. J. Thomas, and R. L. Helmreich, "Error, stress and teamwork in medicine and aviation; Cross-sectional survey", BMJ, Vol. 320, No 7237, pp 745-749, 2000. DOI: http://dx.doi.org/10.1136/bmj.320.7237.745 

  20. J. Reason, "Understanding adverse events: Human factors", Quality Health Care Journal, Vol. 4, No. 2, pp 80-89, 1995. DOI: http://dx.doi.org/10.1136/qshc.4.2.80 

  21. H. S. Karow, "Creating a culture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safety: Laying the foundation for computerized provider order entry",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Improvement, Vol. 28, No. 7, pp 398-402, 2002 

  22. B. G. Tabachnick, and L. S. Fidell,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ed.). Boston : Allyn & Bacon, 2001.Blegan et al, 2005 

  23. M. A. Blegan, T. Vaughn, G. Pepper, C. Vojir, K. Stratton, M. Boyd, and G. Armstrong, "Patient and staff safety: Voluntary reporting", American Journal of Medical Quality, Vol. 19, No. 2, pp67-74, 2004. DOI: http://dx.doi.org/10.1177/106286060401900204 

  24. B. J. Na, "Nurses' perception of safety climate and barriers to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 reporting in a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nam University, 2010. 

  25. E. T. Lake, "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 25, No. 3, pp 176-188, 2002. DOI: http://dx.doi.org/10.1002/nur.10032 

  26. E. Cho, M. Choi, E. Y. Kim, I. Y. Yoo, and N. J. Le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1, No. 3, pp 325-332, 2011.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325 

  27. E. H. Lee, Y. H. Jeong, J. S. Kim, R. Y. Song, and K. Y. Hwang, "Statistical method for health care research", Seoul: Koonja Publisher, 2003. 

  28. H. Y. Lee, "Effects of professional work environments on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11. 

  29. B. M. Bass, and B. J. Avolio, "MLQ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Redwood City : Mind Garden, 2002. 

  30. D. N. Thompson, L. A. Hoffman, S. M. Sereika, H. L. Lorenz, G. A. Wolf, H. K. Burns, et al. "A relational leadership perspective on unit-level safety climat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41, pp 479-487, 2011. DOI: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2346e31 

  31. K. L. McFadden, S. C. Henagan, and C. R. Gowen, "The patient safety cha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effect on patient safety culture, initiatives, and outcomes",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Vol. 27, pp 390-404, 2009. DOI: http://dx.doi.org/10.1016/j.jom.2009.01.001 

  32. B. Kunzle, E. Zala-Mezo, J. Wacker, M. Kolbe, D. R. Spahn, and G. Grote, "Leadership in anaesthesia teams: the most effective leadership is shared",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Vol. 19, pp 1-6, 2010. 

  33. A. R. Holmstrom, M. Airaksinen, M. Weiss, T. Wuliji, X. H. Chan, and R. Laaksonen, "National and local medication error reporting systems: a survey of practices in 16 countries", Journal of Patient Safety, Vol. 8, No. 4, pp 165-176, 2012. DOI: http://dx.doi.org/10.1097/PTS.0b013e3182676cf3 

  34. D. Zohar, "Thirty years of safety climate research: reflections and future directions", Accident Anal Prevention, Vol. 42, No. 5, pp 1517-1522, 2010. DOI: http://dx.doi.org/10.1016/j.aap.2009.12.019 

  35. J. M. Beus, M. E. Bergman, and S. C. Payn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tenure on safety climate strength: a first look",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42, No. 5, pp 1431-1437, 2010. DOI: http://dx.doi.org/10.1016/j.aap.2009.06.002 

  36. R. L. Brown, and H, Holmes, "The use of a factor-analytic procedure for assessing the validity of an employee safety climate model",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18, No. 6, pp 455-470, 1986. DOI: http://dx.doi.org/10.1016/0001-4575(86)90019-9 

  37. P. M. Maxson, E. J. Dozois, S. D. Holubar, D. M. Wrobleski, J. A. Dube, J. M. Klipfel, et al. "Enhancing nurse and physician collaboration in clinical decision making through high-fidelity interdisciplinary simulation training", Mayo Clinic Proceedings, Vol. 86, pp 31-36, 2011. DOI: http://dx.doi.org/10.4065/mcp.2010.0282 

  38. N. Hartnell, B. M. MacKinnon, I. Sketris, and M. Fleming, "Identifying,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barriers to medication error reporting in hospitals: A focus group study", BMJ Quality & Safety, Vol. 21, pp 361-368. 2012. DOI: http://dx.doi.org/10.1136/bmjqs-2011-000299 

  39. I. Kagan, and S. Barnoy, "Factors associated with reporting of medication errors by Israeli nurses",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Vol. 23, No. 4, pp 353-361, 2008. DOI: http://dx.doi.org/10.1097/01.NCQ.0000336674.10348.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