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 수박 흰가루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교차방제 체계
Alternative Fungicide Spraying for the Control of Powdery Mildew Caused by Sphaerotheca fusca on Greenhouse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0 no.1, 2014년, pp.31 - 36  

강효중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수박연구소) ,  김영상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수박연구소) ,  한봉태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수박연구소) ,  김태일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수박연구소) ,  노재관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수박연구소) ,  김이기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수박연구소) ,  신현동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수박 재배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흰가루병 방제를 위한 아인산칼륨-살균제 교차방제체계를 개발하였다. 2010년 시험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수박 흰가루병 방제를 위하여 등록되어 합법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농가에서 사용중인 6종류의 살균제를 이용하여 9가지 처리조합을 구성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클로로탈로닐(Chl)-마이클로뷰타닐(My)-페나리몰(Fen)-헥사코나졸(Hex)의 처리가 가장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My, Fen, Hex의 작용 기작이 동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2년차 시험에서는 처리조합을 개선하고 농약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이들 살균제 외에 작용기작이 다르면서도 친환경적인 약제인 아인산칼륨을 이용하여 살균제-아인산칼륨 교차 살포 조합을 선발하기 위한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10간격처리에서, Chl-My-Fen-P는 31.8%의 방제효과를 나타낸 반면, Chl-My-Fen-P는 75.6%의 비교적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방제효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3년차 시험에서는 살균제와 아인산칼륨을 7일 간격으로 살포하였다. Chl-My-Fen-Hex가 가장 높은 89.6%의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나, 65.9%의 방제효과를 나타낸Chl-My-Fen-P와 달리 P-My-Fen-Hex 또한 83.5%의 비교적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수박 흰가루병 방제를 위하여 Chl-My-Fen-Hex의 방제체계는 P-My-Fen-Hex로 대체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ernative spraying was developed using fungicides and potassium phosphonate to control watermelon powdery mildew (WPM) caused by Sphaerotheca fusca under greenhouse condition. In 2010 trial, a total of 9 combinations of 6 fungicides which are legally registered in Korea and currently used on wa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포기당 3줄기를 유인하여 1과를 착과하는 재배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5월 하순경에 꿀벌을 이용하여 수분을 하였다. 2010년에 수박 흰가루병 방제에 등록된 살균제를 이용하여 살균제 4회 처리조합을 만들고 방제시험을 수행하여 가장 효과적인 교차방제체계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2011년에는 2010년에 선발된 살균제 4회 교차방제체계를 바탕으로 아인산칼륨과 살균제를 10일 간격으로 교차살포 하였을 때, 아인산칼륨을 어느 시기에, 몇 회까지 살균제를 대체하여 살포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 2010년에 수박 흰가루병 방제에 등록된 살균제를 이용하여 살균제 4회 처리조합을 만들고 방제시험을 수행하여 가장 효과적인 교차방제체계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2011년에는 2010년에 선발된 살균제 4회 교차방제체계를 바탕으로 아인산칼륨과 살균제를 10일 간격으로 교차살포 하였을 때, 아인산칼륨을 어느 시기에, 몇 회까지 살균제를 대체하여 살포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2012년에는 방제효과를 개선하고자 약제살포간격을 줄여 방제효과가 증진되거나 아인산칼륨의 살균제 대체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 2011년에는 2010년에 선발된 살균제 4회 교차방제체계를 바탕으로 아인산칼륨과 살균제를 10일 간격으로 교차살포 하였을 때, 아인산칼륨을 어느 시기에, 몇 회까지 살균제를 대체하여 살포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2012년에는 방제효과를 개선하고자 약제살포간격을 줄여 방제효과가 증진되거나 아인산칼륨의 살균제 대체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 2년차 연구에서는 Chl-My-Fen-Hex의 방제체계를 기본으로 하여 아인산칼륨과의 교호 살포를 통한 농약사용량 절감 및 약제 저항성균 출현억제를 위한 방제체계를 확립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아인산칼륨 500 μg/ml 수용액과의 교호 살포를 위하여 4회 방제체계 가운데 1차, 또는 1,2차, 1,2,3차 또는 4차 방제에서 살균제를 P로 대체하는 처리 조합을 만들고 시험을 수행하였다.
  • 특히 수박 신규 재배 농가에서 즉시 사용 가능한 저비용, 고효율 방제체계를 제시하고자 국내에서 수박 흰가루병에 등록된 약제 가운데, 제형이 혼합제가 아닌 단제이면서 가격이 저렴한 약제를 선택하여 몇 가지 약제처리 조합을 만들고 이들의 방제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아인산칼륨 등의 교차살포를 통한 농약 방제횟수 절감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 우리나라 수박 재배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흰가루병 방제를 위한 아인산칼륨-살균제 교차방제체계를 개발하였다. 2010년 시험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수박 흰가루병 방제를 위하여 등록 되어 합법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농가에서 사용중인 6종류의 살균제를 이용하여 9가지 처리조합을 구성하여 시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박 흰가루병의 원인균은 무엇인가? 충북의 시설수박은 음성과 진천을 중심으로 1,550 ha가 재배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소득이 높아 매년 5% 정도 증가 추세로 지역 특화작목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흰가루병 발생으로 피해를 입고 있다. 수박에 흰가루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Sphaerotheca fusca(=Podosphaera xanthii)로 오이, 참외, 호박 등에 발생하는 흰가루병균과 동일한 종으로 알려져 있다(Shin, 2000). 그러나 재배 특성상 오이, 참외, 호박 등과 달리 수박은 전체 생육기간 동안 주당 한 개의 상품과를 생산하고 있어 모든 잎이 수량과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흰가루병이 발생하면 경제적 피해가 크다.
국내 수박 흰가루병 방제를 위해 농가에서 사용중인 6종류의 살균제를 이용한 조합 결과, 클로로탈로닐(Chl)-마이클로뷰타닐(My)-페나리몰(Fen)- 헥사코나졸(Hex)의 처리가 가장 우수했으나 문제점은 무엇인가? 2010년 시험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수박 흰가루병 방제를 위하여 등록 되어 합법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농가에서 사용중인 6종류의 살균제를 이용하여 9가지 처리조합을 구성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클로로탈로닐(Chl)-마이클로뷰타닐(My)-페나리몰(Fen)- 헥사코나졸(Hex)의 처리가 가장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My, Fen, Hex의 작용 기작이 동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2년차 시험에서는 처리조합을 개선하고 농약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이들 살균제 외에 작용기작이 다르면서도 친환경적인 약제인 아인산칼륨을 이용하여 살균제-아인산칼륨 교차 살포 조합을 선발하기 위한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시설재배지에서 초기방제 실패 시, 전체 시설로 급속히 전파되는 흰가루병의 전염 특징은? 그러나 재배 특성상 오이, 참외, 호박 등과 달리 수박은 전체 생육기간 동안 주당 한 개의 상품과를 생산하고 있어 모든 잎이 수량과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흰가루병이 발생하면 경제적 피해가 크다. 특히 공기 전염하는 흰가루병의 특성상 시설 재배지에서는 초기 방제에 실패할 경우 전체 시설로 급속히 전파되어 큰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Kim 등, 2008). 2008년 진천군 이월면 일부 수박 재배 농가에서는 흰가루병 만연으로 인하여 30-50%의 소득이 감소하는 큰 피해가 발생한 사례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Davis, A. R., Levi, A., Wehner, T. C. and Pitrat, M. 2006. PI 525088-pmr, a melon race 1 powdery mildew-resistant watermelon line. Hortscience 47: 1527-1528. 

  2. Jee, H. J., Cho, W. D. and Kim, C. H. 2002. Effect of potassium phosphonate on the control of phytophthora root rot of lettuce in hydroponics. Plant Pathology J. 18: 142-146. 

  3. Jee, H. J., Ryu, K. Y., Park, J. H., Choi, D. H., Ryu, G. H., Ryu, J. G. and Shen, S. S. 2008. Effect of COY (cooking oil and yolk mixture) and ACF (air-circulation fan) on the control of powdery mildew and production of organic lettuce. Res. Plant Dis. 14: 51-56. (In Korean) 

  4. Kim, J. Y., Hong, S. S., Lim, J. W., Park, K. Y. and Kim, H. K. 2008. Screening of fungicide resistance of cucumber powdery mildew pathogen, Sphaerotheca fusca in Gyeonggi province. Res. Plant Dis. 14: 95-101. (In Korean) 

  5. Lee, J. H., Park, W. S., Park, E. S. and Han, B. S. 2010. The preventive and curative effects of fluthianil against powdery mildew caused by Sphaerotheca fuliginea on oriental melon. Res. Plant Dis. 16: 354-355. (Abstract) 

  6. Lee, S. Y., Kim, Y. G. and Kim, H. G. 2007. Mass cultivation of a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for biological control of powdery mildew. Res. Plant Dis. 13: 191-196. (In Korean) 

  7. Lee, Y. H., Cha, K. H., Ko, S. J., Park, I. J., Park, B. I. and Seong, K. Y. 2000. Evaluation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as a control agent of cucumber powdery mildew. Plant Pathology J. 16: 206-210. 

  8. Liu, S. Y., Wang, L. L., Jiang, W. T., Li, Y. and Liu, Y. Y. 2011.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s of powdery mildew, Podosphaera xanthii occurring on cucurbits in Changchun Agri-Expo Garden, China. Mycosystema 30: 702-712. 

  9. McGrath, M. T. 2001. Fungicide resistance in cucurbit powdery mildew: experiences and challenges. Plant Dis. 85: 236-245. 

  10. Nam, M. H., Lee, W. K., Lee, S. S., Kim, N. G. and Kim, H. G. 2005. Control efficacy of milk concentration against powdery mildew of strawberry. Plant Pathology J. 21: 270-274. 

  11. Shin, H. D. 2000. Erysiphaceae of Korea. In: Plant Pathogens of Korea I.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320 pp. 

  12. Uchida, K., Takamatsu S., Matsuda S., So, K. and Sato, Y. 2009.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Oidium subgenus Reticuloidium (powdery mildew) newly occurred on cucumber in Japan. J. Gen. Plant Pathol. 75: 92-1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