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하 증명 구성에 나타나는 학생들의 사고과정 탐색
Exploring students' thinking in proof production in geometr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3 no.3, 2014년, pp.383 - 397  

안선영 (서강대학교) ,  김구연 (서강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secondary students' thinking while doing proof in geometry. Two secondary students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the two students similarly showed as follows: a) tendencies to use the rules of congruent an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적인 안목과 수학적 사고력을 발전시키는 방법은? 수학적 추론과 증명은 여러 다양한 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수학적인 안목과 수학적 사고력을 발전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등학교 학생들은 주장을 정당화하고, 추측을 증명하는 것과, 증명에서 기호를 사용하는 능력을 개발해야 한다(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2000). 이처럼 추론과 증명활동은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결정적인 역할을 하므로 증명은 모든 학년의 수학 수업에서 중심이 되어야 한다(Sowder & Haral, 2003).
수학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수학 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능력을 개발하는데 있다. 수학적 사고의 근원이 되는 것이 바로 추론과 증명이다.
수학적 사고의 근원은 무엇인가? 수학 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능력을 개발하는데 있다. 수학적 사고의 근원이 되는 것이 바로 추론과 증명이다. 수학적 추론과 증명은 여러 다양한 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수학적인 안목과 수학적 사고력을 발전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권지현, 김구연 (2013).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기하영역의 수학 과제 분석, 수학교육 52(1), 111-128. (Kwon, J., & Kim, G. (2013). An analysis of mathematics tasks in the middle school geometry, Mathematical Education, 52(1), 111-128.) 

  2. 나귀수 (1997). 기하 개념의 이해와 적용에 관한 소고, 수학교육학연구 7(2), 349-358. (Na, G. S. (1997). An analysis of proof-lesson on the second grade in the middle schoo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2), 349-358.) 

  3. 이지현 (2011). 일상적 정의에서 수학적 정의로의 이행, 수학교육 50(4), 429-440. (Lee, J. H. (2011). The transition from everyday definitions to mathematical definitions: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point and line definitions, Mathematical Education, 50(4), 429-440.) 

  4. 한인기 (2005). 한국과 러시아의 7-8학년 수학교과서 도형영역에 나타난 직관적 정당화와 엄밀한 증명, 수학교육 44(4), 535-546. (Han, I. (2005). A study on intuitive verification and rigor proof in geometry of Korean and Russian 7-8 grade's mathematics textbooks, Mathematical Education 44(4), 535-546.) 

  5. Balacheff, N. (1988). Aspects of proof in pupils' practice of school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ers and Children 216, 235-240. 

  6. Chazan, D. (1993). High school geometry students' justification for their views of empirical evidence and mathematical pro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4(4), 359-387. 

  7. Dimakos, G., Nikoloudakis, E., Ferentinos, S., & Choustoulakis, E. (2007). Developing a proof-writing tool for novice lyceum geometry students. Teaching of Mathematics 10(2), 87-106. 

  8. Harel, G. (1999). Students' understanding of proofs: A historical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of geometry and linear algebra. Linear Algebra and its Applications 302(303), 601-613. 

  9. Harel, G., & Sowder, L. (1998). Students' proof schemes: Results from exploratory studies. Research in Collegiate Mathematics Education III 7, 234-282. 

  10. Healy, L., & Hoyles, C. (2000). A study of proof conceptions in algebra.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 396-428. 

  11. Heinze, A., & Reiss, K. (2009). Developing argumentation and proof competence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In D. A. Stylianou, M. L. Blanton & E. J. Knuth. (Eds.), Teaching and learning proof across the grades (pp. 191-203). New York: Routledge. 

  12. Herbst, P. G. (2006). Teaching geometry with problems: Negotiating instructional situations and mathematical task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7(4), 313. 

  13. Mammana, C., & Villiani, V. (1998). Perspectives on the teaching of geometry for the 21st century. Kluwer: London. 

  14.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15. Schoenfeld, A. H. (1988). When good teaching leads to bad results: The disasters of "well-taught" mathematics courses. Educational Psychologist 23, 145-166. 

  16. Usiskin, Z. (1982). Van hiele levels and achievement in secondary school geometry. CDASSG project report. 

  17. Waring, S. (2000). Can you prove it? Developing concepts of proof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Leicester: Mathematical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