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실습은 전공분야에 관한 실제적 경험을 의료기관에서 현장 실습교육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 이에 임상실습이 진행되는 가운데 임상 지도강사와 학생의 임상실습에 관한 인식을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방사선을 전공하는 재학생 중에 2013년 임상실습을 마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고안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75부를 통계프로그램 SPSS(12.0 version)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정, McNemar검정을 실시하였다. 방사선 전공을 선택한 동기는 높은 취업률 때문(44.0%)이고, 학과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53.1%)이라고 대답하였다. 8주의 임상실습 기간에 대해 51.3%가 적절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임상실습 시기는 3년 과정의 학생은 2학년 겨울방학(47.3%), 4년 과정의 학생은 3학년 1학기(27.7%)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동안 학생들은 전문지식의 부족(32.4%)을 느꼈으며, 실습교육의 일부 내용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차이가 있다(68.4%)고 대답하였다. 임상실습교육에 대해 대부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임상실습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은 $3.94{\pm}0.89$로 나타났다. 실습의 실시 전과 후에 방사선사 취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84.1%에서 82.9%로 나타났다. 방사선사 취업을 원하는 이유는 직업의 안정성으로 실습 전 49.0%와 실습 후 46.0%, 취업을 원하지 않은 이유는 적성 및 소질에 맞지 않아서가 실습 전 37.0%와 실습 후 40.7%로 대답하였다. 취업을 위한 대학교육이 아닌 유능한 인재를 통한 방사선사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내실 있고 만족도 높은 대학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고 교육대상자인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임상실습시기와 기간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임상실습은 전공분야에 관한 실제적 경험을 의료기관에서 현장 실습교육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 이에 임상실습이 진행되는 가운데 임상 지도강사와 학생의 임상실습에 관한 인식을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방사선을 전공하는 재학생 중에 2013년 임상실습을 마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고안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75부를 통계프로그램 SPSS(12.0 version)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정, McNemar검정을 실시하였다. 방사선 전공을 선택한 동기는 높은 취업률 때문(44.0%)이고, 학과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53.1%)이라고 대답하였다. 8주의 임상실습 기간에 대해 51.3%가 적절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임상실습 시기는 3년 과정의 학생은 2학년 겨울방학(47.3%), 4년 과정의 학생은 3학년 1학기(27.7%)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동안 학생들은 전문지식의 부족(32.4%)을 느꼈으며, 실습교육의 일부 내용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차이가 있다(68.4%)고 대답하였다. 임상실습교육에 대해 대부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임상실습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은 $3.94{\pm}0.89$로 나타났다. 실습의 실시 전과 후에 방사선사 취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84.1%에서 82.9%로 나타났다. 방사선사 취업을 원하는 이유는 직업의 안정성으로 실습 전 49.0%와 실습 후 46.0%, 취업을 원하지 않은 이유는 적성 및 소질에 맞지 않아서가 실습 전 37.0%와 실습 후 40.7%로 대답하였다. 취업을 위한 대학교육이 아닌 유능한 인재를 통한 방사선사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내실 있고 만족도 높은 대학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고 교육대상자인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임상실습시기와 기간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clinical practices provide the students with a good opportunity to study the practical experiences in their field through the clinical training education in hospital. Now, in this stud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the clinic teachers with those of students at the clinical site. The study was c...
The clinical practices provide the students with a good opportunity to study the practical experiences in their field through the clinical training education in hospital. Now, in this stud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the clinic teachers with those of students at the clinical site. The study was conducted to th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who finished the clinical practices in 2013.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tudent and collected from them. The study were conducted to 275 questionnaires with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chi-square test and McNemar test. The major motivation was of the select radiography course was high employment rate(44.0%) and the satisfaction of radiography course was general(53.1%). 51.3% of the study answered 8 weeks current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s is proper. The 3-year course students answered that the period of clinical practices would be proper if it is performed in the winter vacation in their second year in college(47.3%). The 4-year course students answered that the first semester in their third years is proper for clinical practices( 27.7%).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felt the lack in their knowledge on the professional field(32.4%) during the clinical practices and some of the practical training is different from the education performed at school(68.4%). Most of answer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linical practices and among them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clinical practices ($3.94{\pm}0.89$). After the clinical practices, their desire for getting job as a radiography has changed from 84.1% to 82.9%. The reason why they want the job related to the radiation is because the job is stable (changed from 49.0% to 46.0% after the clinical practice) while the reason why they don't want be a radigrapher because that job is not proper for them (changed from 37.0% to 40.7% after the clinical practice) The effort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position of radiation professionals through the improved education system to the students, rather giving them education for just employment.
The clinical practices provide the students with a good opportunity to study the practical experiences in their field through the clinical training education in hospital. Now, in this stud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the clinic teachers with those of students at the clinical site. The study was conducted to th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who finished the clinical practices in 2013.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tudent and collected from them. The study were conducted to 275 questionnaires with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chi-square test and McNemar test. The major motivation was of the select radiography course was high employment rate(44.0%) and the satisfaction of radiography course was general(53.1%). 51.3% of the study answered 8 weeks current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s is proper. The 3-year course students answered that the period of clinical practices would be proper if it is performed in the winter vacation in their second year in college(47.3%). The 4-year course students answered that the first semester in their third years is proper for clinical practices( 27.7%).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felt the lack in their knowledge on the professional field(32.4%) during the clinical practices and some of the practical training is different from the education performed at school(68.4%). Most of answer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linical practices and among them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clinical practices ($3.94{\pm}0.89$). After the clinical practices, their desire for getting job as a radiography has changed from 84.1% to 82.9%. The reason why they want the job related to the radiation is because the job is stable (changed from 49.0% to 46.0% after the clinical practice) while the reason why they don't want be a radigrapher because that job is not proper for them (changed from 37.0% to 40.7% after the clinical practice) The effort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position of radiation professionals through the improved education system to the students, rather giving them education for just employmen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에 있어서 실습교육의 수요자 입장에서의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관한 인식, 그리고 임상실습 전과 임상실습 후에 방사선사의 취업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발전적이고 효과적인 임상실습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에 있어서 실습교육의 수요자 입장에서의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관한 인식, 그리고 임상실습 전과 임상실습 후에 방사선사의 취업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발전적이고 효과적인 임상실습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자칫 대학에서 받은 교육과 임상실습 현장에서의 이론적 차이로 인해 학생들로 하여금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임상실습 현장의 현재 모습을 파악함은 물론 발전적이고 효과적인 임상실습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임상실습에 있어서 실습교육의 수요자 입장에서의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관한 견해 그리고 임상실습 전․ 후 방사선사 취업에 대한 견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의 수용자 입장에 있는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관한 견해, 방사선사 취업에 대한 견해를 알아보고자 한다.
임상실습은 임상에서 시행되는 검사를 바탕으로 체험적 학습의 효율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임상의 상황을 통해 대학교육을 통해 배울 수 없는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다. 그리고 임상실습의 경험이 진로선택과 취업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본 연구가 발전적이고 효과적인 임상실습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제안 방법
본 연구의 설문 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3개월간 진행하였다. 각 대학교에 유선을 통해서 설문에 대한 내용과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에 대한 협조를 얻어 설문이 진행되었다. 각 학교에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연구에 부적절한 설문지를 제외한 275부 (90.
본 연구의 설문지는 임상실습에 대한 견해와 임상실습 전․ 후 취업에 대한 견해를 알아보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총 문항 수는 33문항 또는 3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임의대로 작성한 후에 예비조사를 통해서 수정, 보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임상실습에 대한 견해와 임상실습 전․ 후 취업에 대한 견해를 알아보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총 문항 수는 33문항 또는 3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임의대로 작성한 후에 예비조사를 통해서 수정, 보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대상자는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3년 과정 대학교의 방사선과 재학생 중에 2013년 임상실습을 마친 학생 209명과 수도권 소재 4년 과정 대학교의 방사선학과 재학생 중에 임상실습을 마친 학생 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3개월간 진행하였다. 각 대학교에 유선을 통해서 설문에 대한 내용과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에 대한 협조를 얻어 설문이 진행되었다.
각 대학교에 유선을 통해서 설문에 대한 내용과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에 대한 협조를 얻어 설문이 진행되었다. 각 학교에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연구에 부적절한 설문지를 제외한 275부 (90.4%)를 통계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 학생은 275명으로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과 같다.
데이터처리
각 문항은 단일 선택형으로 주어진 예시를 선택하는 문항과 리커드식 5점 척도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항에 따라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응답의 경향을 비교하였고, 교차분석에 따라 카이제곱 검정, McNemar검정을 실시하였다.
성능/효과
임상실습 전․ 후 방사선사 취업 희망의 변화를 비교하였을 때, 임상실습 전에 방사선사 취업을 희망하지 않았던 12명의 학생 중 5명이 희망하게 되었고, 모르겠다고 응답한 29명의 학생 중 9명이 희망하게 되었다. McNemar검정을 통해서 실습 전․ 후 방사선사 취업 희망 유․ 무 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임상실습과의 관련성을 증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7).
임상실습 기간에 대한 질문에 대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8주의 임상실습기간에 대해 만족 (51.3%)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과별 임상실습기간에 대해서도 영상의학과 6주(40.
이와 함께 임상실습을 통해 졸업 후 역할 수행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임상실습 교육에 있어서 특강을 통한 교육과 더불어서 앞으로 방사선사의 길을 가고자 하는 후배를 위해서 이미 방사선사의 길을 가고 있는 선배의 입장에서 학업 및 다양한 고민, 고충을 상담해 주는 것도 임상실습의 의미 있는 교육이 될 것이라고 나타났다. 반면에 ‘현재 실시되고 있는 임상실습은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가 평균 3.
0%의 다수가 직업의 안정성을 선택했다. 적성에 맞아서 희망한다는 대답은 임상실습 전 16.7%에서 임상실습 후 24.7%로 소폭 상승하여 나타났다. 반면에 방사선사 취업을 희망하지 않았던 이유를 살펴보면 적성 및 소질에 맞지 않아서 희망하지 않았다는 대답이 임상실습 전 37.
2%로 두 번째로 많은 대답을 하였다. 임상실습 전에는 학생의 위치에서 적성과 소질 그리고 전공과목의 어려움이 방사선사 취업희망여부의 영향을 미쳤지만, 임상실습 후에는 적성과 소질 그리고 근무 및 고용체계의 불만족이 방사선사 취업희망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임상실습을 통해서 현실적인 상황을 인지하여 이를 통해 취업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의 설문 조사 대상자는 수도권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방사선(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을 다녀온 학생 일부로 국한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견해라고 일반화하는 데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의 내용은 이전에 시행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임의로 작성한 것이므로 임상실습에 관한 표준화된 도구가 아니라는 것이다.
방사선(학)과의 선택 동기는 높은 취업률 때문이라는 현실적인 상황이 반영된 대답이 44%로 나타났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8주의 임상실습 기간이 적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임상실습 교육에 대해 대부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임상실습에 대한 중요성을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본 연구에서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의 설문 조사 대상자는 수도권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방사선(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을 다녀온 학생 일부로 국한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견해라고 일반화하는 데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의 설문 조사 대상자는 수도권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방사선(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을 다녀온 학생 일부로 국한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견해라고 일반화하는 데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의 내용은 이전에 시행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임의로 작성한 것이므로 임상실습에 관한 표준화된 도구가 아니라는 것이다.
첫째, 현재의 임상실습과 이견이 발생하는 부분에 대해서 그 원인을 알아보는 연구와 함께 개선을 위한 발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셋째, 임상실습 시기와 실습기간에 대해서 기존의 학제에만 구애받지 말고 교육대상자인 학생들에게 최고의 교육효과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시기와 기간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다섯째, 임상실습의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도구를 개발하고, 지속적인 만족도 비교와 견해에 관한 연구를 통해 임상실습의 교육의 질을 높이는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임상지도강사와 대학과의 발전적인 논의와 함께 임상실습 교육현장의 변화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실습교육의 역할은?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임상실습의 개념은 학교와 임상지도자 간의 공동 계획 및 지도하에서 학생들이 일반 및 전문분야에 관한 실제적 경험을 얻도록 학교 이외 장소에서 실시하는 교육과정의 한 부분이라고 정의되고 있다3). 실제 학생들은 임상실습 동안에 이론적 지식에 그친 배움을 임상에서 시행되는 검사를 직접 목격, 경험함으로 확실한 학습 효과를 거둘 뿐만 아니라 의료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의료 서비스, 환자 케어,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한 대처법 등 학교 교육을 통해서 배울 수 없는 지식을 학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 또한 임상실습을 통해 전공취업 및 취업분야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
임상실습의 개념은?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임상실습의 개념은 학교와 임상지도자 간의 공동 계획 및 지도하에서 학생들이 일반 및 전문분야에 관한 실제적 경험을 얻도록 학교 이외 장소에서 실시하는 교육과정의 한 부분이라고 정의되고 있다3). 실제 학생들은 임상실습 동안에 이론적 지식에 그친 배움을 임상에서 시행되는 검사를 직접 목격, 경험함으로 확실한 학습 효과를 거둘 뿐만 아니라 의료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의료 서비스, 환자 케어,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한 대처법 등 학교 교육을 통해서 배울 수 없는 지식을 학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
임상실습의 장점은?
임상실습은 전공분야에 관한 실제적 경험을 의료기관에서 현장 실습교육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 이에 임상실습이 진행되는 가운데 임상 지도강사와 학생의 임상실습에 관한 인식을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17)
Shinkwan Ko, Hongryang Jeong, Hanjun Yang, et al.: Introduction of Radiologic Science, Komoonsa, 33-35, 2002
Sunggyu Shin, Inchul Im: Satisfaction Level of Clinical Practice and Related Variables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9), 276-284, 2010
Hwankyung Sung, Kyusun Lee, Jaesun Hwang: A Study on Correlation of Teaching Efficiency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in Seoul and Kyung-ki), Journal of Korea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29(1), 59-72, 2007
Hyangsook Lee, Jongsu Noh, Jungjin Cha, et al.: The Change of Awareness of Decision on Employment through the Fieldwork for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8(1), 107-121, 2010
Harksung Kim: A Study on the Satisfaction degree for Clinical Practice of Radiotechnology Student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27(4), 75-83, 2004
Jinkyung Kim, Soyon Park, Teakyoung Lee, Daehyuk Kang: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on the Clinical Fieldwo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2(1), 69-82, 2004
Seongjin Ko, Sesik Kang, Changsoo Kim, Seokyoon Choi, Junghoon Kim: Study 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by Students in Department of Radiologic Science,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4(4), 287-296, 2011
Junghoon Kim, Sesik Kang, Changsoo Kim: A Study on Stress Factors Radiology Students Experience During Outdoor Clinical Training,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6(3), 201-208, 2013
Joonil Lee, Chongsam Park: A Study on Clinical Practice of Radiologic Technology Department, Daegu Health College, 91-106, 2000
Sookyung Na: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linical Training Students Toward the Medical Service of Radiotechnologist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1(2), 64-68, 1998
Beonggyu Yoo, Hanjoon Yang, Youngsoon Park: A Study on Clinical Demonstration Assessment for the Radiotechnological Students of College in Korea,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2(1), 79-85, 1999
Chongsam Park, Joonil Lee: The Opinion of Students about Clinical Demonstration in Dept. of Radio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Technologists Association, 28(1), 23-33, 2002
Jinsook Choi: Comparison of Perceptions about Teaching Practices by Student Teachers Before and After Practi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Child Studies, 26(4), 113-123, 2005
Kwangyeol Lyu, Hyunsoo Kim: Satifaction and Improvement of Clinical Experiment of Student Radiotechnologist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9(4), 303-310, 2006
Changmoo Baek, Sooin Chae, Jeongkoo Kim: Characteristic of Stress According to Student Clinical Training in Department of Radiology,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Technologists Association, 6(4), 291-298, 2012
Hyunjin Kim: A Comparative Study of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Pre-service teachers' English Classes in Korean Middle Schools, Master's Degre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2008
Kyeongyrop Kim: Differences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s in Perception about 'Good Class', Master's Degre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2010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