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교육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 및 활용 방안
Awareness and Utilization Plan of the Smart Learning in University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8, 2015년, pp.5232 - 5239  

임진형 (제주한라대학교 유아교육과) ,  고선영 (제주한라대학교 사회복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 및 활용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A지역 대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스마트 기기 이용현황,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 활용 요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스마트 기기를 포함한 미디어 기기 일일 평균 사용시간은 4시간 이상이 가장 많았고, 스마트기기 사용 용도는 SNS 사용, 게임 및 오락, 일정관리 등이었다. 둘째,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대학교육에서 스마트러닝의 장점은 학습 및 과제해결부담 감소가 가장 많았고, 장애요인은 수업몰입의 어려움이었다. 셋째, 대학 스마트러닝에 대한 요구는 스마트러닝을 위한 교육, 강의실 구축에 대한 의견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스마트러닝을 대학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nd utilization plan of Smart Learning of the university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needs analysis is performed through a survey of 345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e survey, first, students of media devices, including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조사연구를 통해 대학의 계열별 학생들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본다. 둘째, 대학생들이 인식한 스마트러닝의 교육 심리적 측면의 장점과 장애요인에 대해 알아본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대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대학교육의 스마트러닝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항에 대해 알아보고, 대학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교육분야에서 이루어진 스마트러닝에 관련한 연구는 스마트러닝 활용방안 탐색[14], 스마트기기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15]의 연구가 있으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초,중,고등학교와 달리 전공별 특수성과 졸업 후 직업과 연결되는 대학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대학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은 무엇이고, 대학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의 활용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러닝과 관련한 기존 연구들로 무엇이 있는가? 서영민(2011)은 스마트기기의 사용은 개인이 다양한 정보를 업무나 교육활동에 쉽게 활용할 수 있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교육에 관한 논의가 증대 되고 있다고 하였다[5]. 스마트러닝과 관련한 기존 연구들은 스마트 기기 활용 실태 및 인식 연구[6,7], 스마트러닝에 대한 요구[8], 스마트러닝 활용방안 및 교수·학습 모형연구[1,9,10,11], 스마트 기기 활용 교육[12,13,19]등이 있다. 기존의 국내연구들을 살펴보면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한 경향 연구 및 모형개발 등 학문적 기초를 토대를 마련하는 연구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어떠한 흐름에 발맞춰 교육과학 기술부에서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가? 스마트 기기가 갖는 가장 기본적인 특성은 사용 환경의 개별성과 자기주도성, 이동성과 접근성에 있다[6]. 개인 중심의 학습경험과 지식이 강조되면서 개인이 주도적으로 학습을 구성해나가는 구성주의 패러다임과 OS환경을 사용자가 직접 구성할 수 있다는 스마트 기기의 결합은 교수학습방법에 있어 새로운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교육과학기술부(2011)는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 계획'에서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및 적용, 온라인 수업·평가 활성화, 교육콘텐츠 자유이용 및 안전한 이용환경 조성, 교원의 스마트교육 실천역량 강화, 클라우드 교육 서비스 기반 조성 등의 세부 추진과제를 설정하고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많은 예산을 투자하여 추진하고 있다[3].
스마트 기기가 갖는 가장 기본적인 특성으로 무엇이 있는가? 스마트 기기가 갖는 가장 기본적인 특성은 사용 환경의 개별성과 자기주도성, 이동성과 접근성에 있다[6]. 개인 중심의 학습경험과 지식이 강조되면서 개인이 주도적으로 학습을 구성해나가는 구성주의 패러다임과 OS환경을 사용자가 직접 구성할 수 있다는 스마트 기기의 결합은 교수학습방법에 있어 새로운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 Y. Kim., Y. K. Bae., Development of a Smart Education Model for Field Application of Smart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13, 5,77-92, Oct 2012. 

  2. M. G. Seol., C. I. Son.,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Current State of Using Smart Learing in Elementary Schools,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6(3), 309-318, 2012. 

  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mart Educational Strategies Press, 2011. 

  4. S. K. Lee., S. Y. Bean., S. Y. Geun. A Case Study on the Learning Transfer in Coporate e-Learning,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6, 1 45. 2010. 

  5. Y. M. Seo., Y. J .Lee., Education Discuscion about the pros and cons of Smart Education Policy,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5, 2, 205, 2011. 

  6. S. K. Lee., M. H. Kwon., A Study on the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 Smart Education and Its Improvement Plan, Korea Regional Communication Research Association, 14 ,2, 258-294, 2014. 

  7. K. Lim., D. Y. Lee., Research on pre-service teacher' perceptions of smart phones for educational use and suggestions for school polic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 9, 47-57, 2012. 

  8. H. S. Moon., K. M. Park., Needs Analysis for Smart Learning in University Education and Plans for Activation, Journal of KITT, 11, 5, 175-190, May, 2013. 

  9. S. H. Lee., A. K. Chung, A Study on the Learning and teaching Processing for the e-Learning Contents Using Smart Phone,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593-594, 2010. 

  10. I. S. Lee., A Study on Learning Effect Improvement Method in Smart Learing, Korea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4, 1, 347-357, 2013. 

  11. J. C. Jo., H. S. Lim., A Conceptual Model of Smart Education Consider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5, 4, 41-49, 2012. 

  12. K. J. Kim., Smart-phone Based Mobile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JICS), 11, 2, 205-206, 2010. 

  13. H. A. LEE., J. H. Youn., An Analysis of Elements to Improve Interactivity in Educational Apps for Smart Learning, Korea Science & Art Forum, 10, 143-154, 2012. 

  14. J. W. Kang., Smart search for creative learning Utiliz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 2, 20-26, 2012. 

  15. Y. G. Jong., M. K. Lee., J. S., Han., M. O. Han, An analysi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n digital equipment, smart equipment and smart e-book,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8, 3, 43-70, 2013. 

  16. Y. G. Gim., M. H. Chung., J. H. Kim.,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Utilization Plan of Smart Devices for Educational Purpos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14, 3, 47-55, June, 2013. DOI: http://dx.doi.org/10.7472/jksii.2013.14.3.47 

  17. Yvette E. Gelogo, Hyejin Kim, LotG: "A Design of Adaptive u-learning System,"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ISSN:2383-5281, Vol. 5 No. 3, pp. 239-249, June 2015. 

  18. Young-Hae Kim, Young-Ju Jee, Hong, Hyun Hwa, Predictor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ISSN:2383-5281, Vol.5 No.2, pp.107-114, April 2015.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5.04.01. 

  19. Maricel Balitanas, Rosslin John Robles, "Peer To Peer Content Sharing On Smart Phones Technolog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ISSN:2383-5281, Vol. 2 No. 2, pp. 77-84, December 2012.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2.1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