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간과 같은 감도를 가진 오감센서 기술
Technology of Sensors with Human Sensitivity 원문보기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8 no.6, 2015년, pp.507 - 514  

송병택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람과 사람 사이의 통신을 넘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 사물인터넷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스마트 센서는 지능화에 의해 스마트폰, 지능형 자동차, 스마트홈 시스템, 착용형 전자기기, 원격진료 시스템, 대규모의 환경 감시 시스템 등으로 활용영역을 넓히고 있다. 최신 스마트폰에는 이미지센서, 터치센서, 마이크로폰, GPS, 모션센서, 지자기센서, 조도센서, 근접센서, 지문센서 등 다양한 스마트 센서가 적용되고 있다. 센서 기술은 기존 센서에 제어 판단 저장 통신 등 다양한 기능이 결합되어 기존 산업과 IT 산업을 융합하는 차세대 유망기술로 주목을 받는다. 특히 촉각 시각 청각 미각 후각 등 인간의 감각을 모방하는 오감인식 기술이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보고서에서는 인간의 오감에 대한 생물학적 원리와 오감센서의 동작 원리, 국내외 연구개발 현황, 기술 및 시장 동향을 정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ernet of Things era is approaching where all the things are equipped with smart sensors and communicate through internet. The three core technologies of the Internet of Things are 'detection technology' to get information from things and the environment,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사물인터넷에 있어 센서는 시공을 초월해 필요한 정보를 얻고 스스로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인터넷 기기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바이오, 나노 기술과 융합하여 센서의 정밀도는 향상되고 초소형 센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MEMS기술을 센서 제작에 이용하게 되었다. 스마트폰과 같은 첨단 IT기기가 소형화 되고 기기들 상호간 연결과 센서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및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정보통신기술 응용분야에서 상당히 앞서 있다고 하나 기초 기술이나 센서 등 핵심 부품에 대해서는 그렇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오감을 모방한 오감센서의 개요, 국내외 연구개발 현황, 기술 및 시장 동향을 분석 정리한다.
  • 특히 촉각ㆍ시각ㆍ청각ㆍ미각ㆍ후각 등 인간의 감각을 모방하는 오감인식 기술이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보고서에서는 인간의 오감에 대한 생물학적 원리와 오감센서의 동작 원리, 국내외연구개발 현황, 기술 및 시장 동향을 분석 정리하였다.
  • 허니웰·보쉬·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등 기존 센서 업체는 물론 구글·애플 등 IT 공룡들도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삼성전자도 최근 20여 종의 냄새를 구별할 수 있는 초소형 후각센서, 미세 움직임을 파악하는 동작 인식 센서 등을 소개했다. 하지만 IT강국으로 꼽히는 한국의 센서 분야 핵심 기술력은 미국·일본·유럽 등 선진국의 5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각기관이란 무엇인가? 감각기관은 감각수용기를 통하여 신체의 내부나 외부로부터 오는 다양한 형태의 자극에 반응하여 신경자극을 뇌로 전달하는 기관이다. 감각기관은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등의 자극을 지각하며, 뇌로 전달된 신경자극은 각각 뇌의 특정 부위에서 해석된다.
지능화된 스마트 센서는 어떤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가? 과거의 ‘검출기’가 특정 물질을 ‘감지’하는 수준인 반면 최근의 ‘센서’는 감지 신호를 전달하여 중앙처리장치가 어떠한 판단을 내리도록 한다. 지능화된 스마트 센서는 신호를 감지하는 일반 센서 기술에 나노기술, MEMS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 자동보정, 자가진단, 의사결정, 통신 등의 신호처리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8].
사물인터넷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물인터넷은 기존의 유선통신 기반의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로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개입 없이 상호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에는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감지 기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기반 기술', 각종 서비스에 적합하게 정보를 가공하고 처리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ensory organ", Doopedia 

  2. "Recognition Technology of Human Senses", Digital Times, 2013. 04. 01 

  3. Alex Chortos, Zhenan Bao, "Skin-inspired electronic devices", Materials Today, 17(7), pp.321-331, 2014 

  4. Seong-In Cho, "Electronic Tongue That Substitutes Human Tongue", The Science & Technology, 07, pp.60-63, 2013 

  5. Il-Doo Kim, "Electronic Nose That Monitor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Personal Diseases", The Science & Technology, 07, pp.69-73, 2013 

  6. Heung-Jo Ko, In-Hwa Jeong, Min-Young Jeong, "Insect Eye Camera with a Wide Angle of View over 180 Degree", The Science & Technology, 07, pp.64-68, 2013 

  7. "auditory sensor", Dictionary of Computer IT Glossary 

  8. Kyung-Tae Kang, "Smart Sensors and Intelligent Cars", Journal of The KSME, 54(10), pp.32-34, 2014 

  9. "Avatar Integrating Real and Virtual World", The Electronic Times, 2013. 06. 19 

  10. "Realization of 'Avatar Robot' Having Human Senses", Digital Times, 2012. 09. 13 

  11. "'Center of Human-centered Interaction for Coexistence' Opened", The Electronic Times, 2011. 04. 18 

  12.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is Emerging", The Electronic Times, 2014. 11. 21 

  13. Chi-Ho Lee, "Innovation by Human Senses Recognition Technology", SERI Management Note, 180, 2013 

  14. Seung-Hoon Lee, "Trillion Sensors are Opening The IoT Era", LG Business Insight, pp.16-26, 2014. 5. 14 

  15. Hoi-Sung Yang, Sang-Yeon Lee, Kang-Bok Lee, Hyo-Chan Bang, "Technology Trend Development Direction of Sensors for Internet of Things",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21(2), pp.30-38, 2014 

  16. "Japan endeavors, 'Catch 10 Trillion Won Sensor Market'", Maeil Business News Korea, 2015. 09. 13 

  17. "Smart Sensor are Opening New Scope of IoT", The Electronic Times, 2015. 08. 31 

  18. "Promoting State-of-the-art Smart Sensor: To put 150.8 Billion Won for 6 Years", The Electronic Times, 2015. 08. 31 

  19. "Electronic Sensor Expanding IT World", JoongAng Ilbo, 2015. 01. 27 

  20. "Robots get a feel for the world at USC Viterbi", USC Virerbi News, June 18,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