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감각에 대한 뇌의 분화성과 통합성 뇌파연구
Brain laterality and whole brain EEG on the learning sens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6 no.1, 2015년, pp.55 - 64  

권형규 (경성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습감각과 뇌 활동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학습자의 학습감각 유형과 뇌의 분화성 및 통합성에 따른 뇌파 지표에 따라 상호관계성을 규명하였다. 학습자는 시각, 청각, 운동감각을 통해서 정보를 습득한다. 이러한 뇌에 반영되는 학습 감각은 다양한 학습감각의 조합으로 나타나는데 뇌의 분화성과 통합성에 관여하는 학습감각의 유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학습양식을 규명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학습감각에 포함된 자기 주도적 학습은 뇌의 기능에 연계된 문제 중심학습이 통합 뇌로 알려진 균형적인 뇌의 활용을 강조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감각운동리듬 (SMR) 뇌파에서 효과적인 통합뇌 학습이 높은 청각학습과 시각학습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베타파에서는 효과적인 통합뇌 학습이 높은 운동감각과 시각 학습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brain based learning activities on the individual learning senses by using the brain laterality and the whole brain index. Students receive the information through the visual, auditory, and kinesthetic senses by Politano and Paquin's (2000) classification. These l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오랜 뇌 연구를 통해 뇌의 기능 및 영역이 제시된 좌우 뇌와 통합 뇌의 분화성을 중심으로 학습감각 유형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뇌 활동 캠프를 통해 모집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습감각 유형을 시각적, 청각적 및 운동감각적 학습으로 분류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 성향 여부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좌우 뇌 우세 및 통합 뇌 여부에 따른 감각 운동리듬 (sensorimotor rhythm; SMR)파와 베타파의 활성도를 분석한 것이다. 베타파는 긴장된 대뇌의 활동성을 나타내며 저 베타파인 감각운동리듬파 (SMR)는 학습준비에 대한 각성 정도를 나타내는 학습뇌파의 활성도를 보여주는 뇌의 지표이다 (Fischer, 2008; Kwon, 2011).
  • 학습감각 중 시각 및 청각 자극은 자기주도적인 집중도를 좌우하는 요인으로 뇌파를 조절함으로써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뇌의 분화성과 통합성을 보는 것도 의미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학습감각 유형에 따라 뇌의 활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여 좌우뇌 성향에 따른 학습감각이 자기 주도적 문제를 통한 전뇌학습에 의미를 줄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만들어 줄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토대는 또한 개인별 학습감각에 따른 뇌활동을 억제 및 강화할 수 있는 뇌 기반 치료에 대한 근거를 제공해 준다.
  • 본 연구는 학습감각에 따른 교육 및 훈련에 대한 지침을 좌뇌적 요인, 우뇌적 요인, 또는 통합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는 정량뇌파 (quantitative EEG)분석에 따른 뇌 영역 변별기준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학습에서 보여지는 좌우뇌 균형발달과 일반적인 학습감각인 시각적학습, 청각적학습 및 운동학습에 대한 뇌과학적 지침을 제시하고 학습감각과 연계한 뇌의 분화성 및 통합성을 제시함으로써 개인별 학습감각에 따른 뇌의 향상을 가져오는 뇌의 기능 및 영역을 훈련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가 마련되었다.
  • 본 연구는 학습감각 유형에 따라 뇌의 활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여 좌우뇌 성향에 따른 학습감각이 자기 주도적 문제를 통한 전뇌학습에 의미를 줄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만들어 줄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토대는 또한 개인별 학습감각에 따른 뇌활동을 억제 및 강화할 수 있는 뇌 기반 치료에 대한 근거를 제공해 준다. 뇌의 기능분화성과 학습감각 및 자기주도적 학습을 알아보기 위하여 뇌의 기능을 양뇌우세, 우뇌우세, 양뇌부진, 그리고 좌뇌우세로 나누어 서로간의 관계를 분석 (Park, 2000)한 결과를 적용하여 동질성 분석 및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 본 연구 결과 시각학습, 청각학습 및 운동학습을 포함하는 학습 감각 유형에 대한 뇌의 활성영역을 뇌의 분화성과 통합성을 중심으로 규명하였다. 좌우뇌 및 뇌의 통합적 활용은 다양한 학습환경에서 제공되는 각종 시청각자료 및 운동 활동에 대해 학습에 영향을 주는 형태를 뇌과학적인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규명해 본 것이다. 집중성을 나타내는 베타파의 활성도에 따른 연구결과 추구하는 통합 뇌적인 양 뇌 우세가 운동학습 감각 및 자기 주도적 학습과 관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운동학습 감각이 일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주고 있다.
  • 학습은 감정, 기억, 적응, 및 주의집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다양한 요인들이 통합적으로 적용되어 반영된 부분이 뇌파의 형태로 뇌의 활성화 정도 및 영역으로 표현되어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 (Kwon과 Fischer, 2013). 학습자의 적응된 학습감각에 따라 변화되는 뇌의 모습을 중심으로 개인의 학습유형과 방법을 결정하는 뇌 과학적 기준을 제시하고 학습에 영향을 주는 학습감각에 따른 뇌 활동에 대한 특징을 보여준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결정나무 분석이란? 의사결정나무 분석이란 의사결정을 위한 규칙을 나뭇가지 구조로 만들어 분류 및 예측을 하는데 목표변수 와 입력변수의 관련성에 따라 중요변수를 선별 및 생성하며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분석기법이다. 의사결정나무분석 알고리즘은 Kass (Kass, 1980)에 의해 제안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지니지수 (Gini index)를 분리기준으로 사용하여 자식마디가 2개씩 생성되는 이지분리를 수행하는 CART (Breiman 등, 1984)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동질성 분석을 실시하는 이유는? 성별, 자기주도학습 및 학습감각유형인 시각학습, 청각학습 운동학습과 통합 뇌 변수 등 뇌 관련변수 간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동질성 분석 (homogene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Kwon과 Cho,2007). 대상과 범주에 수치를 부여하는 동질성 분석은 범주형 변인을 수량화하여 유사한 범주에 있는 개체는 가까이 위치하고 다른 범주의 개체는 멀리 위치해 개체 간에 서로 공간상의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의사결정나무분석 알고리즘으로 사용하는 CART 알고리즘은 어떤 방법인가? 비모수적인 방법 중 하나인 의사결정나무분석 (decision tree analysis)을 통해 독립변수들의 상호 작용 효과가 통합 뇌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용한 알고리즘으로는 이지분리를 수행하는 CART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알고리즘으로, 불순도 (impurity) 또는 다양도 (diversity)를 측정하는 지니지수 (Gini index)를 사용하여 지니지수를 가장 감소시켜주는 독립변수와 그 변수의 최적분리를 자식마디로 분리하는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reiman, L., Friedman, J., Olshen, R. and Stone, C. (1984).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Wadsworth, Monterey, CA, USA. 

  2. Denno, D. W. and Nachshon, I. (1987). Violent behavior and cerebral hemisphere function, the causes of cri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3. Lee, M. S., Park, C. and Nam, J. H. (2013). Importance of sport emotional intelligence on sports psychological skills and sports emotion among athlet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355-368. 

  4. Fischer, K. W. (2008). Dynamic cycles of cognitive and brain development: Measuring growth in mind, brain, and education. The Educated Brain; Essays in Neuroeducation, edited by A. M. Battor, K. W. Fischer and P. J. Le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5. Kwon, H. K (2011). Brainwave activities of the cognitive individual differences in computerized arithmetic addition by implicit association test.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5, 635-644. 

  6. Kwon, H. K. and Cho, J. S. (2007). Homogeneity analysis for the SMR brainwave by the functional laterlization of the brain based on the science learning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8, 721-733. 

  7. Kwon, H. K. and Fischer, K. (2013). Neurological brain technology for learning. Proceedings of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and Expo on Emerging Technologies for a Smarter World, 22-23. 

  8. Kwon, J. R. (2007). Learning senses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0, 1-13. 

  9. Kwon, Y. J. and Lawson, A. E. (1999). Why do most science educator encourage to teach school science through lab-based instruction: A neurological explan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 29-40. 

  10. Jasper, H. H. (1958). The ten twenty electrode system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10, 371-375. 

  11. Kass, L. R. (1980). Ethical dilemmas in the care of the III: II. What is the patient's good?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44, 1946-1949. 

  12. Park, S. H. (2000).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rain laterality and crativ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4, 31-56. 

  13. Politano, C. and Paquin, J. (2000). Brain-based learning with class, Portage & Main Press, Winnipeg, MB, Canada. 

  14. Yang, Y., Raine, A., Lencz, T., Bihrle, S., LaCasse, L. and Colletti, P. (2005). Volume reduction in prefrontal gray matter in unsuccessful criminal psychopaths. Biological Psychiatry, 57, 1103-1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