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현행 초등 수학 교과서에 대한 개선점과 개선 방향
Improvements and Enhancements to the Direction of Current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19 no.3, 2015년, pp.289 - 304  

안병곤 (광주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현재의 초등 수학 교과서가 개발 당시에 기대했던 점들과 지금까지 수학 교과서에 제기되었던 주요 문제점들이 수업을 진행한 교사들의 입장에서, 얼마나 개선되었는지에 대하여 스토리텔링, 흥미도와 자신감, 수학적 과정, 학습 내용의 양과 적절성, 평가, 수학의 유용성과 외형의 7개 부문의 20개 문항으로 나누어 설문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의 전체적인 경향은 긍정적이었다. 구체적으로 외형, 스토리텔링, 수학 유용성은 상당히 긍정적이었고, 수학적 과정, 학습내용의 양과 적절성 부문은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흥미도와 자신감 그리고 스스로 학습하기 부문은 큰 변화가 없어 그 원인 파악이 필요해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앞으로 새로운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개발방향이나 활용에 대한 효과의 제고를 위해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onnections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teacher's manual books according to it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1st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was analyzed to find the implications that can help to link the two curricula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 과정에 수학교육 전문가 2명과 대학원에서 초등 수학교육 전공 중인교사 16명과 검토하여 20개의 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7개 부문의 20개 문항으로, 설문 내용은 현재 초등 수학 교과서의 특징으로 사용 중인 스토리텔링과 관련된 3개 문항, TIMSS나 PISA 결과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흥미도와 자신감이 매우 낮은 점과 관련된 3개 문항, 현재 수학 교과서에서 강화된 수학적 과정과 관련된 3개 문항, 교육과정이 바뀔 때 마다 많은 연구에서 논란의 대상이 된 수학 내용의 양과 적절성에 대한 3개 문항, 수업의 결과보다는 관계적 이해를 바탕으로 과정 중심 수업과 관련된 3개 문항, 일상생활에서 수학의 활용과 유용성과 관련된 2개 문항, 활동 중심 수업 자료인 붙임딱지와 외형 체제의 2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보다 상세한 부문별 설문 내용의 구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 또한 교육과정의 핵심내용(교육과학기술부, 2009)으로 첫째, 수학 교과 내용은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대비 20% 경감하고, 둘째,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하여 수학적 과제의 해결 과정에서 다양하고 독창적인 해결 방법을 산출하거나 새로운 관점에서 탐구하고 지식을 구성하는 능력을 갖도록 하며, 셋째, 학년군제 실시로 학생들의 학습 수준 차를 인정하여 이해가 빠른 학생들은 더 많은 내용이나 더 깊은 내용을 학습을 하고, 이해가 느린 학생들은 기본적인 내용을 집중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넷째, 수학적 과정으로 수학적 문제해결, 수학적 추론, 수학적 의사소통의 능력을 갖도록 하였다. 이것은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 및 교수․학습 방법에서 선언적으로 제시되었던 수학적 과정의 제 측면들을 보다 구체적인 성취기준을 갖고 포함시켜 학교수학에서 더욱 적극적이고 분명하게 다루도록 하였다.
  • 특히, 문제해결, 의사소통, 추론으로 이루어진 수학적 과정 영역을 명시적으로 도입하고, 교과서 개발 및 활용에서 자율성을 허용하며, 학생들의 성향, 태도, 능력의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수학교육을 추구하도록 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핵심내용(교육과학기술부, 2009)으로 첫째, 수학 교과 내용은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대비 20% 경감하고, 둘째,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하여 수학적 과제의 해결 과정에서 다양하고 독창적인 해결 방법을 산출하거나 새로운 관점에서 탐구하고 지식을 구성하는 능력을 갖도록 하며, 셋째, 학년군제 실시로 학생들의 학습 수준 차를 인정하여 이해가 빠른 학생들은 더 많은 내용이나 더 깊은 내용을 학습을 하고, 이해가 느린 학생들은 기본적인 내용을 집중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넷째, 수학적 과정으로 수학적 문제해결, 수학적 추론, 수학적 의사소통의 능력을 갖도록 하였다.
  • 설문 문항은 현재 사용 중인 교과서의 개발할 당시에 기대했던 점과 그 동안 수학교과서에 대해 문제점으로 제기한 공통문제점을 바탕으로 하였다. 문항은 모두 7개 부문의 20개 문항으로 부문별 경향과 각 부문의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교사들은 현재 초등 수학 교과서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긍정적이었고, 각 부문별 특징으로 스토리텔링, 수학의 유용성, 외형부문은 상당히 긍정적이었고, 수학적 과정, 학습내용의 양과 적절성 부문은 긍정적이었으나 흥미도와 자신감은 상대적으로 낮아서 원인 파악이 필요해 보였다.
  • 이렇게 변화된 교과서에 대하여 실제 수업을 진행한 교사들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얼마나 개선되었는지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 문항은 현재 사용 중인 교과서의 개발할 당시에 기대했던 점과 그 동안 수학교과서에 대해 문제점으로 제기한 공통문제점을 바탕으로 하였다. 문항은 모두 7개 부문의 20개 문항으로 부문별 경향과 각 부문의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 연구 결과의 분석은 연구방법에서 제시한 설문 조사의 결과를 7개 부문과 각 부문별 내용에 따라 나타난 결과를 분석하였다.
  • 연구 도구인 설문 문항의 구성은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개발 당시에 기대했던 내용과 현재까지 수학 교과서에 제기한 문제점들 중에서 주요 공통 내용을 바탕으로 하였다. 이 과정에 수학교육 전문가 2명과 대학원에서 초등 수학교육 전공 중인교사 16명과 검토하여 20개의 문항을 구성하였다.
  • 연구 방법은 초등 수학 교과서의 교수과정에서 설문 내용에 대하여 어떻게 받아들이며 수업은 얼마나 개선되었는지에 대하여 7개 부문의 20개 문항으로 설문 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5년 6월15일부터 6월30일까지 배부된 설문지를 모아서 그 결과를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 가장 큰 특색은 각 단원의 도입 부분을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내용을 전개한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그 동안 결과 중심 수업을 관계적 이해를 통한 과정 중심 수업으로 바꾸기 위하여 수학적 과정을 강화하여 개발한 것이다. 이렇게 변화된 교과서에 대하여 실제 수업을 진행한 교사들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얼마나 개선되었는지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 문항은 현재 사용 중인 교과서의 개발할 당시에 기대했던 점과 그 동안 수학교과서에 대해 문제점으로 제기한 공통문제점을 바탕으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여러 차례의 변화된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되었던 수학 교과서에 대하여 제기된 주요 문제점들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이하,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교과서 개발 당시에 기대 했던 주요 내용들을 바탕으로 설문지 문항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들이 현재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는 얼마나 개선되었는지에 대하여 교과서로 수업을 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 현행 교육과정에서 수학과 교육과정(한국과학창의재단, 2011)의 개발 주요 방향은 총론에서 창의적인 인간 교육을 추구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기존에 제기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부분적인 수정과 보완을 시도하였다. 특히, 문제해결, 의사소통, 추론으로 이루어진 수학적 과정 영역을 명시적으로 도입하고, 교과서 개발 및 활용에서 자율성을 허용하며, 학생들의 성향, 태도, 능력의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수학교육을 추구하도록 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핵심내용(교육과학기술부, 2009)으로 첫째, 수학 교과 내용은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대비 20% 경감하고, 둘째,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하여 수학적 과제의 해결 과정에서 다양하고 독창적인 해결 방법을 산출하거나 새로운 관점에서 탐구하고 지식을 구성하는 능력을 갖도록 하며, 셋째, 학년군제 실시로 학생들의 학습 수준 차를 인정하여 이해가 빠른 학생들은 더 많은 내용이나 더 깊은 내용을 학습을 하고, 이해가 느린 학생들은 기본적인 내용을 집중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 현행 교육과정에서 초등 수학 교과서는 학생들의 흥미도와 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단원의 내용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수학적 과정인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을 통하여 창의성을 기르며, 스스로 학습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구성하였다.

대상 데이터

  • 연구 대상은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로 교수활동 중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들은 G광역시 소재한 G교육대학교 실습 대용학교 중에서 3개 초등학교와 J도 교육청 지정 초등 수학교육 연구학교 그리고 초등수학교육 전공 석사과정교사였다. 조사 대상 교사는 모두 88명(B초교 19명, G초교 20명, K초교 27명, J초교 17명, 초등수학교육 전공 석사과정 5명)으로 이들은 초등학교 예비교사 실습지도와 초등 수학교육 연구, 초등 수학교육 전공 중인 교사로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또 관심이 많은 교사들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여러 차례의 변화된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되었던 수학 교과서에 대하여 제기된 주요 문제점들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이하,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교과서 개발 당시에 기대 했던 주요 내용들을 바탕으로 설문지 문항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들이 현재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는 얼마나 개선되었는지에 대하여 교과서로 수업을 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새로운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하게 될 초등 수학 교과서의 연구와 집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 설문지에 참여한 교사들은 현재 초등 수학 교과서를 충분히 이해하며 활용하고 있는 교육경력이 5년 이상인 교사들로 성별로는 남자 21명, 여자 39명이고, 경력별로는 5년 이상 10년 이하가 21명, 10년 초과 20년 이하가 30명, 20년 초과가 9명이었다. 또한 교육 경력의 평균은 14.
  • 연구 대상은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로 교수활동 중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들은 G광역시 소재한 G교육대학교 실습 대용학교 중에서 3개 초등학교와 J도 교육청 지정 초등 수학교육 연구학교 그리고 초등수학교육 전공 석사과정교사였다.
  • 연구 도구인 설문 문항의 구성은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개발 당시에 기대했던 내용과 현재까지 수학 교과서에 제기한 문제점들 중에서 주요 공통 내용을 바탕으로 하였다. 이 과정에 수학교육 전문가 2명과 대학원에서 초등 수학교육 전공 중인교사 16명과 검토하여 20개의 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7개 부문의 20개 문항으로, 설문 내용은 현재 초등 수학 교과서의 특징으로 사용 중인 스토리텔링과 관련된 3개 문항, TIMSS나 PISA 결과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흥미도와 자신감이 매우 낮은 점과 관련된 3개 문항, 현재 수학 교과서에서 강화된 수학적 과정과 관련된 3개 문항, 교육과정이 바뀔 때 마다 많은 연구에서 논란의 대상이 된 수학 내용의 양과 적절성에 대한 3개 문항, 수업의 결과보다는 관계적 이해를 바탕으로 과정 중심 수업과 관련된 3개 문항, 일상생활에서 수학의 활용과 유용성과 관련된 2개 문항, 활동 중심 수업 자료인 붙임딱지와 외형 체제의 2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 조사 대상 교사는 모두 88명(B초교 19명, G초교 20명, K초교 27명, J초교 17명, 초등수학교육 전공 석사과정 5명)으로 이들은 초등학교 예비교사 실습지도와 초등 수학교육 연구, 초등 수학교육 전공 중인 교사로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또 관심이 많은 교사들이다. 이 교사들 중에서 교육경력이 5년 미만이고 설문 내용이 빠져 있거나 응답하지 않은 교사를 제외한 학년별 10명씩 모두 60명(남자 21명, 여자 3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데이터처리

  • 설문 조사결과의 분석은 설문지의 20개 문항마다 “매우 그렇다(5점), 그렇다(4점), 보통(3점), 그렇지 않다(2점), 매우 그렇지 않다(1점)”과 같이 5단계 Likert 척도에 표시한 것을 엑셀 프로그램에 정리하여 7개 부문으로 나누고, 각 부문별 내용에 따라 구한 평균을 통계처리 한 후에 그 결과를 분석 하였다.
  • 연구 방법은 초등 수학 교과서의 교수과정에서 설문 내용에 대하여 어떻게 받아들이며 수업은 얼마나 개선되었는지에 대하여 7개 부문의 20개 문항으로 설문 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5년 6월15일부터 6월30일까지 배부된 설문지를 모아서 그 결과를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교육의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이고 대표적인 실천 방안 중의 하나에는 무엇이 있는가? 학생들이 급변하는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하여 학교 교육의 수준 향상은 중요하고 필요하다. 학교 교육의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이고 대표적인 실천 방안 중의 하나가 교과서의 효과적인 활용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학교 교육에서 교과서가 주된 학습 자료로 사용되고 있고 매우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며 교육과정이 교과서를 통하여 비로소 완성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커리큘럼의 유래는? wikipedia.org/wiki/)에서 설명한 교육과정은 커리큘럼(curriculum)으로 라틴어의 Curere에서 유래한 용어로 ‘달리다’의 뜻이며, Curere의 명사형 Curriculum은 ‘말이 뛰는 길(Course of race)’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 교육과정의 의미에 대한 설명을 요약하면 첫째, 좁은 의미로는 문서화된 교육과정으로 교과들의 목록이나 교과별, 학년별 교수 내용의 체계로 보는 가장 일반적인 수준에서 파악하는 입장이며, 둘째, 학교와 같은 기관에서 교육계획에 따라 일정한 교과목을 가르치는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을 동일시하는 의미로,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학습할 내용이고 교수자 입장에서는 가르쳐야 할 내용으로 교과의 목록이나 교육과정상의 교수내용의 체계로 보는 입장이고, 셋째, 교육과정을 학습 경험으로 보는 것으로,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하면서 갖게는 경험 중에서 주로 의도되고 계획된 경험으로 보는 것이며, 넷째, 교육과정을 의도된 학습 결과로 보는 것으로, 교육과정은 수업을 통해 도달해야 할 학습 결과의 의도되고 계획된 측면으로 보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학교 교육의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이고 대표적인 실천 방안 중의 하나가 교과서의 효과적인 활용인 이유는 무엇인가? 학교 교육의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이고 대표적인 실천 방안 중의 하나가 교과서의 효과적인 활용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학교 교육에서 교과서가 주된 학습 자료로 사용되고 있고 매우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며 교육과정이 교과서를 통하여 비로소 완성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이러한 교과서로 실제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완 (2013).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개선을 위한 네 가지 문제점-1). 학교수학, 15(3), 569-583. 

  2. 강완 (2014). 현행 초등 수학과 교과서 현장 적합성 검증 및 차기 교과서 개발 방안 연구. 두산동아(주).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교육과학기술부. 

  4. 권유미, 안병곤 (2005). 초등 수학교과서에 사용되고 있는 수학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9(2), 137-159. 

  5. 김대현 (2011). 교과서의 위상과 교육과정. 교과서연구, 65, 4-5. 

  6. 김만곤 (2000). 교과서관에 따른 사회과 교과서의 변화-사회과 교과서의 변화상 연구를 위한 제안, 사회과교육, 33, 314. 

  7. 김상룡 (2001). 7차 초등 수학교과서의 문제점 및 개선점에 관한 소고. 대구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수학교육연구, 24, 71-84. 

  8. 김연미 (1999).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교과서 및 교육과정의 비교와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9(1), 121-132. 

  9. 김연식, 박교식 (1994). 우리나라의 학교 수학 용어의 재검토.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4(2), 1-10. 

  10. 김종서 (1980). 교과서제도에 관한 외국제도와 우리제도와의 비교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편. 교육과정 및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1, 381-382. 

  11. 김진호 (2014).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초등 수학교과서에 내재된 문제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493-504. 

  12. 박교식 (2001). 제 7 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용어에 대한 연구. 학교 수학, 3(2), 233-248. 

  13. 박만구 (2013).초등수학교육에서 스토리텔링의 의미와 적용 방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3), 413-430. 

  14. 박진용 (2014). 미래 사회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교과서 발전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방정숙 (2002).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현장적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 방향. 학교수학, 4(4), 657-675. 

  16. 배종수 (2005).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117-138. 

  17. 서명석 (2012). 교과서를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과 해석. 교육철학, 47, 66-67. 

  18.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1995). 교육학용어사전. 배영사. 

  19. 안병곤 (2014). 초등수학교과서에서 스토리텔링에 대한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1), 19-35. 

  20. 오영열 (2006). 수학교과서 개발에 대한 연구 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2), 197-213. 

  21. 이경화 (2011).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수학 교과서의 개선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이용숙 (2001). 초등학교 교과서 개선방안 연구. 교육과정연구, 19(2), 119-146. 

  23. 이종국 (2008). 한국의 교과서 변천사, 대한교과서. 

  24. 장혜원 (2013).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5(4), 759-783. 

  25. 장혜원 (2014).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4(2), 181-204. 

  26.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7.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공개 토론회. 한국과학창의재단. 

  2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43-338. 

  2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초등 1-2학년군 도서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0. 허윤라, 김용태 (2014). 초등교사들의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교과서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169-187. 

  31. 황혜정, 임재훈 (1999). 구성주의가 수학 교과용 도서에 주는 시사와 난점. 수학교육학연구, 9(1), 295-309. 

  32. http://ko.wikipedia.org/wiki/교육과정에서 2015년 6월 인출. 

  3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s. 

  34.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