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녕지역 축제에서 지역농특산물 및 그 가공품의 구매와 운영 프로그램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among Operation Program and Purchas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cessed Products at Changnyeong Local Festival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1, 2015년, pp.29 - 40  

차용준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허은실 (창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purchasing characteristics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cessed products as well as evaluated operation programs for Changnyeon festival participants. The purchasing rates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cessed products at this festival were 63.6% and 49.1%, resp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28이었다. 그리고 본 축제에서 가장 만족했던 행사와 앞으로 본 축제에서 지역농특산물을 알리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요구도를 명목척도로 알아보았다.
  • 2005; Jung 2009; Yoon 2010; An 2013)들을 참고하여 본 축제에서 지역농특산물과 가공품 구매와 관련하여 구매여부와 구매품목, 가공품구매여부, 구매가공품 품목, 구매동기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본 축제활동을 통한 창녕지역 농특산물의 인지도와 선호도 증가여부, 앞으로 구매여부, 본 축제가 지역농특산물 판매를 위한 효과적인 홍보방법인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축제에서 운영한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선행연구(Kim & Ahn 2012; Lee & Ahn 2012)를 토대로 8항목 을 5점 Likert 척도법(1: 매우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4: 그렇다, 5: 정말 그렇다)으로 구성하였다.
  • 2008; Lee 2011) 본 축제에 참가한 횟수, 참가동기, 축제에 대한 정보원에 대해 알아보았다. 농특산물 구매에 관한 연구(Ko et al. 2005; Jung 2009; Yoon 2010; An 2013)들을 참고하여 본 축제에서 지역농특산물과 가공품 구매와 관련하여 구매여부와 구매품목, 가공품구매여부, 구매가공품 품목, 구매동기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본 축제활동을 통한 창녕지역 농특산물의 인지도와 선호도 증가여부, 앞으로 구매여부, 본 축제가 지역농특산물 판매를 위한 효과적인 홍보방법인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창녕군은 경상남도에 소재하고 있고, 국내 최대의 자연 늪인 우포늪과 화왕산, 부곡온천 등의 관광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양파와 마늘 등의 농특산물이 유명하다(Cha & Her 2014). 본 연구는 산업형이면서 지역농특산물을 테마로 하여 현재 8회째 개최되고 있는 창녕우포누리 농특산물 한마당축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축제참가특성, 축제를 통한 지역농특산물과 가공품 구매특성, 지역농특산물의 인지도와 선호도 변화, 축제에서 운영된 프로그램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축제발전과 지역농특산물 판매촉진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창녕우포누리 농특산물한마당축제 참가자를 대 상으로 축제참가특성, 축제를 통한 지역농특산물, 그 가공품의 구매와 지역농특산물의 인지도, 선호도의 변화, 그리고 축제에서 운영된 프로그램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축제발전과 지역농특산물 판매촉진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농특산물이란? 지역농특산물이란 지역의 특수한 토질, 기후 등으로 다른 지역과 차별화되게 생산되는 상품을 말한다. 지역농특산물을 활용한 축제는 소비자를 생산지로 유인하여 지역농특산물을 홍보하고 판매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Kim 200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Kim et al.
지역농특산물을 활용한 축제 효과는? 지역농특산물이란 지역의 특수한 토질, 기후 등으로 다른 지역과 차별화되게 생산되는 상품을 말한다. 지역농특산물을 활용한 축제는 소비자를 생산지로 유인하여 지역농특산물을 홍보하고 판매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Kim 200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Kim et al. 2011).
지역농특산물을 활용한 축제가 경제적효과를 높이는 근거는? 2011). 2013년 문화관광축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축제 참가자의 소비지출 유형별 구성비에서 쇼핑비(24.5%)는 식음료비(34.7%) 다음으로 중요한 지출품목이었는데, 이는 축제에서 지역농특산물 판매를 통해 경제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 JH, Kang KO. 2006. Consumption type of housewives about organic and instant food. Korean J. Food Nutr., 19(1):28-37 

  2. An MR. 2013. Studie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s agrospeciality brand awareness and development direction.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17-20 

  3. Baik UI. 2012. The factors affecting visitors' spending on local festivals by applying the tobit model-based on rice festivals in two regions-. J. Korean Content Assoc., 12(9):479-488 

  4. Cha YJ, Her ES. 2014. Relationship among Recognition, Preference and Purchasing Characteristics for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Festival Satisfaction of Changnyeong Area. J. Korean Food Cult., 29(6):528-538 

  5. Han DY. 2011.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factors of farm experience programs on the purchase of local agricultural special products. Master's degree thesis, Kyonggi university, Korea, pp99-165 

  6. Her ES. 2010. Development of practical dietary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 Nutr., 15(5):636-647 

  7. Her YB. 2014. The effect of local specialty awareness on puchasing intention and visiting festival behaviorfocusing on the Yangyang song-i mushroom festival. Master's degree thesis, Kangwon university, Korea, pp 52-53 

  8. Jang SS, Yang YK, Ko KS. 2008.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intent of repeat-visit: the case of Jeju full-moon fire festival. J. Tour. Sic., 32(4):373-387 

  9. Jung EJ, Kim CS. 2012. The effects of brand of local festivals to regional image and regional development. J. Tour. manag. res., 16(3):293-316 

  10. Kim SM, Ahn HY. 2012. How appropriate cultural tourism festivals have influence on regional marketing effect. Northeast Tour. Res., 8:43-59 

  11. Jung ML. 2009. A study of visit motivation, tourism satisfaction of programs and loyalty of local festival-focused on Chengdo seedless persimmon festival and Jinyeong sweet persimmon festival-. Master's degree thesis, Sejong university, Korea, pp 123-124 

  12. Kim JH. 2012.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of food tourism festivals-centering around Gwangju, Jeonnam province-. Korean J. Culin. Res., 18(5): 129-145 

  13. Kim MM, Park KE, Lee SB. 2014. The effect of local specialty brand experience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ter J. Tour. Hosp. Res., 28(2):109-11925 

  14. Kim SA. 2006. An Effect Analysis of the Local Agricultural Products Demand from an Local Festival -A study on HwaCheon HwaAk mountain tomato festival-. Master's degree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22-23 

  15. Kim SK.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cultural festivals in Gyeongbuk province: based on the meta evaluation system. Master's degree thesis, Yeungnam university, Korea, pp 11-12 

  16. Kim YN, Suh YK, Jeong C. 2011. Purchase behavior of local special products in a local festival: the case of Jeju jeongwol daeboreum fire festival. J. Tour. Hosp. Res., 25(3): 197-217 

  17. Ko BT. 2005. A study on the image and satisfaction level with local festivals -the case of Jinju Namgang lantern festival-. Master's degree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120-123 

  18. Kwon JO, Park SW. 2013. Usefulness of providing for festival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to activate participation on a local festival. J. Tour. Manag. Res., 22(1):213-232 

  19. Lee DW, Suh KY. 2011. Influence of participation motive and selection attitudes for Hoengseong hanu festival. Hosp.Manag. Res., 20(1):286-298 

  20. Lee ES. 2011. The study on food factors influencing on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comparison between first-time visitors and repeat visitors. J. Hosp. Tour. Stud., 13(3):218-230 

  21. Lee HK, Ahn DS. 2012. A study about assessment on operation program of local festivals. J. Korean Inst. Tradit. Lands Archi., 30(1):103-112 

  22. Lee JR, Ahn ZH. 2004. A study on the visitor's satisfaction decisive factors of the local festival: in case of Simchung festival in Goksung county. J. Korean Assoc. Regional Geogra,. 10(3):642-653 

  23. Lim SJ. 2008. The survey on preference, perception for onion and wanted new onion products of adults in Korea. Master's degree thesis. Changwon university, Korea, pp 8-9 

  2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cultural tourism festival status. Available from http://www.mcst.go.kr/main.jsp, [accessed 2014.09.01] 

  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Analyzing demand for local festival agricultural products in direct transaction, Korea, pp 24-25 

  26. Yoon HR. 2010. The effects of local agricultural/special products on the intention for tourists to revisit the Yesan area. J. Korean Soc. Food Cult., 25(6):746-754 

  27. Yoon SN, Yoo YH. 2013. The effects of festival experience on festival image and the valuation of festival -focusing on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Tour. res., 38(3):55-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