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동료학습의 효과: 수술 전후 간호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Video-based Peer assisted Learning in Standardized Patients Simulation: Pre and Post Operative Car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1, 2015년, pp.73 - 82  

박인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신수진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er assisted learning (PAL) using video recordings in standardized patients (SP) simulation. Methods: A mixed-method approach was adopted, in which quantitative data were supplemented with qualitative data.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ed of 49 nursing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술 전후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동료학습이 지식, 수행자신감 및 임상적 비판적 사고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양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실습 후 임상실습에서의 변화된 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을 하는 혼합방법연구(mixed methods study)로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동료학습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혼합방법론적 접근을 통해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동료학습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술 전후 간호에 대한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동료학습이 수술전후 간호에 대한 지식, 수행자신감, 임상적 비판적 사고 기술에 미치는 효과 및 임상실습에서의 변화 경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양적 데이터를 주 자료로, 질적 데이터를 보완자료로 사용하는 형태의 혼합방법론 연구이다.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동료학습이 수술 전후 간호에 대한 지식, 수행자신감, 임상적 비판적 사고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사전사후 실험설계의 양적 연구와 동료학습 후 임상실습에서의 변화 경험에 대하여 전통적인 질적내용분석(conventional qualitative content analysis)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혼합방법론적 접근을 통해 수술 전후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동료학습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동료학습이 수술 전후 간호 지식, 수행자신감, 임상적 비판적 사고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임상실습에서의 변화 경험을 분석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혼합방법론적 접근을 통해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동료학습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술 전후 간호에 대한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동료학습이 수술전후 간호에 대한 지식, 수행자신감, 임상적 비판적 사고 기술에 미치는 효과 및 임상실습에서의 변화 경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연구책임자는 대학원 과정에서 질적 연구방법론을 이수하고 질적 연구를 위한 워크숍에 2회 이상 참여하여 면담기법과 질적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훈련받았고 질적 연구학회 참석 및 정기적인 연구모임 등에 참여하여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자로서의 준비기간을 거쳤다. 본 연구의 공동연구자는 수차례의 질적 연구를 출판한 경험이 있으며, 대학원과정에서 질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면서 질적 연구의 도구인 연구자로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는 노력을 하였다.
  • 이러한 차이는 수업 기간과 측정변인의 차이로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실습이 2주 2회로 단시간의 실습인 반면 Ham[28]의 연구는 4주 4회, Hur 외[29]연구에서는 3주에 4개의 시나리오 구동 실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Kim 외[30]연구는 주당 4시간 이상의 open lab을 운영하며 4개의 시나리오 실습을 하였다. 이렇듯 다양한 시나리오를 접하고 3~4주 이상의 프로그램을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의 향상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자가보고형인 비판적 사고성향 도구에 비해 정답이 있는 인지적 능력인 비판적 사고 기술은 장기간의 반복학습을 통해 변화가 가능한 특성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양적 데이터를 주 자료로, 질적 데이터를 보완자료로 사용하는 형태의 혼합방법론 연구이다.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동료학습이 수술 전후 간호에 대한 지식, 수행자신감, 임상적 비판적 사고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사전사후 실험설계의 양적 연구와 동료학습 후 임상실습에서의 변화 경험에 대하여 전통적인 질적내용분석(conventional qualitative content analysis)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이다.

가설 설정

  •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동료학습을 받은 실험군의 수행자신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는 지지되었다.
  • 두 번째 가설인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동영상을 활용하여 동료학습을 경험한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전후 간호 수행자신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세 번째 가설인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동영상을 활용하여 동료학습을 경험한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임상적 비판적 사고 기술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첫 번째 가설인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동영상을 활용하여 동료학습을 경험한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전후 간호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2.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동영상을 활용하여 동료학습을 경험한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전후 간호 수행자신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1.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동영상을 활용하여 동료학습을 경험한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전후 간호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3.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동영상을 활용하여 동료학습을 경험한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임상적 비판적 사고 기술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 교육이 대두되게 된 현재의 임상실습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 임상교육은 임상실습 현장의 상황 및 학교 여건상 다양한 임상경험을 하는데 여러 장애요인을 가지고 있고 간호대상자들도 미숙한 실무능력을 보이는 실습학생들을 거부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간호학생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는 점차 감소하고 관찰 교육으로 끝나게 되는 경우가 많다[1]. 이러한 임상실습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론수업과 임상실습 사이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도구로 시뮬레이션 교육이 대두되고 있다[2].
수행자신감이란 무엇인가? 수행자신감이란 생각하거나 계획한 대로 업무를 해낼 자신이 있다는 느낌을 말하는 것으로[15] 수술 전후 간호 수행자신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술 전후 간호에서 핵심적으로 수행해야 할 실습 항목을 연구자가 총 10문항으로 개발하였다. 수행자신감 문항도 1~4점까지 타당성을 점수화하여 성인간호학 교수 1인과 임상실무경력 10년 이상의 간호학 박사 1인에게 확인한 결과 모두 각 문항당 3점 이상을 주어 타당한 내용으로 확인되었다.
표준화 환자란 무엇인가? 이러한 임상실습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론수업과 임상실습 사이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도구로 시뮬레이션 교육이 대두되고 있다[2]. 특히, 시뮬레이션 교육 유형 중 하나인 표준화 환자는 실제 환자의 감정 및 신체적 특성을 똑같이 표현할 수 있도록 훈련된 사람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으며 환자에 대한 간호학생의 접근성이 제한된 임상 현장을 고려할 때 임상현장을 재현하여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임상현장 적응력을 높이는 교육방법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HR, Choi EJ. Development of a scenario and evaluation for SimBaby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children with fever in emergency.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11;11(6):279-88. 

  2. Ignacio JJ. Evaluation of simulation learning for clinically-experienced nurses. Singapore Nursing Journal. 2012;39(1):19-26. 

  3. Seong KY. Effects of Practice nursing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subcutaneous insulin injection [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 2008. p. 1-72. 

  4. Yang HA. Critical thinking and the standards of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for Health Professions. 2004;1(1):99-106. 

  5. Dreifuerst KT. The essentials of debriefing in simulation learning: A concept analysi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009;30(2):109-114. 

  6. Kim JY. Development of a scenario of simulation and analysis of the effect of debriefing: focused on case of cerebral hemorrhage patients [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 2012. p.1-86. 

  7. Bond WF, Deitrick LM, Eberhardt ME, Barr GC, Kane BG, Worrilow CC, et al. Cognitive versus technical debriefing after simulation training.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06;13(3):276-83. 

  8. Park JH, Son JY, Kim Sun, May W. Effect of feedback from standardized patients on medical students's performance and perceptions of the neurological examination. Medical Teacher. 2011;33:1005-10. 

  9. Hill E, Liuzzi F, Giles J. Peer-assisted learning from three perspectives: student, tutor and coordinator. The Clinical Teacher. 2010;7(4):244-6. http://dx.doi.org/ 10.1111/j.1743-498X.2010.00399.x 

  10. Topping KJ. The effectiveness of peer tutoring in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a typology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Higher Education. 1996;32:321-45. 

  11. Salerno-Kennedy R, Henn P, O'Flynn S. Implementing peer tutoring in a 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me. Clinical Teacher. 2010;7(1):83-9. 

  12. Steinwachs B. How to facilitate a debriefing. Simulation Gaming. 1992;23:186- 95. 

  13. Nielsen A, Stragnell S, Jester P. Guide for reflection using the clinical judgment model.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7;46:513-6. 

  14. Erdfelder E, Faul F, Buchner A. G 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1996;28:1-11. 

  15.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ternet]. Seoul: Korea Dictionary; 2013 [cited 2013 August 1]. Available from: http://www.korean.go.kr/09_new/index.jsp. 

  16. Shin KR, Hwang JW, Shin SJ. Concept analysis on the clinical critical thinking ability in nursing.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08;20(5): 707-18. 

  17. Shin SJ, Yang EB, Kong BH, Jung D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linical critical thinking skills scale.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012;14(2):102-8. 

  18.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Internet]. Major cancer in 2010 Status: all men and women; 2010 [cited 2013 November 5].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 

  19.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Internet].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evaluation regulations: 2013 [cited 2013 August 1]. Available from: http://kabone.or.kr/HyAdmin/upload/goodFile/120130201102332.pdf 

  20. Zigmont JJ, Kappus LJ, Sudikoff SN. The 3D model of debriefing: defusing, discovering, and deepening. Seminars in Perinatology. 2011;35:52-8. http://dx.doi.org/10.1053/j.semperi.2011.01.003 

  21. Hsieh HF, Shannon SE.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05;15(9):1277-88. 

  22. Boet S, Bould D, Bruppacher HR, Desjardins F, Chandra DB, Naik V. Looking in the mirror: self-debriefing versus instructor debriefing for simulated crisis. Critical Care Medicine. 2011;39(6):1377-81. http://dx.doi.org/10.1097/CCM.0b013e31820eb8be. 

  23. Kim YH, Jang KS. Effect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2):245-55. 

  24. Park SM. Effects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for emergency care of patients with dyspnea, on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8(1):110-8. 

  25. Lee SJ, Park YM, Noh SM. The effects of simulation training with hybrid model for nursing students on nursing performance ability and self confid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3;25(1):170-82. 

  26. Yoo SY.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 for newborn emergency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4):468-77. 

  27. Kim SH.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the care of women with postpartum hemorrhage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deposition. Korean Parent Child Health. 2012;15(2):71-9. 

  28. Ham Y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 educational program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29. Hur HK, Park SM, Shin YH, Lim YM, Kim GY, Kim KK,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an emergent care management simulation practicum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2):228-40. 

  30. Kim DH, Lee YJ, Hwang MS, Park JH, Kim HS, Cha HK.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 (SICPP)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in a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3):499-5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