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유통 한약재의 중금속 함량 모니터링 -서울과 대구지역 한약재 중심으로 -
Monitoring of Heavy Metal Contents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in Korea: Cultivated Herbal Medicines in the Seoul and Daegu Area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1 no.1, 2015년, pp.30 - 39  

장설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이아름 (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연구단) ,  이아영 (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연구단) ,  최고야 (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연구단) ,  김호경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heavy metal contents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in Korea. Methods: Monitoring of lead, arsenic, cadmium and mercury was carried out on 116 samples of eleven types of herbal medicines. Among the total samples, 71 samples were domestic and 45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통되고 있는 한약재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약재의 안전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안전한 한약재의 유통과 효율적인 품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약재의 안전성과 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배경은 무엇인가? 경제발전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식생활의 형태가 급변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짐에 따라, 발생된 질병의 치료보다는 예방과 건강증진의 목적에 치중하고 있어 한약재의 안전성과 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1,2) 한약재는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응용범위가 광범위하여, 질병의 치료 및 건강보조약품으로 선호도가 급증하고 있다.
유기물이나 영양 염류와는 다른, 중금속류의 특징은? 급속한 산업화와 공업화로 인한 매연, 폐수 등의 유출로 환경이 오염되었고, 토양이 산성화되면서 중 금속의 용해도를 증가시켜, 토양 중 중금속의 오염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2) 토양 내에 유입된 중금속 은 자연적으로 쉽게 제거되지 않아 1차적으로 한약 재에 축적되고, 생육장해를 일으켜 수확량을 감소시키며, 최종적으로 동물이나 사람이 한약재를 섭취함으로서 체내에 축적되어 건강장해를 유발 시킨다. 6) 또한 중금속류는 유기물이나 영양 염류와는 달리 자연분해 및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극히 어렵고 지질 중의 무기 성분들과의 흡착 및 유기물과 배위공유 결합하여 분해 또는 자연 소실에 의해 안전한 형태로 되어 장기간 잔류 축적하게 된다. 7) 이러한 중금속은 미량일지라도 일단 체내에 들어오면 유기염화물이나 탄화수소 등의 기타 유기 오염물질보다 상대적으로 긴 반감기를 갖고, 8-11) 금속을 포함하는 여러 효소의 활성을 저하시키고 뼈, 신장, 간에 만성 중독증상을 유발하며, 12,13) 다른 중금속 또는 무기질과 상호 작용 하여 동물의 성장을 저해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수은, 납, 카드뮴, 비소에 대한, 우리나라 식물성 생약의 허용 기준은? 16,17) 또한 미국의 독성물질 질병등록국(ATSDR)은 중금속 자체의 독성, 발생빈도 및 노출가능성을 고려하여 인간에게 노출될 수 있는 유해 독성물질을 지정하고 있는데, 우선 순위 목록 중 수은, 납, 카드뮴, 비소가 10위 내에 포함되어 있다. 2,18) 우리나라는 식물성 생약의 중금속 허용기준을 납은 5 ppm, 비소는 3 ppm, 수은은 0.2 ppm 이하로 하며, 카드뮴의 경우 0.3 ppm 이하에서 일부 품목에 한하여 0.7 ppm 또는 1.0 ppm 이하로 기준이 완화되어 시행되고 있다. 19) 유통 한약재의 중금속은 제조과정에서 품질관리가 되지 않아 오염된 토사 등이 혼입되거나, 약용작물 스스로 토양으로부터 중금속을 흡착하는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식물 성생약의 경우 작물의 특성과 약용부위와는 관계없이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에 의해 일관적인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20) 특히 한약재는 국민의 보건위생 문제와 직결된 의약품이라는 점에서 재배나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SD, Jung SO, Kim BS, Yun ES, Chang MS, Park YA, et al. The content of heavy metals in herbal pills used as general processed food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 intak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7): 1038-1048. 

  2. Lee SD, Lee YK, Kim MS, Park SK, Kim YS, Chae YZ. The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herbal pills. J Fd Hyg Safety. 2012; 27(4): 375-387. 

  3. Lee MK, Park JS, Lim HC, Na HS. Determin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in medicinal herb. Korean J Food Preserv. 2008; 15(2): 253-260. 

  4. Baek SY, Chung JY, Lee JH, Park KS, Kang IH, Kang SJ, et al. Monitoring of some heavy metals in oriental animality medicines.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009; 22(3): 201-209. 

  5. Hwang BH, Jun IC, Kang HC, Seo YC. Quality control for the analysis of heavy metals in herbal medicine. J Kor Soc Environ Anal. 2012; 15(4): 275-281. 

  6. Jung SJ, Kang ST, Han CH, Kim SJ, Ko SK, Kim YH, et al. Survey of heavy metal contents and intake rates after decoction in herbal medicines classified by parts. J Fd Hyg Safety. 2010; 25(4): 402-409. 

  7. Park MK, Kim SY, Hwang HU. A study on the heavy metal contents in herbal medicines -Cultivated herbal medicines at North Gyeongbuk area-. J Environ Sci. 2004; 13(12): 1117-1122. 

  8. Tan KH, King LD, Morris HD. Complex reactions of zinc with organic matter extracted from sewage sludge. Soil Sci Soc Am Pro. 1971; 35(5): 748-752. 

  9. Pstruzzelli G, Guid G, Lubrano L. Organic matter as an influencing factor on copper and cadmium adsorption by soils. Water Air Soil Pollut. 1978; 9(3): 263-269. 

  10. Rhee SJ, Kim SO, Choe WK, Cho SH. Effect of cadmium dose injection on peroxidative damage in rat liver. J Korean Soc Food Nutr. 1992; 21(6): 601-607. 

  11. Jung SY, Rhee SJ, Yang JA. Effect of dietary vitamin E levels in lipid peroxidation and enzym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system in brain of cadmium administer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6; 25(4): 575-580. 

  12. Rabinowitz MB, Wetherill GW, Kopple JD. Lead metabolism in the normal human : stable isotope studies. Science. 1973; 182(4113): 725-727. 

  13. Choi SI, Lee JH, Lee SR. Effect of green tea beverage of the removal of cadmium and lead by animal experi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4; 26: 745-749. 

  14. Nordberg M. General aspects of cadmium : transport uptake and metabolism by the kidney. Environ Health persp. 1984; 54: 13-20. 

  15. Kim JY, Yoo JH, Lee JH, Kim MJ, Kang DW, Ko HS, et al.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edible mushrooms. Korean J Environ Agric. 2012; 31(1): 37-44. 

  16. Go MJ, Lee JH, Park EH, Park SW, Kim IK, Ji YA. Monitoring of heavy metals in vegetables in Korea. J Fd Hyg Safety. 2012; 27(4): 456-460. 

  17. Yu IS, Hong YJ. Analysis of heavy metals in medicinal plants. Report of SIHE. 2006; 42: 62-71. 

  18. Lee SD, Lee JS, Hwang KH, Kim HS, Yoo IS, Han KY, et al. A survey on heavy metal contents and transfer rate in animal medicines. J Pharm Soc Korea. 2013; 57(1): 8-17.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Notification No. 2011-42. Seoul: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p.3-5. 

  20. Kim DK, Kim BS, Han EJ, Han CH, Kim OH, Choi BH, et al. Distribution of hazardous heavy metals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classified by plant parts used in Seoul.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009; 22(6): 504-513. 

  21. Kang MR, Lee IH, Jun H, Kim YS, Lee SC. Elemental analysis in Astragali Radix by using ICP-AES and determination of the original agricultural place of oriental medicine by using a chemometrics.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001; 14(4): 316-321. 

  22. Lee JT. Research on intake of chinese medicine by Korea. Seoul: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6. p.16-22. 

  23. Kim SJ. A study on the consumption pattern and pricing structure of major oriental medicine in Korea.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ress; 2001. p.77-88. 

  2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The Korean Pharmacopoeia Tenth Edition. MFDS Notification No. 2012-129. Seoul: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ress; 2012. p.101. 

  25. Park HM, Choi KH, Jung JY, Lee SD. Metal exposure through consumption of herbal medicine and estimation of health risk among Korean population. Korea J Env Hlth. 2006; 32(2): 186-191 

  26. Bono R, Pignata E, Scursatone R, Rovere P, Natale, Gilli G. Updating about reductions of air and blood lead concentrations in Turin, Italy, following reductions in the lead content of gasoline. Environ Res. 1995; 70(1): 30-34. 

  27. Shin YH, Son JS, Kim YW, Chae CH, Kim JH, Kim CW, et al. A case of lead poisoning by ingesting herbal pills tainted by lea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 22(3): 271-277. 

  28. Im R, Youm HC, Kim DW, Bae HS, Ahn SJ, Ryu DY, et al. Dietary exposure assessment of arsenic in Korean adults. Environ Health Tox. 2010; 25(4): 307-314. 

  29. Yoo IY. The blood levels of lead, mercury, and cadmium and metabolic syndrome of Korean adults.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2014; 21(2): 251-259. 

  30. Suzy LW, Ellen JD. Lead, mercury and cadmium levels in Canadians. Health Reports. 2008; 19(4): 30-36. 

  31. Lee HH, Seo JM, Oh MS, Gang IS, Park JJ, Seo KW, et al. A survey on harmful materials of commercial medical herb in Gwangju area. J Fd Hyg Safety. 2010; 25(2): 83-90. 

  32. Yim OK, Han EJ, Chung JY, Park KS, Kang IH, Kang SJ, et al. The monitoring of some heavy metals in oriental herbal medicines and their intake rates.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009; 22(2): 128-135. 

  33. Cha YY, Heo SK, Kim DG, Baik TH, Seo HS, Park HS, et al. Determination of heavy metals and residual pepsticides in oriental medical material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7; 21(1): 226-2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