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원을 주제로 한 기하탐구프로그램을 통한 초등수학영재학생들의 창의성
A Study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creativity on dimension based geometry exploring progra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8 no.1, 2015년, pp.17 - 30  

최성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이광호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초등수학영재 학생들의 창의성이 신장될 것으로 기대되는 프로그램을 투여했을 때 나타나는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태도 변화를 분석해 봄으로써 개발된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창의성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은 소설<플랫랜드>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차원'을 주제로 한 12차시의 기하탐구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창의성을 인지적인 영역인 창의적 사고력과 정의적인 영역인 창의적 태도, 두 영역으로 나누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영역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창의성 신장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developed program influence students' creativity by analyzing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attitude which is appeared whe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get the program expected to improve their creativity. For the study, the 'dimension based geomet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차원 도형과 3차원 도형의 속성과 관계를 탐구하며 이를 통해 2차원 세계에서의 3차원의 현상을 보게 되는 관점을 이해하게 된다면 이는 3차원 세계에서의 4차원을 상상해 볼 수 있는 관점으로 연결될 것이라고 해석한 바를 기반으로 하였다.
  • 또한 ‘차원’이라는 주제는 활발한 조작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 주제가 초등수학영재학생에게 적용되었을 때 학생들의 독창적인 반응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나아가 프로그램의 적용 전과 후를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태도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비교해봄으로써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면밀히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수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성의 확인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구성과 평가 방안 마련이 선행되어야 했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주제는 2차원으로 나타나는 3차원의 입체도형의 그림자를 여러 각도로 다양하게 찾아보고 그림자를 통해 2차원적으로 드러나는 도형의 모습을 고려하며 3차원 도형을 직접 만들어보는 활동이다.
  • 본 주제는 2차원의 평면에서 1차원의 속성인 ‘길이’와 2차원의 속성인 ‘넓이’를 갖는 여러 도형을 생각하고 다루어 보면서 2차원에 대해 깊이 탐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주제는 3차원의 입체에서 드러나고 표현되는 평면에서의 문제의식을 갖는 것에서 출발하여 조형물을 구현하고 그 속성을 비교하면서 다양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해 보도록 하여 창의적인 반응을 도출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 본 주제는 입체도형의 다양한 단면을 찾아보는 활동을 통해 3차원 도형 안에 여러 가지 2차원 도형이 내재하여 있음을 발견한 후 특정한 평면도형을 단면으로 품을 수 있는 입체도형을 찾아 만들어 보는 활동이다.
  • 본 프로그램은 미래사회에 더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라고 여겨지는 4차원 공간의 개념에 대해 초등수학영재수준에서 접근할 수 있는 수준을 고려하여 구안되었다. 2차원도형과 3차원도형과의 연계 활동을 통해 2차원적 관점으로 3차원을 보는 현상을 통찰할 수 있다면 이는 3차원 공간에서 4차원 공간을 이해하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 연구 결과 신장이 확인된 요인은 확산성, 적극성, 독자성이며 이 중 확산성, 독자성의 신장은 창의적 사고력의 신장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창의적 태도에서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뒤 초등수학영재학생들의 창의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 창의성의 정의를 찾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입니까? 수학 창의성은 인간의 잠재적인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서 눈에 보이는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므로 그 정의를 내리는 일이 결코 쉽지 않다. 곧, 수학 창의성에 대해 학자들 간에 합의된 정의를 찾기가 어려우며, 그 결과 학자들마다 서로 다른 관점에서 수학 창의성을 보고, 각기 다른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하수현, 이광호, 성창근, 2013). 수학 창의성 계발을 위한 연구에서 성창근, 박성선(2012)은 수학 창의성을 영역 일반적 관점과 영역-특수적 관점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창의적인 사람의 특성은 무엇입니까? 창의적인 사람은 새로움, 신비, 추상적, 복잡한 것에 대한 매력을 느끼며 상상적이고 새로운 가설을 설정하는 특성을 갖는다(Gary A. Davis외, 2011).
성창근, 박상선(2012)은 수학 창의성을 영역-일반적 관점과 영역-특수적 관점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는데 그 중 영역-일반적 접근은 어떠한 관점입니까? 수학 창의성 계발을 위한 연구에서 성창근, 박성선(2012)은 수학 창의성을 영역 일반적 관점과 영역-특수적 관점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영역 일반적 접근은 일반창의성에서 이야기하는 확산적 사고라는 요인 즉,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이 수학, 과학, 언어, 예술 등의 영역에서 일관되게 영향을 준다는 관점이다. 이 경우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확산적 사고를 신장시키면 된다고 주장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금희, Newton Press (2009). Newton highlight. 30, 차원이란 무엇인가? : '0차원의 세계'에서 '고차원 우주'까지, 서울 : 뉴턴코리아(Kang K. H. & Newton Press (2009). Newton highlight. 30, What is the dimension? : From zero dimension to high dimension in space, Seoul : Newtonkorea) 

  2. 고호관 (2010). 수학동아, 108-113. 서울: 동아사이언스.(Koh. H. K. (2010). Mathematics donga, 126-129. Seoul: Dongascience.)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Mathematics curriculum, Notifica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361[Extra number 8]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 권오남.박정숙.박지현.조영미 (2005).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4(2), 307-323.(Kwon O. N., Park J. S., Park J. H. & Joh Y. M. (2005). Cultivating Mathematical Creativity through Open-ended Approaches: Development of a Program and Effectiveness Analysi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4(2), 307-323.) 

  5. 김부윤.이지성 (2005).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방안에 대한 모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3), 327-341.(Kim B. Y., Lee J. S. (2005). A Note on the Asses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8(3), 327-341.) 

  6. 김원석 (2011). 서술형 문제를 활용한 수학수업이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Kim. W. S. (2011). The effects of mathematical instruction using description-type problems o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7. 김상미 (2014). 수학동아, 90-93. 서울: 동아사이언스.(Kim. S. M. (2014). Math donga, 90-93. Seoul: Dongascience.) 

  8. 김판수 (2008). 창의성 이론을 통해 본 수학 창의성. 영재교육연구, 18(3), 465-496.(Kim P. S. (2008). Mathematical Creativity in the View of General Creativity Theory.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8(3), 465-496.) 

  9. 박경미 (2013). 과학동아, 126-129. 서울: 동아사이언스.(Park G. M. (2013). Science donga, 126-129. Seoul: Dongascience.) 

  10. 박문정.김판수 (2011). 초등학생을 위한 수학적 창의성 태도 측정 도구 개발. 과학영재교육, 3(3), 29-48.(Park M. J. & Kim P. S. (2011). Comparing Two Scales Measuring Attitudes towards Mathematical Creativity for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3(3), 29-48.) 

  11. 박종률 (2012). 수학영재교육길잡이. 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Park. J. R. (2012). Guide of educat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2. 성창근.박성선 (2012). 수학적 창의성 계발을 위한 과제와 수업방향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2), 253-267.(Sung C. K. & Park S. S. (2012). Review on Instrumental Task and Program Characteristics for Measuring and Developing Mathematical Creativity.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al Education, 16(2), 253-267.) 

  13. 송인섭.정미경 (2002). 수학적 사고를 통한 창의력 계발 프로그램의 개념화(I). 영재와 영재교육, 1(2), 5-28.(Song I. S. & Jung M. K. (2002). The Dimensionality and relationships between mathematical thought, contents and materials supporting the studies. Gifted children and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1(2), 5-28.) 

  14. 유윤재 (2007). 수학영재교육. 서울:교우사.(Ryu Y. J. (2007). Educat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Seoul: Kyowoo-sa.) 

  15. 이강섭.황동주.서종진 (2003). 수학과 창의성 평가에서 개방형 문항의 특성과 중학교 학생들의 반응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6, 201-215.(Lee G. S., Hwang D. J. & Seo J. J. (2003). Open-ended Problem's characteristic in mathematical creativity test and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se typ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6, 201-215.) 

  16. 이대현 (2012).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와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모델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1), 39-61.(Lee D. H. (2012). A Study on the 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and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to Enhance Mathematical Creativity. Korea Society of Elementary Education, 16(1), 39-61.) 

  17. 이대현 (2014). 다양한 해결법이 있는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안 탐색. 학교수학, 16(1), 1-17.(Lee D. H. (2014) A Study on the Measurement in Mathematical Creativity Using Multiple Solution Tasks. School mathematics, 16(1), 1-17.) 

  18. 이주용.최재호 (2013). 4D 프레임 활용 학습이 초등수학영재학생의 공간감각 및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6(1), 1-20.(Lee J. Y. & Choi. J. H. (2013). The Effects of 4D-Frame Teaching upo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Spatial Sense.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6(1), 1-20.) 

  19. 이지성(2006). 수학적 창의성의 창의적 태도에 대한 측정 도구의 개발과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Lee J. S. (2006). Creative attitude measurement in mathematical creativity : Its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 최성이 (2010). 도형의 위상적 성질을 주제로 한 초등수학영재 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Choi S. Y. (2010). A study of Development of Elementary Mathematics Program for Gitted Children with the Topological Properties in Geomet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1. 하수현.이광호.성창근 (2013). 창의성의 본질적 관점에서 본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국내 연구 동향. 학교수학, 15(3), 551-568.(Ha S. H., Lee G. H. & Sung. C. K. (2013). An Analytical Study on the Studies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Korea: Focusing on the Essence of Mathematical Creativity. School Mathematics, 15(3), 551-568.) 

  22. 현종익 (2005). 초등 수학교육에서 창의성 신장 학습. 제주교육대학교 논문집, 34, 1-20.(Hyun J. Y. (2005). Learning for Creativity Extension in Primary Math.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4, 1-20.) 

  23. Abbott, Edwin A.(1884). Flatland : a romance of many dimensions. New York : Dover publication. 윤태일(2009) 역. 플랫랜드: 모든 것이 평평한 2차원 세상. 서울: 늘봄 

  24. Tall, D. O.(1991).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Dordrecht ; Boston : Kluwer Academic Publishers. 류희찬 외 2인 공역(2003). 고등수학적 사고. 서울: 경문사. 

  25. Gary A. Davis, Sylvia B. Rimm & Del Siegle(2011).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Upper Saddle River, N.J. : Pearson. 

  26. Leikin, R. (2009). Exploring mathematical creativity using multiple solution tasks. In R. Leikin, A. Berman, & B. Koichu (Eds),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pp. 161-168). Rotterdam: Sense Publisher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