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수 및 유기산 처리가 '대보' 박피밤의 저장 시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d Heat and Organic Acid Treatments on the Quality of 'Daebo' Peeled Chestnut during Storage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1, 2015년, pp.84 - 89  

오성일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김만조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보' 박피밤의 갈변 및 품질에 화학물질(ascorbic acid, citric acid, calcium chloride: 1% 용액)과 물리적(진공포장, $50^{\circ}C$ 증류수) 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박피밤 색도의 L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Delta}E$값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포장 처리구가 급격히 색 변화가 일어나는데 비해 화학 및 물리적 처리구는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특히 calcium chloride 처리구는 색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관능적 품질평가 결과, 상품성은 일반포장 처리구가 10일간 유지되었던 반면 화학 및 물리적 처리구들은 35일간 상품성이 유지되었다. 따라서 '대보' 박피밤의 화학 및 물리적 처리는 갈변을 억제시킴으로써 박피밤의 관능적 품질유지에 효과적이였고, 특히 1% calcium chloride 침지 후 진공포장하는 것이 박피밤의 품질유지와 갈변 억제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dip treatments of chemicals (ascorbic acid, citric acid, calcium chloride: 1% solution) and physicals (vacuum packing, $50^{\circ}C$ distilled water) on the browning and quality of 'Daebo' peeled chestnut were studied. During the storage, the surface color of the samples 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박피밤의 갈변억제 방법 중 화학적 처리 방법인 ascorbic acid, citric acid, calcium chloride와 물리적 처리 방법인 열처리와 진공포장처리가 갈변 및 저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박피밤의 품질 유지 및 활용도를 증진시키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밤의 박피 방법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이러한 단점은 최근 각종 과일 및 채소류에 응용되고 있는 신선편이 제품의 응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게 되었는데(Oh and Kim, 2014), 밤과실을 박피하여 세척 후 진공포장하여 판매하는 것이그 예이다. 밤의 박피 방법으로는 스팀, 칼날, 마찰, 화학및 화염 박피 등 5가지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중 칼날 박피 방식은 수율이 떨어지지만 쉽고 빠르게 밤의 내·외피를 박피할 수 있어 산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박피밤과 같이 신선편이 형태의 제품의 단점은 무엇인가? , 2009). 그러나 신선편이 형태의 제품은 원형 산물에 비해 박피와 절단 등 가공공정을 거치므로 원형 상태에 비해 조직이 손상되어 호흡량, 에틸렌 생성량, 세포막 분해, 효소적 갈변 및 미생물 번식 등의 증가와 수분감소와 같은 품질저하 유발 현상들이 비교적 빠르게 진행된다(Toivonen and Brummell, 2008; Watada et al., 1990).
일반포장에서 진공포장보다 박피밤의 경도가 더 빨리 감소한 이유는? , 2009). 본 실험에서는 일반포장구가다른 처리구들(진공포장)보다 호흡속도가 증가하여 세포벽 분해효소의 활성을 촉진시켰기 때문에 경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고 판단된다. 화학 및 물리적 처리에 의한 박피밤의 당도 변화는 Figure 4와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antos, E., Tudela, J.A., Gil, M.I., and Espin, J.C. 2002. Phenolic compounds and related enzymes are not rate-limiting in browning development of fresh-cut potatoe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0: 3015-3023. 

  2. Chang, M.S., Park, M.J., Kim, J.G., and Kim, G.H. 2012. Effects of various packaging materials on the quality of heat treated lotus roots during storage.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9: 807-812. 

  3. Chung, H.M. and Lee, G.C. 1996. Effects of dipping and preheating treatments on susceptibility to browning of potato slices during cold storage.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12: 535-540. 

  4. Cocci, E., Rocculi, P., Romani, S., and Rosa, M.D. 2006. Changes in nutritional properties of minimally processed apples during storage.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39: 265-271. 

  5. Hathaway, S. 1999. Management of food safety in international trade. Food Control 10: 247-254. 

  6. Hwang, J.Y. 2011.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eled chestnuts with storage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4: 71-78. 

  7. Kim, J.G., Choi, S.T., and Pae, D.H. 2009.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dipping solution combination on the quality of peeled potato 'Jopung'.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7: 256-262. 

  8. Kim, M.J., Kim, S.C., and Lee, U. 2006. Chestnut cultivars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7-16. 

  9. Lee, J.S., Park, Y.J., Hwang, T.Y., Kim, I.H., Kim, S.I., and Moon, K.D.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nimally processed sweet-pumpkin during storage.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0: 6-10. 

  10. Luna-Guzman, I., Cantwell, M., and Barrett, D.M. 1999. Fresh-cut cantaloupe: effects of CaCl2 dips and heat treatment on firmness and metabolic activity.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17: 201-213. 

  11. Martinez, M.V. and Whitaker, J.R. 1995. The biochemistry and control of enzymatic browning. Trend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6: 195-200. 

  12. Meilgaard, M., Civille, G.V., and Carr, B.T. 1991.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2 nd ed. CRC press. 

  13. Oh, S.I. and Kim, M.J. 2014.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eled chestnut 'Tsukuba'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and peeling method.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7: 72-79. 

  14. Park, J.H., Hong, S.I., Jeong, M.C., and Kim, D.M. 2013. Effect of mild heat and organic acid treatments on the quality of fresh-cut lotus root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20: 23-29. 

  15. Park, K.J., Jeong, J.W., Lim, J.H., and Kim, B.K. 2008. Quality changes in peeled lotus roots immersed in electrolyzed water prior to Wrap- and vacuum-packaging.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5: 622-629. 

  16. Perez-Gago, M.B., Serra, M., and Del Rio, M.A. 2006. Color change of fresh-cut apples coated with whey protein concentrate-based edible coatings.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39: 84-92. 

  17. Poovaiah, B.W. 1986. Role of calcium in prolonging storage life of fruit and vegetables. Food Technology 40: 86-89. 

  18. Smyth, A.B., Song, J., and Cameron, A.C. 1998. Modified atmosphere packaged cut iceberg lettuce: Effect of temperature and $O_2$ partial pressure on respiration and quality.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6: 4556-4562. 

  19. Tavarini, S., Degl'Innocenti, E., Remorini, D., Massai, R., and Guidi, L. 2009. Polygalacturonase and $\beta$ -galactosidase activities in Hayward Kiwifruit as affected by light exposure, maturity stage and storage time. Scientia Horticulturae 120: 342-347. 

  20. Tomas-Barberan, F.A. and Espin, J.C. 2001. Phenolic compounds and related enzymes as determinants of quality in fruits and vegetables.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81: 853-876. 

  21. Toivonen, P.M.A. and Brummell, D.A. 2008. Biochemical bases of appearance and texture changes in fresh-cut fruit and vegetables.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48: 1-14. 

  22. Watada, A.E., Abe, K., and Yamauchi, N. 199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artially 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 Food Technology 44: 116-1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