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Objectives : To evaluate the evidence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Chuna manual therapy for functional dyspepsia. Methods : We conducted search across the 3 electronic databases (Pubmed, CAJ and Oasis) to find all of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RCTs) that used Chuna manual therapy as a treatment for functional dyspepsia.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each RCT was assessed using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Results : Thirteen RCTs met our inclusion criteria. The meta-analysis showed positive results for the use of Chuna manual therapy combined with medication treatments in terms of the efficacy rate when compared to medication treatments alone. Positive results were also obtained, in terms of the efficacy rate, when comparing Chuna manual therapy combined with medication plus specific electromagnetic therapy to medication treatments alone. Conclusions : Our systematic review found encouraging but limited evidence of Chuna manual therapy for functional dyspepsia. However, to obtain stronger evidence without the drawbacks of trial design and the quality of studies, we recommend sham-controlled RCTs or comparative effectiveness research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huna manual therapy.
#Chuna manual therapy #Functional Dyspepsia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검색된 논문들 중에서 환자의 나이나 성별, 기간 등에 제한을 두지 않고 기능성 소화불량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추나요법을 중재로 사용한 무작위 대조 비교 임상 시험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RCT)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CT의 비뚤림 위험 평가를 위하여 Cochrane Risk of Bias9) (ROB) criteria에 따른 6개의 세부 항목을 독립된 두 연구자(EHH, GHH)가 확인하였고, 모든 항목의 평가는 선정된 연구의 원문 중 내용이 명시된 경우만 인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평가자 간의 의견이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재논의와 다른 연구자(BCS)의 의견을 반영하였다.
이에 본 저자들은 이러한 추나요법의 특성을 이용한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추나 치료에 관해 기존에 발표된 임상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 근거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기능성 소화불량증 |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란 무엇인가 |
기질적인 원인 없이 지속적이거나 반복되는 상복부의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임상증후군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은 기질적인 원인 없이 지속적이거나 반복되는 상복부의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임상증후군으로1), 증상은 복통이나 복부 불쾌감, 식후 포만감, 조기 만복감, 복부 팽만감, 식욕부진, 오심, 구토, 트림, 쓰림, 역류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2). |
기능성 소화불량 | 기능성 소화불량의 치료에 한의학이 적절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무엇인가 |
한의학은 개인별 맞춤식 치료를 시행하기 때문에 여러 병인을 고려해야 하는 만성질환, 난치성 질환, 기능성 질환에 치료의 강점
한의학은 개인별 맞춤식 치료를 시행하기 때문에 여러 병인을 고려해야 하는 만성질환, 난치성 질환, 기능성 질환에 치료의 강점이 있다7). 기능성 소화불량은 만성적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뚜렷한 원인을 설명할 수 없는 기능성 질환이라는 점에서 한의 학적 치료가 적합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
기능성 소화불량증 |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어떤 증상을 나타내는가 |
복통이나 복부 불쾌감, 식후 포만감, 조기 만복감, 복부 팽만감, 식욕부진, 오심, 구토, 트림, 쓰림, 역류 등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은 기질적인 원인 없이 지속적이거나 반복되는 상복부의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임상증후군으로1), 증상은 복통이나 복부 불쾌감, 식후 포만감, 조기 만복감, 복부 팽만감, 식욕부진, 오심, 구토, 트림, 쓰림, 역류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2).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