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기능성 소화불량증에 대한 추나요법의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Chuna Manual Therapy for Functional Dyspepsia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bstract

Objectives : To evaluate the evidence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Chuna manual therapy for functional dyspepsia. Methods : We conducted search across the 3 electronic databases (Pubmed, CAJ and Oasis) to find all of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RCTs) that used Chuna manual therapy as a treatment for functional dyspepsia.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each RCT was assessed using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Results : Thirteen RCTs met our inclusion criteria. The meta-analysis showed positive results for the use of Chuna manual therapy combined with medication treatments in terms of the efficacy rate when compared to medication treatments alone. Positive results were also obtained, in terms of the efficacy rate, when comparing Chuna manual therapy combined with medication plus specific electromagnetic therapy to medication treatments alone. Conclusions : Our systematic review found encouraging but limited evidence of Chuna manual therapy for functional dyspepsia. However, to obtain stronger evidence without the drawbacks of trial design and the quality of studies, we recommend sham-controlled RCTs or comparative effectiveness research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huna manual therapy.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검색된 논문들 중에서 환자의 나이나 성별, 기간 등에 제한을 두지 않고 기능성 소화불량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추나요법을 중재로 사용한 무작위 대조 비교 임상 시험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RCT)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검색된 논문들 중에서 환자의 나이나 성별, 기간 등에 제한을 두지 않고 기능성 소화불량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추나요법을 중재로 사용한 무작위 대조 비교 임상 시험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RCT)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RCT의 비뚤림 위험 평가를 위하여 Cochrane Risk of Bias9) (ROB) criteria에 따른 6개의 세부 항목을 독립된 두 연구자(EHH, GHH)가 확인하였고, 모든 항목의 평가는 선정된 연구의 원문 중 내용이 명시된 경우만 인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CT의 비뚤림 위험 평가를 위하여 Cochrane Risk of Bias9) (ROB) criteria에 따른 6개의 세부 항목을 독립된 두 연구자(EHH, GHH)가 확인하였고, 모든 항목의 평가는 선정된 연구의 원문 중 내용이 명시된 경우만 인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평가자 간의 의견이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재논의와 다른 연구자(BCS)의 의견을 반영하였다.

  • 이에 본 저자들은 이러한 추나요법의 특성을 이용한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추나 치료에 관해 기존에 발표된 임상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 근거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이에 본 저자들은 이러한 추나요법의 특성을 이용한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추나 치료에 관해 기존에 발표된 임상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 근거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 소화불량증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란 무엇인가
기질적인 원인 없이 지속적이거나 반복되는 상복부의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임상증후군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은 기질적인 원인 없이 지속적이거나 반복되는 상복부의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임상증후군으로1), 증상은 복통이나 복부 불쾌감, 식후 포만감, 조기 만복감, 복부 팽만감, 식욕부진, 오심, 구토, 트림, 쓰림, 역류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2).

기능성 소화불량
기능성 소화불량의 치료에 한의학이 적절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의학은 개인별 맞춤식 치료를 시행하기 때문에 여러 병인을 고려해야 하는 만성질환, 난치성 질환, 기능성 질환에 치료의 강점

한의학은 개인별 맞춤식 치료를 시행하기 때문에 여러 병인을 고려해야 하는 만성질환, 난치성 질환, 기능성 질환에 치료의 강점이 있다7). 기능성 소화불량은 만성적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뚜렷한 원인을 설명할 수 없는 기능성 질환이라는 점에서 한의 학적 치료가 적합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어떤 증상을 나타내는가
복통이나 복부 불쾌감, 식후 포만감, 조기 만복감, 복부 팽만감, 식욕부진, 오심, 구토, 트림, 쓰림, 역류 등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은 기질적인 원인 없이 지속적이거나 반복되는 상복부의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임상증후군으로1), 증상은 복통이나 복부 불쾌감, 식후 포만감, 조기 만복감, 복부 팽만감, 식욕부진, 오심, 구토, 트림, 쓰림, 역류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1. Mahadeva S, Goh KL. Epidemiology of functional dyspepsia: a global perspective. World J Gastroenterol. 2006;12(17):2661-6. 
  2. 2. Huh C, Yang CH, Jang JG et al. Functional dyspepsia and subgroups in Korea and short term outcome of therapeutic trial of cisapride: multicenter study. Korean J Gastrointest Motil. 1998;4(1):1-12. 
  3. 3. Choi MG. Definition and Epidemilogy of Functional Dyspepsia.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2000;6:235-40. 
  4. 4. Lee SY, Choi CH, Lee HY, Do MY, Lee SH, Han SP, Huh C, Kin HJ, Kim JY, Kim JG, Jang SK, Park SM. The Frequency of Functional Dyspepsia Subtypes and its Related Factors for Health Check up Subjects.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2007;13:31-7. 
  5. 5. Yang SY, Lee OY, Bak YT, Jun DW, Lee SP, Lee SH, Park GT, Yoon BC, Choi HS, Hahm JS, Lee MH, Lee DH. Prevalence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s and uninvestigated dyspepsia in Korea: a population-based study. Dig Dis Sci 2008;53(1):188-93. 
  6. 6. 이광재.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병태생리와 치료.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2003;9:85-91. 
  7. 7. Lee WC. The problems of cooperative medical system of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and their solutions. J Korean Oriental Med 1999;20(2):3-11. 
  8. 8. 척추신경추나의학회 편저. 추나의학(제2판). 서울: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14:26-37. 
  9. 9. 한국보건의료연구원. NECA 체계적 문헌 고찰 매뉴얼. 서울: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1:65-72. 
  10. 10. Higgins J, Green S. Analysing and presenting result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4.2.6 [updated september 2006].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 Inc. 2008:79-165. 
  11. 11. 周信文, 金衛東, 陸萍, ?誠浩, 魏建子, 朱梁, 劉新華, 李石, 沈建偉, 陸琪紅. 推拿?西沙必利浩療功能性消化不良的療效化較及其机理探討. 上海中?藥大學學報. 1999;13(3):33-6. 
  12. 12. 朱樑, 周信文, 李石, 張忠兵, 陳偉忠, 沈建偉, 劉新華. 推拿和藥物治療對功能性消化不良患者的胃動力?常的影響. ?用生物力學. 1999; 14(1):20-4. 
  13. 13. 孫岩, 盖永鴻. 奧美拉?結合推拿治療功能性消化不良的臨床硏究. 中國實用?藥2009;4 (29):124-5. 
  14. 14. 趙?宇, 紀昌春, 黃琳娜, 安軍明. ?西頭皮針配合脊柱推拿治療功能性消化不良34例. 現代中?藥. 2012;32(3):63-5. 
  15. 15. ?行. 循經点穴推拿結合西沙必利治療功能性消化不良臨床硏究. 現代中西?結合雜志. 2010;19(23):2895-6. 
  16. 16. 楊昌金. 推拿結合逍遙散調治功能性消化不良例. 四川中?. 2009;27(10):107-8. 
  17. 17. 房緯, 趙雪圓, 胡氏腹部推拿配合針灸治療肝胃不和型功能性消化不良40例. ?西中?. 2012;33(2):215-7. 
  18. 18. 張?升, 薛衛國, 李建輝. 腹部推拿治療功能性消化不良的臨床觀察. 北京中?藥. 2010;29(8):619-21. 
  19. 19. 周信文, 劉新華, 朱梁, 金衛東, ?誠浩. 推拿治療功能性消化不良超胃排空檢測前后的觀察. 浙江中?學院學報. 2002;26(4):59-60. 
  20. 20. 李金虎. 推拿治療功能性消化不良50例. 安徽中?臨床雜志. 2000;12(2):102-3. 
  21. 21. 宋建坤, 盛?鋒. 推拿配合西沙必利治療?童功能性消化不良55例療效觀察. 河北中?. 2004; 26(2):126-7. 
  22. 22. 張?. 中?辨?治療脾胃?虛型功能性消化不良54例療效觀察. 黑龍江中?藥. 2009;1:10-2. 
  23. 23. 張?. 鄭友麗, 陸石俊. 中?治療功能性消化不良120例臨床硏究. 吉林中?藥. 2010;30(4): 307-8. 
  24. 24. Jones RH, Lydeard SE, Hobbs FD. Dyspepsia in England and Scotland. Gut. 1990;31:401-5. 
  25. 25. Agreus L, Svardsudd K, Nyren O, Tibblin G.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dyspepsia in the general population: overlap and lack of stability over time. Gastroenterology. 1995;109:671-80. 
  26. 26. 김동진. 불규칙한 식사, 짧은 식사시간이 비궤양성 소화불량증과 연관됨. 가정의학회지. 1999;20(2):176-85. 
  27. 27. Park YT. Approch Definition and Diagnosis of Dyspepsia, Seoul, Jin publishing. 2006:13-29. 
  28. 28. Talley NJ, Stanghellini V, Heading RC, Koch KL, Malagelada JR, Tytgat GN. Functional gastroduodenal disorders. Gut. 1999;45(Suppl II):37-42. 
  29. 29. 윤상협, 류봉하, 류기원, 김진성. 기능성 소화 불량증 환자에 대한 반하사심탕 엑기스제의 임상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3;24(2):329-36. 
  30. 30. Lee GJ. Guidline of Treatment on Functional Dyspepsia.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2005;11(3):25-9. 
  31. 31. Ko KB. Aspect of Spycosociology for functional dyspepsia.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2000;6:258-66. 
  32. 32. 손지영, 김진성.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설태후박 및 흉늑각 측정의 진단적 가치. 대한방내과학회지. 2014;35(2):157-174. 
  33. 33. 박양춘, 조정효, 손창규, 홍권의, 정인철, 강위창, 최선미. 기능성 소화불량증에 대한 침치료의 효과 : 무작위배정 대조군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24(1):1-12. 
  34. 34. 여인호, 이은용, 이참결. 기능성 소화불량증에 대한 저빈도, 고빈도 전침의 효능 비교 연구 : 무작위배정, 이중맹검(피험자, 평가자), 평행군 설계. 대한침구의학회지. 2014;31(3):19-24. 
  35. 35. 김연미, 박양춘, 조정효, 강위창, 손미원, 홍권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 대한 한약복합제의 치료 효과 : 무작위배정 표준치료제 위약 대조군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10;31(1):1-13. 
  36. 36. D. Moher, S. Hopewell, K. F. Schulz et al. CONSORT 2010 Explanation and Elaboration: updated guidelines for reporting parallel group randomised trial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10;63(8):e1-37. 
  37. 37. C. M. Witt, E. Manheimer, R. Hammerschlag et al. How well do randomized trials inform decision making: systematic review using comparative effectiveness research measures on acupuncture for back pain. PLoS One. 2012;7(2):article e32399.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원문 URL 링크

  • 척추신경추나의학회 : 저널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