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항통에 대한 추나요법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Chuna Manual Therapy for Neck Pain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The Journal of Chur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v.11 no.2, 2016년, pp.11 - 21  

이기범 (자생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하인혁 (자생의료재단 척추관절연구소) ,  김호선 (자생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배영현 (자생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김노현 (자생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서창용 (자생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양규진 (자생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정유화 (자생한방병원 한방부인과) ,  소민지 (자생한방병원 한방부인과) ,  이윤재 (자생의료재단 척추관절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Chuna manual therapy for neck pain Methods : We searched 7 electronic databases(OASIS, NDSL, Ovid-MEDLINE, Ovid-EMBASE, Cochrane library, AMED, CNKI) to find all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at used Chuna manual therapy as a treatment for neck pain. 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 연구 중 교통사고로 인한 경추부의 편타성 손상 환자에서 추나요법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들은7,8) 대상 환자군이 제한적으로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부족하며, 무작위 대조군 연구의 일반적인 방법을 따르지 않아 근거수준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나요법의 근거 확장을 위하여, 경항통 환자에게 추나요법을 사용한 치료 효과에 대해 국내외에서 출판된 임상 연구들을 확인하고, 이에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경항통에 대한 추나 치료 효과의 임상적 근거를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RCT의 비뚤림 위험(Risk of bias) 평가를 위하여 Cochrane group의 risk of bias (ROB) criteria10)에 따른 7개의 세부 항목을 두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연구를 각 세부 항목으로 High, Low, Unclear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 이번 연구는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에서 포괄적 검색을 통해 경항통에 대한 추나요법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근거를 분석, 확립하였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포함된 연구들이 모두 중국에서 출판된 연구라는 점은 연구의 한계로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경추 추간판 탈출증 및 방사통, 경부 척수증, 편타성 손상 환자들을 배제한 경항통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문헌들로 분석을 진행하였고, 추나(Tuina, 推拿)로 명시된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 선정 과정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향후 추나치료에 대한 행위정의를 명확히 하여 이를 기반으로 다시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시행한다면 좀 더 많은 근거 문헌을 확인하여 추나요법에 대한 폭넓은 근거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항통이란 무엇인가? 경항통은 後頭部에서 上背部까지의 牽引感, 痛症. 運動制限을 주증상으로 하여 頭部, 肩胛部, 上背部, 肩胛內緣, 上肢部로 放散되는 통증을 나타내는 증상군을 의미한다1).
문헌에서 추나수기법은 어떠한 방법들이 사용됐는가? 문헌에서 사용된 추나수기법은 각기 조금씩 차이가 있었으며, 이를 수기법의 종류에 따라 빈도 순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손이나 발로 환자의 지체를 누르면서 회선하여 문질러서 피하조직이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法이 7편의 문헌 중 6편11,12,14-17)에서 사용되어 가장 다용되었으며, 손가락을 병변 부위의 피부 및 피하조직, 근육, 근건을 집어 올리는 拿法을 이용한 문헌이 5편11,12,14,15,17), 엄지 끝 또는 지복으로 체표의 일정 부위를 누르는 按法을 사용하여 치료한 문헌이 3편11,12,14)이었다. 이외에도 손가락으로 지체를 잡아서 힘을 주어 주무르는 捏法15,17) 및 완관절의 굴신운동과 전완의 선전운동을 동시에 시행하는 움직임인 滾法15,16)이 각각 2편의 문헌에서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국의 임상현장에서 경항통의 치료에 상용되는 추나요법은 波動型 및 壓力型 수기법5)의 범주에 속하며, 각각의 수기법들이 유의미한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頭椎 錯縫의 통증 특징은 무엇인가? 初期에는 發熱畏寒, 頭痛, 眩궒 등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頭椎 錯縫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극돌기의 偏歪로 극돌기 양측 또는 편측과 관련된 근육층을 자극하면 뚜렷한 압통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갳枕은 일반적으로 잠에서 깨어나서 머리를 들거나 숙일 때 아프고, 목의 활동이 곤란하며, 머리를 돌릴 수 없이 뻣뻣하게 되는 것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3rd edition. Seoul: Koonja. 2011:70-7. 

  2. Son KM, Cho NH, Lim SH, Kim HA. Prevalence and Risk Factor of Neck Pain in Elderly Korean Community Residents. J Korean Med Sci. 2013;28(5):680-6. 

  3.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ealthcare Bigdata Hub. Available from: URL:http://opendata.hira.or.kr/op/opc/olapHifrqSickInfo.do 

  4.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2nd edition. Seoul: Jipmoondang. 2008:49-72. 

  5. Korean Society of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s & Nerves. Chuna Manual Medicine, 2nd edition. Seoul: Korean Society of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2014:4-25. 

  6. Kim DH, Jo SJ, Ko JA.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Utilization of Oriental Medical Services.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5:18-20. 

  7. Han KI, Jeon YT, Sin SH, Lee JH, Ko YS. The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Muscle Relaxation Pharmacopuncture and Chuna Manual Therapy for Neck Pain caused by Traffic Accidents.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2016;11:25-32. 

  8. Lee JS, Lee SJ, Nam JH, Kim KW, Lee MJ, Lim SJ, Jun JY, Song JH.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Pharmacopuncture Treatment, Chuna Treatment, Pharmacopuncture - Chuna Cooperative Treatment for Neck Pain Caused by Traffic Acci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2012; 29(5):87-95. 

  9. JPT Higgins, S Green.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Internet]. Version 5.1.0. Chichester(UK) : John Wiley & Sons, Ltd.; 2011 [updated 2011 Mar]. Available from: URL:http://handbook.cochrane.org/ 

  10.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G.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9;151(4):264-9. 

  11. Zuo YZ, Fang M, Jiang SY, Yan JT. Clinical Study on Tuina Therapy for Cervical Pain and Disability,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ervical Spondylosis. Shanghai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8; 42(5):54-5. 

  12. Zhang JF, Lin Q, Yuan J. Therapeutic Efficacy Observation on Tuina Therapy for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in Adolescenc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cupunct Tuina Sci. 2011;9(4):249-52. 

  13. Fan JJ, Guo CX, Chen BT, Lin DK, Xie WX. Observation on therapeutic effect of Guo's "Chang-qi-tong-luo" on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Journal of Practical Medicine. 2011; 27(12):2267-9. 

  14. Wang GM, Ji Q, Zhao GH. Short-term effect of An-rou Tuina on cervical spondylotic pain. Lishizhen Medicine and Materia Medica Research. 2012;23(9):2261-2. 

  15. Mi ZX, Bi JW. Clinical Observation on Massage for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Wester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3;26(7):101-2. 

  16. Lin LL, Liao J, Wang SZ, Yan XD.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ment of Cervical Spondylopathy by Using MCU System. Guangming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12; 27(2):323-4. 

  17. Liu J, Yang M. Effect of rehabilitation therapy on cervical facet joint dysfunction. For All Health.. 2012; 6(6):42-3. 

  18. Heo I, Shin BC, Hwang EH, Hwang MS, Kim BJ, Kim SY, Heo KH. Chuna Manual Therapy for Functional Dyspeps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2015;10:1-14. 

  19. Kim SY, Park JI, Suh HJ, Suh HS, Son HJ, Shin CM, Lee YJ, Jang BH. NECA Manual for Systematic Review.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159-7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