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중 FTA 전자상거래 협정의 주요쟁점과 활용과제
Legal Issues and Policy Implications of Electronic Commerce Chapters of the Korea·China FT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0, 2015년, pp.9 - 17  

권순국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전자상거래 시장으로서 중국 온라인 소매시장은 미국보다 약 40% 크며, 양국은 전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의 5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 중 FTA는 한중 양국의 상품, 서비스의 전자상거래 확대와 국가간 전자상거래 활동을 촉진시킬 것이다. 한국산 소비재는 기술과 품질 측면에서 중국시장에서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FTA 혜택을 향유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 중 FTA 전자상거래 협정문의 주요쟁점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상품의 전자상거래 수출확대를 위한 활용과제에 대해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 상품의 전자상거래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한 중 FTA 전자상거래 협정의 후속협상에 대한 준비와 전자적 전송물의 분류에 대한 대비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자인증과 전자서명에 있어 양국의 상호인정이 필요하며, 전자상거래 분쟁해결을 위한 제도의 마련과 한국 상품의 전자상거래 수출확대를 위한 전략의 수립 등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ina is the largest e-commerce market in the world. The Chinese online retail market is almost 40% larger than the US, and together these markets account for more than 55% of worldwide e-commerce. The Korea China FTA is likely to facilitate e-commerce activ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well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한국의 가장 큰 교역대상국이자 거대 소비시장인 중국과의 FTA를 계기로 한국 상품의 전자상거래 수출확대를 위한 전자상거래 협정문의 쟁점 파악과 이를 바탕으로 한 활용과제 제시라는 측면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 본 연구는 한·중 FTA 전자상거래 협정의 주요쟁점을 바탕으로 한국 상품의 대중 전자상거래 수출확대를 위한 활용과제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한국 상품의 대중전자상거래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중국의 전자상거래와 해외직구 현황 및 한·중 FTA 협정문의 전자상거래 장(chapter)을 중심으로 협정의 주요쟁점과 향후 전자상거래 수출확대를 위한 협정의 활용과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둘째, 전자적 전송물에 대한 무관세 방침의 경우 WTO 각료회의 결정을 따르고 있는데, 이는 전세계 국가들이 체결한 FTA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조항으로 볼 수 있다. 향후 WTO 차원에서 전자적 전송물이 상품과 서비스 중 어떤 것으로 결정되느냐 따라 관세 문제가 결정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전세계 다수의 FTA에서 전자상거래 분야를 독립된 장으로 다루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전세계 다수의 FTA에서 전자상거래 분야를 독립된 장으로 다루는 이유는 인터넷에는 국경이 없으나, 전자상거래는 각 교역 당사국들이 전자상거래를 어떻게, 그리고 어느 정도 규제할 것인지 등에 따라 교역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즉, 지역무역협정 당사국간 혹은 국제적 조율 없이 각국이 개별적으로 전자상거래 관련 규범 작업을 추진할 경우 전자상거래를 통한 무역활성화가 저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16].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은 중국인 전체의 소비액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소매시장이 열악한 중소도시 소비자들의 구매력도 촉진시키는 등 양적인 측면에서 비약적으로 성장한 것은 사실이지만 질적인 측면 역시 성장을 하였다고 판단하기는 무리가 있다. 즉, 통신망의 확장 문제, 데이터 분석 역량 및 물류인프라의 부족, 조세문제, 불공정 거래행위, 온라인 소비자 피해 증대, 국제결제의 어려움 등 전자상거래 기반과 제도개선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데, 최근 중국 상무부 등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12]. 향후 중국은 온라인 소매시장 측면에서 전세계 어떤 국가보다 매력적인 시장이 될 수 있으므로 한국 기업은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전자 무역행정문서와 종이형식의 무역행정문서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6조는 “각 당사국은 무역행정 문서3)가 대중에게 전자적 형태로 이용 가능하도록 노력하며, 전자적으로 제출된 무역행정문서를 종이형식의 그러한 문서와 법적으로 동등한 것으로 수용할 가능성을 모색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종이형식의 무역행정문서의 경우 국제특송 등의 송부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이 소요 되는 반면, 전자 무역행정문서는 온라인으로 추가 비용없이 실시간 송부가 가능하다[14]. 따라서 전자 무역행정문서를 활용한 전자무역의 확대는 양국의 무역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과 비용을 줄여 무역원활화에 기여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S. Choi, "Policy Suggestions for Korea's Distribution Businesses under Korea-China FTA", The Journal of Korea Research Society for Customs, Vol.13, No.2, pp.111-125, 2012. 

  2. H. B. Choi, S. S. Shin, "A Study on the Policies and Impact on Fisheries of the Korea and China FTA", The Journal of Korea Research Society for Customs, Vol.13, No.2, pp.127-148, 2012. 

  3. S. H. Lee, C. S. Kim, "The Economic Effects of Korea-China FTA Using Dynamic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Korea Trade Review, Vol.38, No.2, pp.97-114, 2013. 

  4. E. J. Jang, "Chinese Tourism Promotion Act and South Korea-China FTA Tourism Service", Kyungpook Natl. Univ. Law Journal, Vol.46, pp.457-485, 2014. 

  5. M. K. Seo, H. J. Kim, "A Study on Countermeasures for Technical Barriers of Trade in Korea-China FTA",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Vol. 14, No.4, pp.491-516, 2012. 

  6. Y. R. Yoo, "A Study of Major Issue in Korea-China FTA Investment Chapter",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 Vol.57, No.1, pp.119-153, 2012. 

  7. S. M. Son, "Trend in Research of Sanitary and Phytosanitary of China", The Journal of China Studies, Vol.15, pp.341-353, 2013. 

  8. J. W. Chung, "A Comparative Analysis on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and Fishery of Korea & China and their FTA Origin Provisions",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surance, Vol.14, No.2, pp.117-141, 2013. 

  9. S. K. Lee, "Main Issues of Agriculture in Korea-China FTA and Korea's Negotiation Strategies",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and Commerce, Vol.10, No.1, pp.365-384, 2014. 

  10. Consulate General of the Kingdom of the Netherlands in Guangzhou, China Cross-border E-commerce: Opportunities for Dutch Companies, 2015. 

  11. S. S. Jang, A. L. Kim, "Notice the 15 Consumption Trends in China", IIT Trade Focus, Vol.14, No.8, pp.1-29, 2015. 

  12. Y. M. Baek, "Current Status of E-commerce Market in China and Impli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1, pp.111-124, 2015. 

  13. S. K. Kwon, "The Strategies for the Export Vitalization of Cross-Border E-Commerce of Korean Products to the Conclusion of the Korea? China FTA", The Journal of Korea Research Society for Customs, Vol.16, No.2, pp.97-118, 2015. 

  14. Ministry of Trade, Indsutry and Energy. Korea Customs Service, Description Report of the Korea. China FTA, 2015. 

  15.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Survey of Global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2013. 

  16. C. I. Yoon, "Main FTA issues in electronic commerce and Korea's strategy", KIEP, 2007. 

  17. S. K. Kwon, "Legal Issues of Electronic Commerce Chapters of the Korea?US FTA and Tasks of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5, pp.21-29, 2015. 

  18. Wunsch-Vincent, S., "The WTO, the Internet and Trade in Digital Products: EC-US Perspectives", Oxford: Hart Publishing, 2006. 

  19. M. S. Park, W. Park, , "A Study on the China's Electronic Signature Law", Internet Law Journal, Vol.40, pp.33-52, 2007. 

  20. Cheeseman, H. R., "Contemporary Business and Online Commerce Law: Legal, Internet, Ethical, and Global Environments", Pearson Prentice Hall, 2012. 

  21. H. C. Moon, P. Zhang, S. R. Kim, "A Case Study of On-line Arbitration and Comparison on ODR between Korea and China for the Dispute Resolution of E-Commerce", Journal of Arbitration Studies, Vol.24, No.4, pp.29-47, 2014. 

  22. Bieron, B., Ahmed, U., "Regulating E-commerce through International Policy: Understanding the International Trade Law Issues of E-commerce", Journal of World Trade, Vol.46, No.3, pp.545-57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