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기질과 지능, 문제행동의 관계 분석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Temperament, Intelligence and Problem Behavior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아동학회지, v.37 no.5, 2016년, pp.117 - 128  

이진숙 (전북대학교 아동학과) ,  한지현 (전북대학교 아동학과) ,  박혜원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temperament, intelligence, and problem behaviors. Intelligence was individually measured by the newly standardized K-WPPSI-IV (2015).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3 children (4-6 years old),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fo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유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에 대한 연구결과의 일관성이 부족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성별에 따른 기질과 지능, 문제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의 내적요인인 기질과 지능,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국내에서 표준화된 유아용 개별지능검사인 K-WPPSI-IV (Park, Lee, & Ahn, 2015)를 사용하여 전체IQ와 기본지표 및 추가지표 점수를 산출하고 문제행동 하위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특히 국내에서 표준화된 유아용 개별지능검사인 K-WPPSI-IV (Park, Lee, & Ahn, 2015)를 사용하여 전체IQ와 기본지표 및 추가지표 점수를 산출하고 문제행동 하위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지능, 문제행동간의 관련성을 탐색함으로써 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이해와 문제행동의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또한 질문지 뿐 아니라 면접이나 행동관찰 등의 다차원적 자료를 포함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새로운 이론적 개념에 기초한 K-WPPSI-IV 개별 지능검사를 실시하고 기질과 지능, 문제행동 간의 관련성을 밝혔다. 이 연구를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와 교사, 관련 전문가들에게 유아기 문제행동의 선행변수에 대한 이해와 함께 문제행동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
  • Kim, 2009; Kwon & Chun, 2015; Moon & Lee, 2012; Woo, 2007)가 대부분이며, 유아의 개인내적 요인인 기질과 지능을 함께 고려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내적 요인 중 정의적 요인인 기질과 인지적 요인인 지능, 그리고 문제행동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기질, 지능,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기질과 지능, 문제행동 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의 문제행동이란 무엇인가? 유아의 문제행동이란 사회 및 정서발달상에 나타나는 내면화된 또는 외현화된 역기능을 지칭하는 것으로(Y. Kim, Han, & Hwang, 2004; Y. Kim et al., 2006) 유아의 연령에 기초한 발달적 규준으로부터 벗어나 있거나 사회정서 및 행동적으로 기능적이지 못한 상태로 볼 수 있다. 유아는 성장 발달과정에서 욕구가 결핍되거나 좌절될 때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되고 다양한 문제를 표출하기도 한다.
Buss와 Plomin이 기질을 아동이 초기에 가지는 개인의 유전적 성격특성이라고 보는 이유는? Buss와 Plomin (1986)은 기질이 매우 안정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적 성향임을 강조하고, 기질을 아동이 초기에 가지는 개인의 유전적 성격특성이라고 보았다. 특히 유아의 기질에 따라 환경에 대처하는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성격과 행동에 개인차가 생긴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유아의 개인적 기질 특성에 따라서 환경에 대한 대처와 반응양식에 차이가 있고, 이는 유아의 인지적 특성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컨대 개인의 성격이나 기질 특성이 지능검사 수행에 영향을 미치거나(Zeidner & Matthews, 2000) 실제적인 지적능력의 발달에 관련될 수 있다(Ackerman, 1996; Cattell, 1995).
유아기 문제행동이 발생초기에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특히 기관양육의 시기가 빠르고 보편화된 상황에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는 유아중에서 적응상의 어려움이나 문제행동 빈도가 증가되고 있어(Koh & Lee, 2008, 2008) 유아기 문제행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아기 문제행동의 경우 발생초기에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빈도와 심각성이 점점 증가하고, 이후 아동·청소년기를 거쳐 성인기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Campbell, 2002; Y.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ckerman, P. L. (1996). A theory of adult intellectual development: Process, personality, interests, and knowledge. Intelligence, 2(2), 227-257. doi:10.1016/S0160-2896(96)90016-1 

  2. Anderson, D. R., Huston, A. C., Schmitt, K. L., Linebarger, D, L., & Wright, J. C. (2001). Early childhood television viewing adolescent behavior: The recontact study.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6(1), 1-147. 

  3. Blennow, I. P., & McNeil, T. F. (1980). Questionnaire for measurement of temperament in one- and two-year old children: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1(1), 37-46. doi:10.1111/j.1469-7610.1980.tb00014.x 

  4. Buss, A. H., & Plomin, R. (1975). A temperament theory of personality development. Oxford, England: Wiley-Interscience. 

  5. Buss, A. H., & Plomin, R. (1986). The EAS approach to temperament. In R. Plomin & J. Dunn (Eds.), The study of temperament: Changes, continuities and challenges (pp. 67-79). Hillsdale, NJ: Erlbaum. 

  6. Campbell, S. B. (2002).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Clinical and developmental issues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7. Cattell, H. E. P. (1995). Some comments on a factor analysis of the 16PF and NEO Personality Inventory-Revised. Psychological Report, 77(3), 1307-1311. doi:10.2466/pr0.1995.77.3f.1307 

  8. Henderson, H. A., Marshall, P. J., Fox, N. A., & Rubin, K. H. (2004). Psycho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evidence for varying forms and functions of nonsocial behavior in preschoolers. Child Development, 75(1), 251-263. doi:10.1111/j.1467-8624.2004.00667.x 

  9. Kaczmarek, M., Strelau, J., & Miklewska, A.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ce and Pavlovian temperament traits: The role of gender and level of intelligence. In A. Gruszka, G. Mattews, & B. Szymura (Eds.),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cognition: Attention, memory, and executive control (pp. 51-61). NY: Springer. 

  10. Matheny, A. P., Wilson, R. S., & Nuss, S. M. (1984). Toddler temperament: Stability across settings and over ages. Child Development, 55(4), 1200-1211. 

  11. Miklewska, A., Kaczmarek, M., & Strelau,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intelligence: Crosssectional study in successive age group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4), 643-654. doi:10.1016/j.paid.2005.06.030 

  12. Nelson, B., Martim, R. P., Hodge, S., Havil, V., & Kamphaus, R. (1999). Modelling the prediction of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from preschool tempera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26(4), 684-700. doi:10.1016/S0191-8869(98)00174-3 

  13. Rothbart, M. K., & Derryberry, D. (1981). Developmen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emperament. In M. E. Lamb & A. L. Brown (Eds.), Advance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pp. 37-86). Hillsdale, NJ: Erlbaum. 

  14.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Oxford, England: Brunner Mazel. 

  15. Wechsler, D. (2012). 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Fourth edition [Measurement instruments]. London: Pearson. 

  16. Zeidner, M., & Matthews, G. (2000).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intelligence (pp. 581-610).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Cheon, H. Y. (1992). The type of Korea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attitu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8. Choi, H. J. (2002). The relation between K-WPPSI (Korean 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and K-CBCL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593475 

  19. Ham, E. S. (2004). A study on the children's intellectual and social competence and moth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it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740360 

  20. Hwang, H. S., & Hwang, H. J. (2001). The effects of cognitive ability on emotional and behavioural problems among preschooler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3), 25-34.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75462193 

  21. Jeong, A. (2012). The effects of children's intelligence on preschool adjustment: The moderating effects of temperament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716534 

  22. Ji, S. H. (2016). The relatioships between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K-WIPPSI-IV performance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024372 

  23. Kim, S. H. (2009).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on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9 (5), 203-224. Retrieved from http://dl.nanet.go.kr/ 

  24. Kim, S., & Kwak, K. (2014). Effect of developmental change in children's temperament on intelligence development : Focused on the 'extraversion' and 'effortful control' temperament.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21(3), 29-50.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100141172 

  25. Kim, S.-H. (2003).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temperament,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17(4), 1-12.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40123588 

  26. Kim, Y., Han, T.-S., Jung, I.-H., Park, Y.-K., Hwang, H.-J., & Koo, H.-A. (2006). A structural sample of the effects of rearing, temperament, cognitive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e Journal of Korean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1(2), 229-250.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75437726 

  27. Kim, Y., Han, T.-S., & Hwang, H.-J. (2004). A study on the relativ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cognitive ability and temperament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pre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6), 227-298. 

  28. Koh, I., & Lee, J. (2008). Problematic behaviors in preschool: A socio-demographic analysi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6(9), 33-45.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82585306 

  29. Kong, Y.-S., & Lim, J.-Y. (2013). The effects of temperament and executive function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eblems: Focusing on testing latzman's problem behavior theory.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2(4), 5-24.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99871562 

  30. Kuem, J., Park, H., & Park, M. (2014). The 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intelligence and behavior problems. The Journal of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5(2), 1-15.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100113320 

  31. Kwon, H. J., & Chun, S. Y. (2015).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11(6), 79-96.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101744704 

  32. Lee, J. (2004). Developmental trend in intelligence and creativity: From early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051060 

  33. Lee, S. (2007).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and attention ability by parenting attitude. Journal of Child Studies, 28(2), 71-89.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5101787 

  34. Lee, Y. (2004). Relationship among development of children's number concept, learning readiness and I.Q.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6049 

  35. Moon, S. H., & Lee, K. N. (2012).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8(3), 69-89.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60158563 

  36. Oh, K. J., Lee, H. R., Hong, G. U., & Ha, E. H. (1997).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Seoul: Jungang Publishing. 

  37. Park, H., Kwak, K., & Jung, C. (1994). Temperament and the performance of the Fagan Test of Infant Intelligence (FTII) in Korean infants.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7(1), 98-109. 

  38. Park, H., Lee, K. O., & Ahn, D. H. (2016). K-WIPPSI-IV workshop. Seoul: Inpsyt. 

  39. Park, H., Lee, K. O., & Ahn, D. H. (2015). Administration and scoring manual for K-WPPSI-IV. Seoul: Hakjisa. 

  40. Ryu, K. (2015). The 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cognitive ability and behavior problem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674590 

  41. Shin, J. Y. (2006). The effect of preschoolers' intelligence, temperament, control ability on teacher-child relationship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826966 

  42. Suh, J. (2009). The effect of child'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style and goodness of fit on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704703 

  43. Woo, S. K. (2007) The effects of gender, temperament, social competences and self-control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4(4), 427-450.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50500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