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료 내 비테인 첨가 급여가 비육돈의 영양소 소화율 및 생리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dietary betaine on apparent nutrient digestibility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finishing pig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2, 2016년, pp.407 - 414  

김기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광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두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사수진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  김영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료 내 비테인의 첨가 급여 시 비육돈의 영양소 소화율 및 생리학적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평균 체중 $80.1{\pm}3.7kg$의 거세 숫퇘지 12두를 개별 대사케이지에 공시하였다. 시험사료는 비육돈의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하는 시판사료를 기초 대조구 시험사료로 하였으며, 기초사료에 0.5%의 비테인을 첨가한 사료를 처리구 사료로 이용하였다. 시험디자인은 $2{\times}2$ Latin square 법으로 설계하여 각 Phase 당 7일간 순치기간과 7일간의 시험기간을 두었다. 분석에서 얻어진 결과들에 대하여 처리구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student' t-test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영양소 소화율을 조사한 결과, 비테인 첨가 급여에 의해 건물 및 단백질의 외관상 소화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각각 1%와 1.3%가 개선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0.05). 에너지 이용율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에너지의 외관상 소화율이 82.3%에서 83.7%로 비테인 급여에 의해 증가되었으며(p<0.05), 이로 인하여 체내 에너지 retention도 약 6% 이상 (대조구 4,057 vs 처리구 4,314 kcal; p<0.01)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중 생화학 성분 및 스트레스 호르몬, 면역단백질,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비테인 급여에 의한 유의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요약하자면, 육성돈 사료 내 비테인의 첨가급여는 생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 없이 영양소 소화율 및 에너지 이용성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가지며, 이것은 증체량 및 사료효율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dietary betaine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finishing pigs. A total of twelve pigs with a body weight of $80.1{\pm}3.7kg$ were individually caged, and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국내 한국사양표준(2012)에서 권장하고 있는 영양소 요구율을 충족하는 조건에서 비육돈 사료 내 비테인 급여가 따른 영양소 소화율 및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비육돈 사료 내 비테인을 첨가 급여하였을 때, 영양소 소화율 및 체내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물에서 비테인의 기능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아미노산 유래의 비테인은 대부분의 유기체 내에서 질소원자에 3개의 methyl(CH3-)기가 결합되어 있는 trimethylglycine의 형태로 존재하는데[1], 가축사료 내 비테인의 공급은 methyl기의 공여자로써 사료 내의 methionine이나 choline 등의 요구량을 줄여줄 수 있다[2]. 동물에서 비테인의 기능으로는 체내에서 아미노산, 지질대사 및 항체형성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3-6], 삼투압 조절과 스트레스 저감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 고 있다[7,8].
아미노산 유래의 비테인은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가? 아미노산 유래의 비테인은 대부분의 유기체 내에서 질소원자에 3개의 methyl(CH3-)기가 결합되어 있는 trimethylglycine의 형태로 존재하는데[1], 가축사료 내 비테인의 공급은 methyl기의 공여자로써 사료 내의 methionine이나 choline 등의 요구량을 줄여줄 수 있다[2]. 동물에서 비테인의 기능으로는 체내에서 아미노산, 지질대사 및 항체형성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3-6], 삼투압 조절과 스트레스 저감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 고 있다[7,8].
국내에서 실험동물을 활용한 비테인 급여 연구는 어떤 실정인가? 국내에서는 가축의 사료 비 절감 차원에서 아미노산 대체제 혹은 단백질 이용성 증진을 목적으로 비테인을 급여하는 연구가 일부 수행되어 증체량 혹은 도체품질 등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고하고 있으나[9,10], 혈액학적 특성이나 생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한편, 실험동물에서 지질대사에 관련하여 지방간 혹은 비만 관련 인자에 대한 비테인의 연구가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었지만, 축산분야에 있어서 가축에 접목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J. Sales,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dietary betaine supplementation on finishing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pigs. Anim. Feed Sci. Technol., 165, pp. 68-78, 2011. DOI: http://dx.doi.org/10.1016/j.anifeedsci.2011.02.008 

  2. J. W. Schrama, M. J. W. Heetkamp, P. H. Simmins, W. J. J. Gerrits, Dietary betaine supplementation affects energy metabolism of pigs. J. Anim. Sci., 81, pp. 1202-1209, 2003. DOI: http://dx.doi.org/10.2527/2003.8151202x 

  3. L. E. McBreairty, Methionine metabolism in Yucatan miniature swine. Appl. Physiol. Nutr. Metab., 41, pp. 691. 2016. DOI: http://dx.doi.org/10.1139/apnm-2016-0158 

  4. R. P. F. Dullaart, E. Garcia, E. Jeyarajah, E. G. Gruppen, M. A. Connelly, Plasma phospholipid transfer protein activity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betaine in diabetic and non-diabetic subjects. Lipids Health Dis., 31, pp. 143-148, 2016. DOI: http://dx.doi.org/10.1186/s12944-016-0313-5 

  5. J. Simon, Choline, betaine and methionine interactions in chickens, pigs and fish (including crustaceans). World's Poult. Sci. J., 55, pp. 353-474, 1999. DOI: http://dx.doi.org/10.1079/WPS19990025 

  6. S. K. Kim, K. H. Choi, Y. C. Kim, Effect of acute betaine administration on hepatic metabolism of S-amino acids in rats and mice. Biochem. Pharmacol., 65, pp. 1565-1574,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006-2952(03)00115-1 

  7. M. Eklund, E. Bauer, J. Wamatu, R. Mosenthin, Potential nutritional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betaine in livestock, Nutr. Res. Rev., 18, pp. 31-48, 2005. DOI: http://dx.doi.org/10.1079/NRR200493 

  8. R. R. Alfieri, P. G. Petronini, M. A. Bonelli, S. Desenzani, A. Cavazzoni, A. F. Borghetti, K. P. Wheeler, Roles of compatible osmolytes and heat shock protein 70 in the induction of tolerance to stresses in porcine endothelial cells. J. Physiol., 555, pp. 757-767, 2004. DOI: http://dx.doi.org/10.1113/jphysiol.2003.058412 

  9. J. H. Park, K. S. Ryu,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protein levels and betaine supplementation in laying hens. J. Poult. Sci., 48, pp. 217-222, 2011. DOI: http://dx.doi.org/10.2141/jpsa.010101 

  10. H. S. Yang, J. I. Lee, S. T. Joo, G. B. Park, Effects of dietary glycine betaine on growth and pork quality of finishing pigs. Asian Austral. J. Anim. Sci., 22, pp. 706-711, 2009. DOI: http://dx.doi.org/10.5713/ajas.2009.80645 

  11. W. C. Sim, H. Q. Yin, H. S. Choi, Y. J. Choi, H. C. Kwak, S. K. Kim, B. H. Lee, L-serine supplementation attenuates alcoholic fatty liver by enhancing homocysteine metabolism in mice and rats. J. Nutr., 145, pp. 206-267, 2015. DOI: http://dx.doi.org/10.3945/jn.114.199711 

  12. C. W. Ahn, Y. J. Choi, S. H. Hong, D. S. Jun, J. D. Na, Y. J. Choi, Y. C. Kim, Involvement of multiple pathways in the protection of liver against high-fat diet-induced steatosis by betaine. J. Funct. Foods., 17, pp. 66-72, 2015. DOI: http://dx.doi.org/10.1016/j.jff.2015.05.010 

  13. J. O. Matthews, L. L. Southern, T. D. Bidner. Estimation of the total sulfur amino acid requirement and the effect of betaine in diets deficient in total sulfur amino acids for the weanling pig. J. Anim. Sci., 79, pp. 1557-1565, 2001. DOI: http://dx.doi.org/10.2527/2001.7961557x 

  14. D. Y. Yu, Z. R. Xu, W. F. Li, Effects of Betaine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Growing Pigs. Asian-Aust. J. Anim. Sci., 17, pp. 1700-1704, 2004. DOI: https://doi.org/10.5713/ajas.2004.1700 

  15. A. M. Amerah, V. Ravindran, Effect of coccidia challenge and natural betaine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nutrient utilization, and intestinal lesion scores of broiler chickens fed suboptimal level of dietary methionine. Poult. Sci., 94, pp. 673-680, 2015. DOI: http://dx.doi.org/10.3382/ps/pev022 

  16. F. Rink, E. Bauer, M. Eklund, R. Mosenthin, The effect of betaine on in vitro fermentation of carbohydrate and protein combinations under osmotic stress in pigs. J. Sci. Food Agr., 92, pp. 2486-2493, 2012. DOI: http://dx.doi.org/10.1002/jsfa.5657 

  17. M. A. M. Sayed, J. Dowing, Effects of dietary electrolyte balance and addition of electrolyte-betaine supplements in feed or water on performance, acid-base balance and water retention in heat-stressed broilers. Br. Poult. Sci., 56, pp. 195-209, 2015. DOI: http://dx.doi.org/10.1080/00071668.2014.995594 

  18. M. Overland, K. A. Rorvik, A. Skrede, Effect of Trimethylamine Oxide and Betaine in Swine Diet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Nutrient Digestibility, and Sensory Quality of Pork. J. Anim. Sci., 77, pp. 2143-2153, 1999. DOI: http://dx.doi.org/10.2527/1999.7782143x 

  19. B. V. Lawrence, A. P. Schinckel, O. Adeola, K. Cera, Impact of betaine on pig finishing performance and carcass composition. J. Anim. Sci., 80, pp. 475-482, 2002. DOI: http://dx.doi.org/10.2527/2002.802475x 

  20. A. Ratriyanto, R. Mosenthin, E. Bauer, M. Eklund, Metabolic, Osmoregulatory and Nutritional Functions of Betaine in Monogastric Animals. Asian-Aust. J. Anim. Sci., 22, pp. 1461-1476, 2009. 

  2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5. 

  22. S.C. Kwack, J. H. Kim, Y, J, Ha, J. I. Lee, J. R. Lee, J. D. Jung, J. D. Lee, Effects of dietary glycine betaine on the growth performance in pigs. J. Anim. Sci. Technol., 47, pp. 205-220, 2005. DOI: http://dx.doi.org/10.5187/JAST.2005.47.2.205 

  23. J. O. Matthews, L. L. Southern, A. D. Higbie, M. A. Persica, T. D. Bidner, Effects of betaine on growth, carcass characteristics, pork quality, and plasma metabolites in finishing pigs. J. Anim. Sci., 79, 722-728. 2001. DOI: http://dx.doi.org/10.2527/2001.793722x 

  24. J. S. Yoo, Y. J. Chen, I. H. Kim, Effects of dietary complex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growing pig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8, pp. 1266-1272, 2007. 

  25. K. S. Shon, J. W. Hong, O. S. Kwon, B. J. Min, J. H. Cho, Y. J. Chen, I. H. Kim, Effects of dietary Astragalus membranaces and dried-onion meal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pig diet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5, pp. 273-278, 2004. 

  26. J. Urbanczyk, E. Hanczakowska, M. Swiatkiewycz M, The efficiency of betaine and organic chromium compounds according to fattening pig genotype. Biuletyn Naukowy Przemyslu Paszowego, 39, 53-64. 2000. 

  27. Z. R. Xu, M. Q. Wang, M. Y. Huai, Approach of the mechanism of growth-promoting effect of betaine on swine. Chinese J. Vet. Sci., 19, 399-403. 1999. 

  28. I. Fernandez-Figares, D. Wray-Cahen, N. C. Steele, R. G. Campbell, D. D. Hall, E. Virtanen, T. J. Caperna, Effect of dietary betaine on nutrient utilization and partitioning in the young growing feed-restricted pig. J. Anim. Sci., 80, 421-428. 2002. DOI: http://dx.doi.org/10.2527/2002.802421x 

  29. K. H. Kim, E. S. Cho, K. S. Kim, J. E. Kim, K. H. Seol, S. J. Sa, Y. M. Kim, Y. H. Kim, Effects of stocking density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grade and immunity of pigs housed in sawdust fermentative pigsties. S. Afr. J. Anim. Sci., 46, pp. 294-301, 2016. 

  30. Q. C. Huang, Z. R. Xu, X, Y. Han, W. F. Li, Changes in hormones, growth factor and lipid metabolism in finishing pigs fed betaine. Livest. Sci., 105, pp. 78-85, 2006. DOI: http://dx.doi.org/10.1016/j.livsci.2006.04.031 

  31. J. Balkan, S. Oztezcan, M. Kucuk, U. Cevikbas, N. Kocak-Toker, M. Uysal, The effect of betaine treatment on triglyceride levels and oxidative stress in the liver of ethanol-treated guinea pigs. Exp. Toxic Pathol., 55, pp. 505-509, 2004. DOI: http://dx.doi.org/10.1078/0940-2993-00347 

  32. R. A. Hassan, T. A. Ebeid, A. I. Abd El-Lateif, N. B. Ismail, Effect of dietary betaine supplementation on growth, carcass and immunity of New Zealand White rabbits under high ambient temperature. Livest. Sci., 135, pp. 103-109, 2011. DOI: http://dx.doi.org/10.1016/j.livsci.2010.06.132 

  33. S. S. Dangi, S. K. Dangi, V. S. Chouhan, M. R. Verma, P. Kumar, G. Singh, M. Sarkar, Modulatory effect of betaine on expression dynamics of HSPs during heat stress acclimation in goat (Capra hircus). Gene, 575, pp. 543-550, 2016. DOI: http://dx.doi.org/10.1016/j.gene.2015.09.0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