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퇴부골절 후 수술환자의 섬망과 임상예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elirium and Clinical Prognosis among Older Patients underwent Femur Fracture Surger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2, 2016년, pp.649 - 656  

심재란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황선영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퇴부골절로 수술 후 섬망 발생군과 섬망이 발생하지 않은 군을 비교하여 수술 후 섬망 발생이 임상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섬망의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0년 7월 1일부터 2014년 1월 31일까지 대퇴부골절로 일 대학병원에서 수술한 65세이상 노인환자 68명의 의무기록지를 3년간 추적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섬망발생군은 31명(45.6%), 섬망이 발생하지 않은 군이 37명(54.4%)이었으며, 섬망이 발생한 환자의 평균나이는 80.8세, 섬망이 발생하지 않은 군은 81.8세로 대부분 여성이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섬망유무에 따른 특성은 5종류 이상의 약물복용,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 총 의료비용이 섬망 발생군과 섬망이 발생하지 않은 군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퇴부 수술 후 주요 임상경과 발생에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Cox의 비례위험 모형(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을 이용한 결과, 섬망, 5가지이상의 다중약물복용, 수혈경험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퇴부 수술 후 노인의 섬망발생은 환자와 보호자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수술 전 섬망과 관련된 위험인자에 대한 평가 및 처치를 시행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examination to identify the association of postoperative delirium of the prognosis on following femur fracture surgery in elderly patient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medical records of elderly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underwent femur fracture surgery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대퇴부 골절 수술 후 섬망 발생의 장기간 임상경과를 추적조사하여 노인환자의 섬망발생군의 특성을 분석하고, 수술전 섬망과 관련된 위험인자에 대한 조기발견, 평가 및 처치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국내 일 대학 병원에서 대퇴부골절로 수술한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발생하는 섬망발생의 특성을 파악하여 섬망의 조기발견 및 중재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후향적으로 시도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퇴부골절로 수술 후 3년 동안 대상자를 추적·관찰하여 섬망발생이 수술 후 환자의 예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섬망발생의 위험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대퇴부골절로 수술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섬망발생과 임상경과를 분석하고자 시도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이란? 섬망(Delirium)은 의식수준의 변화와 집중력 결핍과 같은 의식의 장애와 기억력 소실, 지남력 장애, 언어 장애와 같은 인지능력의 변화 또는 환각과 비정상적인 행동과 말, 정서장애, 폭력적인 행동과 같은 인식의 장애를 나타내는 증후군이다[1]. 더욱이, 섬망을 경험한 환자들은 퇴원 후에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경험할 수있고,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수술 후 회복능력이 느리고, 합병증도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일반 환자보다 수술 후 섬망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골절로 입원한 환자의 섬망 위험인자는? 정형외과에 골절로 입원한 환자의 섬망 위험인자로는 수술전 통증이나 스트레스를 들 수 있으며[7], 유발인 자로는 입원 후 수술까지 기간, 마취 방법, 수술 후 저산소증, 혈액검사 이상 등이다[8]. 이와같이 정형외과 수술환자에게서 섬망 발생률이 높은 이유는 위장관계 수술과 같은 다른 수술환자에 비해 수높은 고령환자의 비율[9], 고령으로 인한 취약한 기저질환의 동반[2], 수술 후 지연되는 신체회복 상태[10], 수술로 인해 발생하는 기동력 장애, 수술 후 발생하는 심각한 통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11].
다중약물복용이 섬망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 5가지 종류이상의 많은 약물복용이 섬망 발생 유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섬망 발생군 중 52.9%가 5가지 종류 이상의 약물을 복용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는 다중약물복용(≥5kinds)이 고관절 수술 환자의 수술 전후 섬망발생의 위험요인임을 확인한 연구 [12]와 유사한 결과이며,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 M. Torpy., A. E. Burke., R. M. Glass. "Delirium." JAMA, 300(24), pp. 2936-2936, 2008. DOI: http://dx.doi.org/10.1001/jama.300.24.2936 

  2. S. K. Inouye., R. GJ. Westendorp., J. S. Saczynski. "Delirium in elderly people." The Lancet, 383(9920), pp. 911-922, 2014.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13)60688-1 

  3. F. J, Abelha., C Luis, D Veiga, D Parente, V Fernandes., P Santos., Botelho., M .,Santos A Santos C. "Outcom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ostoperative delirium during an ICU stay following major surgery. "Critical Care, 17(5), pp. 257, 2013. DOI: http://dx.doi.org/10.1186/cc13084 

  4. T. N. Robinson., C. D. Raeburn,, Z. V. Tran., E. M. Angles,, L. A. Brenner., M. Moss. "Postoperative delirium in the elderly: Risk factors and outcomes". Annals of Surgery, 249(1), pp. 173-178, 2009. DOI: http://dx.doi.org/10.1097/SLA.0b013e31818e4776 

  5. K. D. Yu., T. J. Lee., Y. W. Suh., S. H. Chung., E. Y. Kim., H. Y. Kim., C. H. Kim. "Delirium in acute elderly care unit; preval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risk factors and prognostic significanc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9(3), pp. 182-189, 2005. 

  6. C. Jones., R. D. Griffiths., G. Humphris., P. M. Skirrow. "Memory, delusions, and the development of acut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related symptoms after intensive care." Critical care medicine, 29(3), 2001. DOI: http://dx.doi.org/10.1097/00003246-200103000-00019 

  7. A. Farley., E. McLafferty. "Delirium part one: clinical features, risk factors and assessment. Nursing Standard, 21(29), pp. 35, 2007. DOI: http://dx.doi.org/10.7748/ns2007.03.21.29.35.c4537 

  8. N. Kagansky, E. Rimon., S. Naor, E. Dvornikov., L. Cojocaru., S. Levy. "Low incidence of delirium in very old patients after surgery for hip fractur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2, pp. 306-314, 2004. DOI: http://dx.doi.org/10.1097/00019442-200405000-00010 

  9. L. C. Meenen., D. M. Meenen., S. E. Rooij., G. Riet. "Risk prediction models for postoperative deliriu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2(12), pp. 2383-2390, 2014. DOI: http://dx.doi.org/10.1111/jgs.13138 

  10. G. Bellelli., P. Mazzola., A. Morandi., A. Bruni., L. Carnevali., M. Corsi., Y. Gustafson. "Duration of postoperative delirium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6month mortality in older adults after hip fractur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2(7), pp. 1335-1340, 2014. DOI: http://dx.doi.org/10.1111/jgs.12885 

  11. S. K. Inouye. "Delirium in older person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4(11), pp. 1157-1165, 2006. DOI: http://dx.doi.org/10.1056/NEJMra052321 

  12. K. H. Kim., D. H. Kho., J. Y. Shin., J. Y. Choi., E. S. Kim., D. H. Kim.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ractures, 21(3), pp. 189-194, 2008. DOI: http://dx.doi.org/10.3938/jkps.52.189 

  13. B. D. Robertson., T. J. Robertson.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hip fracture." Journal of Bone & Joint Surgery American, 88(9), pp. 2060-2068, 2006. DOI: http://dx.doi.org/10.2106/JBJS.F.00049 

  14. J. H. Sohn,, S. H. Na., C. S. Shin., I. Sohn., J. Y. Oh., J. S. An., J. Y. Park. "Impact of delirium on clinical outcome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n observational study in a korean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3(6), pp. 418-425, 2014. DOI: http://dx.doi.org/10.4306/jknpa.2014.53.6.418 

  15. S. Freter., M. Dunbar., K. Koller., C. MacKnight., K. Rockwood. "Risk of pre-and post-operative delirium and the delirium elderly at risk (DEAR) tool in hip fracture patients." Canadian Geriatrics Journal, 18(4), pp. 212-216, 2015. DOI: http://dx.doi.org/10.5770/cgj.18.185 

  16. K. B. Kang., D. H. Suh., S. R. Oh. "Delirium after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femur in elderly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24(2), pp. 131-137, 2011. DOI: http://dx.doi.org/10.12671/jkfs.2011.24.2.131 

  17. K. H. Kim., D. H. Kho., J. Y. Shin., J. Y. Choi., E. S. Kim., D. H. Kim.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s."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21(3), pp. 189-194, 2008. DOI: http://dx.doi.org/10.3938/jkps.52.189 

  18. G. Goldenberg., P. Kiselev., T. Bharathan., E. Baccash., L. Gill., V. Madhav., C. Thakur. "Predicting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undergoing surgery for hip fracture." Psychogeriatrics, 6(2), pp. 43-48,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479-8301.2006.00146.x 

  19. Y. Shen., H. L. Shen., W. Zhang., X. T. Fang. "Risk factors for delirium of elderly patients undergoing hip fracture operation." Zhonghua yi xue za zhi, 93(41), pp. 3276-3279, 2013. 

  20. V. Juliebo., K. Bjoro., M. Krogseth., E. Skovlund,, H. ARanhoff., T. B. Wyller. "Risk factors for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 Journal of the Americ an Geriatrics Society, 57(8), pp. 1354-1361, 2009. DOI: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9.02377.x 

  21. E. R Marcantonio., J. M Flacker., R. J. Wright., N. M., Resnick. "Reducing delirium after hip fracture: a randomiz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9(5), pp. 516-522, 2001. DOI: http://dx.doi.org/10.1046/j.1532-5415.2001.49108.x 

  22. M. E. Furlaneto., L. E. Garcez-Leme. "Delirium in elderly individuals with hip fracture": causes, incidenc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Clinics, 61(1), pp. 35-40, 2006. DOI: http://dx.doi.org/10.1590/S1807-59322006000100007 

  23. H. Nie., B. Zhao., Y. Q. Zhang., Y. H. Jiang., Y. XYang. "Pain and cognitive dysfunction are the risk factors of delirium in elderly hip fracture Chinese patien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4(2), pp. 172-174, 2012. DOI: http://dx.doi.org/10.1016/j.archger.2011.09.012 

  24. H. B. Lee., S. C., Mears , P. B. Rosenberg, J. M. S. Leoutsakos., A. Gottschalk., F. E. Sieber. "Predisposing factors for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hip fracture repair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dementia."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9(12), pp. 2306-2313, 2011. DOI: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11.03725.x 

  25. K. B. Bjorkelund., A. Hommel., K. G. Thorngren., L. Gustafson., S. Larsson., D. Lundberg. "Reducing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 a multi-factorial intervention study."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54(6), 678-688,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399-6576.2010.02232.x 

  26. W. S. Song., J. C. Choi., Y. S. Lee., H. Y. Na., J. W. Choi., W. S. Kim., M. H. Shin. "The risk factors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 a prospective study." The Journal of the Korean Hip Society, 20(4), pp. 293-298, 2008. 

  27. J. P. Grimes., P. M. Gregory., H. Noveck., M. S. Bu tler., J. L. Carson. "The effects of time-to-surgery on mortality and morbidity in patients following hip fracture."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12(9), pp. 702-709, 2002. DOI: http://dx.doi.org/10.1016/S0002-9343(02)01119-1 

  28. A. L. Gruber-Baldini., S. Zimmerman., R. S., Morrison., L. M. Grattan., J. R. Hebel., M. M. Dolan., J. Magaziner. "Cognitive impairment in hip fracture patients":timing of detection and longitudinal followup.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1(9), pp. 1227-1236, 2003. DOI: http://dx.doi.org/10.1046/j.1532-5415.2003.51406.x 

  29. A. Chrispal., K. P. Mathews., V. Surekha."The clinical profile and association of delirium in geriatric patients with hip fractures in a tertiary care hospital in India. Journal of Association of Physicians of India 58, pp. 15-9, 2010. 

  30. M. G. Kat., J. F. de Jonghe., R. Vreeswijk. "Mortality associated with delirium after hip-surgery: a 2-year follow-up study." Age and ageing, 40(3), pp. 312-318, 2011. DOI: http://dx.doi.org/10.1093/ageing/afr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