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기후소양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탐구과정이 강조된 킬링 곡선(Keeling Curve) 활동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Climate Literacy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ed on the Keeling Curve Activities Highlighting Inquiry Proces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9 no.3, 2016년, pp.292 - 308  

손준호 (문산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탐구과정이 강조된 킬링 곡선활동 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초등학생의 기후소양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 것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최근 100년간의 기온 상승의 폭이 얼마나 심각한 현상인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지식으로만 받아들이고 있고 이로 인해 실질적인 기후변화 관련태도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개발한 프로그램에서는 과거의 기후변동 자료와 비교해 볼 수 있도록 다양한 질문과 탐구 전략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의 46명의 학생들은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의 비판적 사고력, 실천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의 수업 관점표 분석과 학생들의 인터뷰 내용 결과, 개발한 수업이 학생들의 기후소양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자의 의견을 지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keeling curve activities highlighting inquiry process on elementary students' climate literacy. Most of the students have not been able to correctly understand just how serious phenomenon that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탐구과정이 강조된 킬링 곡선 관련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초등학생에게 적용해 봄으로써 그들의 기후소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인터뷰 내용의 의도는 1번 문항을 통해서 학생들이 연구자가 의도한 학습 목표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2번 문항을 통해서는 지구의 평균기온 1℃ 상승의 의미를 스스로 탐구해 가는데 있어 교사의 발문이 어느 정도 도움을 주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인터뷰 평균 시간은 10분 내외였다.
  • 통제집단의 경우는 실험집단과 비교했을 때 [활동 1]에서 차이가 있다. 이 연구는 기후변화교육 관련 프로그램의 유무에 따른 기후소양의 정도를 확인해 보는 것이 아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 중학생들의 실질적인 이해를 돕는 탐구과정이 포함된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기후소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므로 실험집단에서 하는 활동 대부분은 통제집단에서도 동일하게 실시하되, [활동 1]의 내용에 차이를 둔 것이다.
  •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기후소양 함양을 위해 탐구과정이 강조된 킬링 곡선 활동 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보고 그 효과를 확인해 본 논문으로, 학생들이 최근 100년간의 기온 상승의 폭이 얼마나 심각한 현상인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지식으로만 받아들이고 있는 현상의 교수·학습방법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킬링 곡선이 기후변화교육에 매우 중요한 이유는? 이러한 킬링 곡선은 기후변화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지구온난화의 원인 중 하나로 생각되는 이산화 탄소의 증가를 관측 데이터를 활용해 생각해 보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과학적인 사고를 끌어낼 수 있기 때문 이다. 그리고 이산화 탄소의 증가에 따른 지구의 기온 상승을 이해해야만 기후변화교육에서 다루고자 하는 원인과 실천적인 대응에 관심을 가질 수있으므로 킬링 곡선은 교육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킬링 곡선이 무엇인가요? 현장에서 기후변화교육을 할 때 자주 사용되는 자료 중 하나가 바로 킬링 곡선(keeling curve)이다. 킬링 곡선은 1958년부터 지구 대기의 이산화 탄소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로 남극과 마우나로아에서 이산화 탄소의 양을 매일 측정한 결과, 그것의 농도가 매년 증가함을 그래프와 수치로 보여준 것이다. 그래서 이 자료는 교사의 재구성 정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교사가 킬링 곡선과 지구 평균 기온 자료를 제시하고 학생들은 이를 비교하면서 이산화 탄소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함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체계적인 기후변화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오늘날 전 지구적 차원에서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는 지구온난화나 오존층 파괴 등과 함께(김윤지, 2015) 기후변화는 인류가 처한 중요한 환경문제이므로 기후변화 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대응하려는 적극적인 실천은 기후변화 시대를 살아 가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필요하다. 특히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은 세계적, 국가적 환경문제가 점차 지역적, 개인적인 문제로 다가옴에 따라 기후 변화에 대한 심각성을 알고 이를 늦추기 위한 행동을 실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유현희, 2011; 하병건과 김용권, 2015) 학교에서의 체계적인 기후변화교육이 어느 때보다도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교육적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다양한 차원의 기후변화 현상에 미래 세대가 능동 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후소양을 갖춘 시민을 양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권주연, 2009; 김찬국과 최돈형, 2010; 최혜숙과 김용표,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교육부(2015). 과학 6-1 : 5-6학년군 과학(3) 교사용지도서. 서울: 미래엔. 

  2. 권난경(2015).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기후변화 교육 내용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4. 권주연(2009). 기후변화 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기상청(2015). 기후변화 2014 종합보고서-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보고서. 

  6. 기상청(2016). 2016년 지역기후변화 홍보 강사단 역량 강화 순회 워크숍. 

  7. 김가람(2015).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윤지(2015). 지구 환경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정신 모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25-34. 

  9. 김찬국, 최돈형(2010). 우리나라 기후 변화 교육 방향. 환경교육, 23(1), 1-12. 

  10. 김해옥(2013).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김현진(2015). 자기주도 학습과 문제해결 능력에 초점을 둔 초등학생용 기후변화 STEAM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박종근, 정철, 손미희, 육혜경(2010). 중등학생들의 기후소양 함양을 위한 교수 자료 개발 및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 학교교육연구, 5(2), 221-237. 

  13. 박혜경(2013). 초.중학생의 기후소양 함양을 위한 기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손준호, 김종희(2016). 지구과학 수업에서 진단 및 형성평가 활용을 위한 스마트 맞춤 평가(SPA) 시스템의 개발 및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1-14. 

  15. 우정애, 남영숙(2012).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938-953. 

  16. 유현희(2011). 초.중.고 학생 및 교사들의 지구 기후 변화에 대한 지식과 행동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이미옥(2006). 고차적 발문 수업이 초등학생의 독해력과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이영준, 김종우, 이상원 (2014). 초등학교 고학년 기후변화교육을 위한 디지털 교과서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4), 317-340. 

  19. 최혜숙, 김용표(2010). 기후 변화 교육을 위한 국내웹 자료 분석. 환경교육, 23(3), 1-16. 

  20. 하병건, 김용권(2015). 환경 관련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206-217. 

  21. 허경철, 김홍원, 조영태, 임선하, 양미경, 한순미, 이혜원, 김용선(1990).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IV).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RR 90-17. 

  22. 환경부(2007). 기후 변화에 따른 전국민 의식조사보고서. 

  23. Beyer, B. K.(1988). Developing a thinking skills program, boston: Allyn and Bacon. 

  24. Clement, A., Kirtman, B., & Pirani, A.(2011). Climate literacy as a foundation for progress in predicting and adapting to the climate of the coming decad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92(5), 633-635. 

  25. Disinger, J. F.(2001). K-12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perspectives, expectations, and practice.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3(1), 4-11. 

  26. Duschl, R. A., & Grandy, R. E. (2008). Teaching scientific inquiry: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Sense Publishers. 

  27. Hofstein, A., & Lunetta, V. N. (2004). The laboratory in science education: Found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Science Education, 88(1), 28-54. 

  28. Marcinkowski, T. J.(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literacy and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in environmental education. unpublished paper. Florida Institute. 

  29. US GCRP(2009). Climate Literacy Guide for Individuals and Communities, Second version:March 2009. 

  30. http://educenter.kcen.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