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수학적 모델링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5학년 수와 연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in process of applying mathematical modeling to children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5 no.1, 2016년, pp.41 - 71  

이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민경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tudents' communication in process of applying mathematical modeling. For this study, 22 fif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were observed by applying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presentation of problem ${\rightarrow}$ model ind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실력을 어떻게 평가했는가? 국제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인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와 TIMSS(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에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 수학적 추론 능력, 의사소통능력이 미흡함을 확인할 수 있다(박경미, 김동원, 2011). 이러한 평가에 대한 여러 연구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일상의 상황을 다룬 열린 문항보다 순수한 수학적 문항, 혹은 전형적인 상황을 다룬 문항에서 우위를 보이고, 개념을 적용하고 추론하는 과정을 정답과 함께 제시하는 문항, 사고의 논리적 전개와 더불어 의사소통의 능력을 요구하는 구성형 문항에 많이 취약함을 보고하였다(김경희, 2010a, b; 박경미, 200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2007). 이러한 여러 연구들의 분석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현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수학적 소양이 많이 부족하며, 현장에서는 다양한 수학적 소양 증진을 위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대사회가 목표로 하는 교육은 어떻게 흘러가는가? 즉, 똑같은 지식을 담아내기만 하는 학생을 만들자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지식을 받아들이고, 이를 재창조해 내는 학생을 길러내자는 것이다. 현대사회가 목표로 하는 교육은 주어진 문제를 학생 스스로 생각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형태로 나아가고 있다.
2007개정교육과정에서는 수학의 어떤 부분을 강조하였는가?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는 7차교육과정(교육부, 1997)에서 ‘수학의 기본적인 개념, 원리, 법칙의 이해’와 ‘수학의 용어와 기호를 정확하게 사용하고 표현하는 기능’, ‘수학적 지식과 기능을 활용하여 문제를 수학적으로 사고하여 해결하는 능력’, ‘실생활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 분석, 조직, 사고하는 태도’를 강조하였다. 이후 2007개정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2008)에서는 ‘수학의 기본적인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 ‘수학적 표현의 의미를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하는 능력’, ‘수학적 지식과 기능을 활용하여 타당하게 추론하는 능력’,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수학적으로 사고하여 해결하는 능력’, ‘생활 주변 현상, 사회 현상, 자연 현상 등의 여러 가지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 분석, 조직하는 능력’, ‘수학적 사고 과정과 결과를 합리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과 함께 7차교육과정보다 더 나아가 정의적 영역에서의 ‘수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신장’을 강조하였다. 2009개정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2009)에서는 2007개정교육과정에서의 내용 근간을 유지하되, 인지적 영역에서 ‘수학적 지식과 기능을 바탕으로 창의적으로 사고 하는 능력’을 강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explanation(IV), Seoul: Daehan textbook.) 

  2. 교육과학기술부 (2009a). 수학 6-가, 서울: (주)두산.(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a). Elementary mathematics 6-ga, Seoul: Doosan.) 

  3. 교육과학기술부 (2009b).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http://ncic.re.kr/)(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b).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explanation, http://ncic.re.kr) 

  4. 교육부 (1997).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서울: 대한교과서.(Ministry of Education. (1997).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explanation(IV), Seoul: Daehan textbook..) 

  5. 교육인적자원부 (2007).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6. 권기석, 박배훈 (1997). 고등학교에서 수학적 모델링의 활용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36(2), 149-159.(Kwon, G. S., & Park, B. H. (1997). A study on the use of mathematical modeling in high school, The Mathematical Education 36(2), 149-159.) 

  7. 김경희 (2010a).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2009) 결과 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m, K. H. (2010a).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PISA 2009) results, Seoul: KICE) 

  8. 김경희 (2010b).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연구(TIMSS 2011) 예비검사 시행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m, K. H. (2010b). A technical report of the field survey in Korea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TIMSS 2011), Seoul: KICE) 

  9. 김민경 (2004). 현실적인 문장제에 관한 초등학생의 반응 분석, 학교수학 6(2), 135-151.(Kim, M. K. (2004). Children's realistic response on realistic word problems, School Mathematics 6(2), 135-151.) 

  10. 김민경 (2010). 수학적 모델링: 초등수학 중심으로, 서울: 교우사.(Kim, M. K. (2010).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oul: kyowoosa.) 

  11. 김민경, 민선희, 강선미 (2009). 초등교사들의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학교수학회논문집 12(4), 411-431.(Kim, M. K., Min, S. H., & Kang, S. M. (2009). A survey of th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and the status about mathematical modeling,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2(4), 411-431.) 

  12. 김민경, 홍지연, 김은경 (2009). 수학적 모델링 사례 분석을 통한 초등 수학에서의 지도 방안 연구, 수학교육 48(4), 365-385.(Kim, M. K., Hong, J. Y., & Kim, E. K. (2009). Exploration of teaching method through analysis of cases of mathematical model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8(4), 365-385.) 

  13. 김민경, 홍지연, 김혜원 (2010). 수학적 모델링 적용을 위한 문제상황 개발 및 적용, 수학교육 49(3), 313-328.(Kim, M. K., Hong, J. Y., & Kim, H. W. (2010). A study on development of problem contexts for an application to mathematical modeling, The Mathematical Education 49(3), 313-328.) 

  14. 김상화 (2010). 초등학교 수업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의 목표설정 및 지도의 실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Kim, S. H. (2010). Standards and practices for promot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classroo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5. 김선희 (1998). 의사소통 지도가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Kim, S. H. (1998). Effects of communication learning mathema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6. 김홍희 (2009). 초등 수학영재학급 학생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관한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Kim, H. H. (2009). Analysis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7. 박경미 (2004). 학업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 심층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4(4), 87-401.(Park, K. M. (2004).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4(4), 87-401.) 

  18. 박경미, 김동원 (2011).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문제점 진단을 위한 조사 연구, 수학교육 50(1), 89-102.(Park, K. M., & Kim, D. W. (2011). A survey research to diagnose the problem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1), 89-102.) 

  19. 방정숙, 정희진 (2006).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대한 초등교사의 이해와 실행형태: 수학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1), 297-321.(Pang, J. S., & Jeong, H. J. (2006).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focused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6(1), 297-321.) 

  20. 신성기 (2009).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수준.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Shin, S. K. (2009).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6th grade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ve lev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1. 신은주, 권오남 (2001). 탐구지향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1(1), 157-177.(Shin, E. J., & Kwon. O. N. (2001). A study of explorationoriented mathematical model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1(1), 157-177.) 

  22. 신은주, 이종희 (2004). 중학생들의 모델링 활동에서 메타인지 분석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4(4), 403-419.(Shin, E. J., & Lee, C. H. (2004). An analysis of metacognition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modeling activ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4(4), 408-419.) 

  23. 오영열, 오태욱 (2009).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23(2), 327-347.(Oh, Y. Y., & Oh, T. W. (2009). The effect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centered teaching using peer feedback on mathematics learning, Communication of Mathematical Education 23(2), 327-347.) 

  24. 유현주 (2000). 수학적 의사소통과 수학의 교수-학습, 학교수학 2(1), 53-72.(Yu, H. J. (2000).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mathematics learning-teaching, School Mathematics 2(1), 53-72.) 

  25. 이미애, 김수환 (2001).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구체물 활용과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5, 99-120.(Lee, M. A., & Kim, S. H. (2001). A study of using concrete materials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s in the primary mathematics clas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5, 99-120.) 

  26. 이종희, 김선희 (2002). 수학적 의사소통의 지도에 관한 실태조사, 학교수학 4(1), 63-78.(Lee, C. H., & Kim, S. H. (2002b). Investigation of present state for teach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School Mathematics 4(1), 63-78.) 

  27. 이종희, 김선희, 채미애 (2001).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 기준 개발, 수학교육학연구 11(1), 207-221.(Lee, C. H., Kim, S. H., & Chae, M. A. (2001). The assessment rubric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1(1), 207-221.) 

  28. 이종희, 최승현, 김선희 (2002). 수학적 의사소통을 강조한 수학 학습 지도의 효과, 수학교육 41(2), 157-172.(Lee, C. H., Choi, S. H., & Kim, S. H. (2002). Effects of mathematics instruction that emphasize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41(2), 157-172.) 

  29. 이해영 (2005). 초등학교 5, 6학년 교사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에 대한 인식과 교수의 실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Lee, H. Y. (2005). 5th and 6th-grade teachers' perception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heir teaching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0. 전상림 (2008). 수학적 모델링 지도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Jun, S. L. (2008). The effect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instruction on mathematical learning accomplish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1. 정유리 (2010).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Jung, Y. R. (2010). The effects of mathematical modeling on learning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2. 조영준, 신항균 (2010). 초등학교 수학교실에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681-700.(Cho, Y. J., & Shin, H. K. (2010). Analysis of pattern of mathematical interaction occurring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4(3), 681-700.) 

  33. 최인숙 (1998). 수학 학습 과정에서 일지 쓰기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Choi, I. S. (1998). Effects of journal writing as a communication in learning mathema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3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교사, 수업, 그리고 학생 성취: TIMSS 1999 결과를 중심으로, 서울: 선명인쇄주식회사.(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2004). Teacher, lesson, and student achievement: Focused on TIMSS 1999 results, Seoul: Sunyung Publishers.) 

  3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연구보고 RRE 2007-1.(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2007). The results from PISA 2006, Research report RRE 2007-1.) 

  36. 홍우주, 방정숙 (2008). 초등학교 6학년 수업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학생의 수학적 사고 분석, 학교수학회논문집 11(2), 201-219.(Hong, W. J., & Pang, J. S. (2008). An analysis of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and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n sixth grade mathematics classroom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1(2), 201-219.) 

  37. 홍정희, 송순희 (1995).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학 탐구수업 효과의 고찰, 수학교육 34(1), 93-96.(Hong, J. H., & Song, S. H. (1995). Consideration of effect of mathematical inquiry learning with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The Mathematical Education 34(1), 93-96.) 

  38. 홍지연 (2007).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 수와 연산 학습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Hong, J. Y. (2007). Effect of the instruction using mathematical modeling elementary school's 4th graders' learning of numbers and operations in elementary school. Unpu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39. Adams, T. (2003). Reading mathematics: More than words can say, The Reading Teacher 56(8), 786-795. 

  40. Balacheff, N. (1991). Treatment of refutations: Aspects of the complexity of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mathematics learning. In E. von Glaserfeld (ED.), Radical constructivism in mathematics education (89-110).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41. Boaler, J. (2001). Mathematical modeling and new theories of learning, Teaching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 20(3), 121-127. 

  42. Bransford, J. D., Zech, L., Schwartz, D., Barron, B., Bye, N., & The Cognition and Technology Group at Vanderbilt University (1996). Fostering mathematical think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Lessons from research. In R. J. Sternberg & T. Ben-Zeev (Eds.), The Nature of mathematical thinking (203-250). NJ: Lawrence Erlbaum, Hillsdale. 

  43. Doerr, H. M. (1997). Experiment, simulation and analysis: An integrated instructional approach to the concept of for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3), 265-282. 

  44. Doerr, H. M., & English, L. D. (2003). A modeling perspective on students' mathematical reasoning about data,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4(2), 110-136. 

  45. English, L. D. (2003). Reconcil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A models and modeling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4, 225-248. 

  46. English, L. D. (2006).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construction of a consumer guid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303-323. 

  47. English, L. D., & Watters, J. J. (2005a).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early school year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6(3), 58-79. 

  48. English, L. D., & Watters, J. J. (2005b). Mathematical modeling with 9-year-olds. In H. L. Chick & J. L. Vincent (Eds.), Proceedings of the 29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2 (.297-304). Melbourne: PME. 

  49. Freudenthal. H. (1991). Revisiting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Kluwer. 

  50. Lesh, R., & Doerr, H. M. (2000). Symbolizing, communicating, and mathematizing: Key components of models and modeling. In P. Cobb & E. Yackel (Eds.), Symbolizing, communicating, and mathematizing (361-383).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1. Lesh, R., Cramer, K., Doerr, H. M., Post, T., & Zawojewski, J. (2003). Model development sequences. In H. M. Doerr & R. Lesh (Eds.), Beyond constructivism: A models and modeling perspective on mathematics Models and modeling perspectives on mathematics teaching,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3-58).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2. Lesh, R., & Lehrer, R. (2003). Models and modeling perspectives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nd teacher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5(2), 109-130. 

  53. Lesh, R., Middleton, J. A., & Caylor, E. (2008). A science need: Designing tasks to engage students in modeling complex data, Educational Study Math 68, 113-130. 

  54. Llinares, S., & Roig, A. I. (2008). Secondary school students' construction and use of mathematical models in solving word proble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6, 505-532. 

  55. Middleton, J. A., Lesh, R., & Heger, M. (2003). Interest, identity, and social functioning: Central features of modeling activity. In R. Lesh & H. M. Doerr (Eds.), Beyond constructivism: Models and modeling perspectives on mathematics teaching,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1).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Reston, VA: Author 

  5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58. Niss, M. (1989). Aims and scope of application and modeling in mathematics curriculum. In W. Blum, J. S. Berry et al. (Eds.), Applications and modeling in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22-31). Chichester, UK: Elis Horwood Limited. 

  59. Open University (1990). Some approaches to modeling. In D. Blane & M. Evans (Eds.), Mathematical modeling of the senior years (43-55). Parkville: Acacia Press. 

  60. Skovsmose, O. (1994). Toward a philosophy of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Kluwer Academic. 

  61. Swetz, F. (1991). Incorporating mathematical modeling into the curriculum, Mathematics Teacher 82(9), 722-726. 

  62. Swetz, F., & Hartzler, J. S. (1991).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 resource guide of classroom exercises, Reston, VA: NCTM. 

  63. Verschaffel, L., & De Corte, E. (1997). Teaching realistic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elementary school: A teaching experiment with fifth grader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8(5), 577-601. 

  64. Zbiek, R. M. (1998). Prospective teachers' use of computing tools to develop and validate functions as mathematical model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9(2), 184-2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