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생에너지정책과 지속가능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독일모델과 시사점
A Study on Renewable Energy Polic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German Model and Implication 원문보기

자원·환경경제연구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25 no.1, 2016년, pp.61 - 87  

박상철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 에너지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독일은 환경 친화적이며 지구온난화현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에너지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기초로 환경 및 에너지 기술개발을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정책을 실시하여 왔다. 따라서 독일의 에너지정책과 지속성장정책의 핵심을 이루는 요소는 재생에너지개발 보급제도, 생태적 에너지세, 배출권 거래제도 등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을 통하여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화석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탄소배출비용을 지불하게 하는 탄소세 및 배출권거래 제도를 실시하여 재생에너지개발을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본 논문은 재생에너지정책을 추진하면서 재생에너지 사용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고 경제성장을 달성하여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이 현실적으로 가능한지에 대해 독일의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한 조사 및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실제로 경제성장을 위한 증가하는 에너지소비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할 수 있거나 경제성장을 달성하면서도 에너지소비가 증가하지 않는다면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조건을 충족시키는 모델사례가 독일의 에너지정책과 지속가능발전전략이며 이를 정책과 전략으로서 논리적으로 증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rmany has carried out its environment friendly energy policy to prevent $CO_2$ emission that affects directly to the global warming phenomenon. Based on this direction, it has performed a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through the R & D activities in environment and energy technologi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일정부의 에너지정책의 기본방향은 어떠합니까? 에너지정책의 기본방향은 주요 에너지자원의 절대적인 부족으로 인하여 주요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태를 장기적인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감소시켜 나가면서 대외 의존도를 극소화 시키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에너지 공급안정에 정책적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차원에서 주요 에너지자원의 수입의존도를 감소시키고 주요 에너지 소비구성을 변화시켜서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 소비구조를 정착시키는 것이다.
독일정부의 에너지정책 수행목적은 무엇입니까? 에너지정책 수행목적은 2010년 발표된 에너지정책 가이드라인인 에너지개념에 정확하게 정립되어 있다. 제 일차 목적은 주요 에너지자원 수입의존도를 감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독일은 주요 에너지자원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독일정부는 에너지정책 수행 목적 중 에너지수입 의존도를 감축하여 에너지 안보를 우선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상황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제 이차 목적은 주요 에너지 자원 수입의존도를 감소시키면서 국내 에너지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 하에서 에너지 공급안정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것이다(Federal Ministry of Economics and Technology & Federal Ministry for the Environment, Nature Conservation and Nuclear Safety, 2010).
일정기간 내에 이산화탄소 배출의 획기적인 삭감 대책을 강구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러나 전 인류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주요 배출국들이 일정기간 내에 이산화탄소 배출의 획기적인 삭감 대책을 강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실정이다. 그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로서는 현재와 같은 화석연료 중심에서 지구환경과 생명에 안전한 재생에너지 부문으로의 이전에는 막대한 경제적 비용이 수반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G Energiebilanzen e.V. (AGEB), German Energy Balances 1990-2010 and Summary Tables 1990-2011, As of August 2012, DIW Berlin: AGEB http://www.ag-energiebilanzen.de, 2012. 

  2. AG Energiebilanzen e.V. (AGEB), Energieverbrauch in Deutschland, Berlin: AGEB http://www.ag-energiebilanzen.de/index.php?article_id20&archiv13&year2014, 2014. 

  3. Apergis, N. and J. E. Payne,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in Central America: Evidence from a Panel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Model," Energy Economics, Vol. 31, No. 2, 2009a, pp. 211-216. 

  4. Apergis, N. and J. E. Payne, "Energy Consumption and Growth: Evidence from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Energy Economics, Vol. 31, No. 4, 2009b, pp. 641-647. 

  5. Belke, A., C. Dreger, and F. De Haan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Essen: Rhur Economic Paper, 2011. 

  6. Bundesministerium fuur Umwelt, Naturschutz und Reaktorsicherheit & Bundesverband der Deutschen Industrie e.V., Memorandum fur eine Green Economy. Eine gemeinsame Initiative des BDI und BMU www.bmub.bund.de/fileadmin/bmu-import/files/pdfs/allgemein/application/pdf/memorandum_green_economy_bf.pdf/. 2012. 

  7. Costantini, V. and C. Martini, "The Causality between Energy and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A Multi Sectoral Analysis Using Non Stationary Co-integrated Panel Data," Energy Economics, Vol. 32, No. 2, 2010, pp. 591-603. 

  8. DIW, Wirtschaftliche Auswirkungen einer okologischen Steuerreform, Special Edition of the DIW no. 153, Berlin: DIW, 1995. 

  9. European Commission (EC), Energy 2020, A Strategy for Competitive, Sustainable and Secure Energy, COM 639 Final, Brusseel: EC, 2010. 

  10. Eissel, D. and S-. C. Park, "Journal of Contemporary European Studies," Vol. 18, No. 3, 2010, pp. 323-340. 

  11. Eurostat, Europe in Figures: Eurostat Yearbook 2010, Brussel: Eurostat, 2010. 

  12. Federal Ministry of Economics and Technology, In focus: Germany as a Competitive Industrial Nation, Berlin: MOET, 2010. 

  13. Federal Ministry of Economics and Technology, National Reform Program, March 2013, 2013. 

  14. Federal Ministry of Economics and Technology & Federal Ministry of Environment, Nature Conservation and Nuclear Safety, Energy Concept, Berlin & Bonn: MOET & MOE, 2010. 

  15. Federal Ministry of Environment, Nature Conservation and Nuclear Safety, The Federal Government Energy Concept of 2010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energy System of 2011, Berlin: MOE, 2011. 

  16. Federal Ministry for the Environment, Nature Conservation, Building and Nuclear Safety, Climate Protection in Figures, Berlin: BMUB, 2014. 

  17. Financial Times, Nov. 24, 2014. 

  18. Fulton, M. and R. Capalino, The German Feed in Tariff: Recent Policy Changes, New York: DB Research, 2012. 

  19.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Energy Policies of IEA Countries: Germany, Paris: IEA, 2007. 

  20.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Energy Supply Security: Germany, Paris: IEA. 2014. 

  21. Knigge, M. and B. Gorlach, Effects of Germany's Ecological Tax Reforms on the Environment, Employ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Berlin: German Federal Environmental Agency, 2005. 

  22. Lee, C. C., Energy Consumption and GDP in Developing Countries: A co-integrated Panel Analysis, Energy Economics, Vol. 27, No. 3, 2005, pp. 415-427. 

  23. Lee, C. and J. Lee, "A Panel Data Analysis of the Demand for total Energy and Electricity in OECD Countries," Energy Journal, Vol. 31, No. 1, 2010, pp. 1-23. 

  24. Mehrara, M.,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Oil Exporting Countries," Energy Policy, Vol. 35, 2007, pp. 2939-2945. 

  25. Oliver, J. G. J., G. Janssens-Maenhout, M. Muntean, and J. Peters, "Trends in Global $CO_2$ Emissions: 2013 Report," The Hague: PBL Netherlands Environmental Assessment Agency, 2013. 

  26. Schlomann, B., and W. Eichhammar, "Energy Efficiency Policies and Measures in Germany," Karlsruhe: Fraunhofer Institute for Systems and Innovation Research ISI, 2012. 

  27. Stern, N., "The Stern Review on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London: the British Government, 2006. 

  28. The Economist, Jan. 15, 2015. 

  29.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Washington D. C.: US EIA, 2010. 

  30. Westphal, K. and T-V. de Graaf, "The G-8 and G-20 as Global Steering Committee for Energy: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Global Policy, Vol. 2, No. 1, 2011, pp. 19-30. 

  31. www.bmwi.de 

  32. www.worldbank.org 

  33. www.destatis.de 

  34. www.coalspot.com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