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비정신과 간호사의 행동건강간호역량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Behavior Health Care Competency on Non-psychiatric Nurs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4, 2016년, pp.426 - 432  

한정원 (고신대학교 간호학과) ,  우희영 (머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Rutledge와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Behavior Health Care Competency (BHCC)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 및 수정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서울 소재의 4개의 상급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230명을 대상으로 하여 내용 타당도, 구성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4요인과 총 16개 문항으로 분석되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비정신과 간호사들의 정신간호와 관련된 행동건강간호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마련하여 비정신과 병동의 간호사들도 대상자들의 신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정신과적 문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methodological study that verifie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by translating and modifying the Korean version of Behavior Health Care Competency (BHCC) tool. This study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230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The BH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현재 한국은 간호사의 정신간호에 대한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측정 도구도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증가하고 있는 정신 질환 대상자들을 위한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고려한다면 간호사의 정신간호에 대한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Rutledge와 그의 동료들이[5] 개발한 BHCC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의 비정신과 간호사들의 정신간호와 관련된 행동건강간호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마련하여 비정신과 병동의 간호사들도 대상자들의 신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정신과적 문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질환은 주로 어떤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 동시에 발병하는가? 2명으로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국가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2]. 정신질환은 후천면역결핍증후군, 결핵, 말라리아와 같은 전염성 질환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 당뇨와 같은 비전염성 만성 질환 대상자들에게서 동시에 발생되는데, 만성질환은 한번 질환이 발병하게 되면 평생에 걸쳐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대상자는 치료 과정과 예후에 따른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여 결국 정신건강문제가 발생된다[3]. 정신질환은 전문 의료인들의 적극적인 관심으로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간호사는 대상자와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하기 때문에 간호사의 정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대상자의 건강회복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4].
정신과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정신간호는 인간의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해 인간의 성장발달, 인간관계 및 정신역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태도 및 기술이 요구되며, 특히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행동과 관련된 정신 질환은 이와 관련된 교육과 경험을 한 간호사들의 역량이 중요하다[5]. 정신과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자신의 목소리 톤, 대화 속도 및 활동 수준들을 조절하여 환자를 자극시킬 수 있는 환경들을 통제함으로써 환자의 안위를 유지시키기도 하며[6], 환자에 대한 정확한 간호사정은 정신질환자들의 파괴적인 행동들을 사전에 예측하여 환자들이 필요한 순간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 환자의 안전을 지켜 준다[7]. 결국 환자의 안전, 건강 회복 및 의료비 절감의 효과를 위해서는 간호사들이 정신간호와 관련된 역량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5].
간호사들의 정신간호와 관련된 역량이 높아져야 됨에도 불구하고 실제 환경은 어떠한걸로 보고되는가? 결국 환자의 안전, 건강 회복 및 의료비 절감의 효과를 위해서는 간호사들이 정신간호와 관련된 역량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5]. 그러나 비정신과 병동의 간호사들은 정신과 병동 간호사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정신간호와 관련된 관심도가 낮은 상태로 대상자들의 신체적인 문제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결과적으로는 환자의 재입원률, 재원기간 및 입원비용을 상승시킨다고 보고된바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S. Saxena, G. Thornicroft, M, Knapp, H. Whiteford, "Resources for mental health: scarcity, inequity, and inefficiency", The Lancet, Vol.370, No.9590, pp.878-889, September, 2007.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07)61239-2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ental Health Service, 2012 

  3. R. Choi, B. D. Hwang, "The relevance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nd mental health",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 No.1, pp. 306-315, January,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306 

  4. V. Patel, R. Araya, S. Chatterjee, D. Chisholm , A. Cohen, M. D. Silva, C. Hosman, H. McGuire, G. Rojas, M. van Ommere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mental disorders in low-income and middle-income countries", The Lancet, Vol.370, No.9591, pp.991-1005, September, 2007.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07)61240-9 

  5. D. N. Rutledge, M. Wickman, D. Drake, E. Winokur, J. Loucks, "Instrument validation: hospital nurse perceptions of their Behavioral Health Care Competenc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8, No.12, pp.2756-2765, December, 2012.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2.06025.x 

  6. K. S. Bernstein, J. P. Saladino, "Clin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sychiatric patients' violent and aggressive behaviors in general hospital", MedSurg Nursing, Vol.16, No.5, pp.301-310, October, 2007. 

  7. I. MacKay, B. Paterson, C. Cassells, C, "Constant or special observations of inpatients presenting a risk of aggression or violence: nurses' perceptions of the rules of engagement",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12, No.4, pp.464-471, August,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365-2850.2005.00867.x 

  8. S. L. Sayers, N. Hanrahan, A. Kutney, S. P. Clarke, B. F. Reis, B. Riegel, B, "Psychiatric comorbidity and greater hospitalization risk, longer length of stay, and higher hospitalization costs in older adul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5, No.10, pp.1585-1591, October,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7.01368.x 

  9. L. Svediene, L. Jankauskiene, M. Kusleikaite, A. Razbadauskas, "Competence of general practice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mental health problems in the somatic departments", Medicina (Kaunas, Lithuania), Vol.45, No.10, pp.822-829, 2008. 

  10. H. R. An, " Attitude on mental illness, percepti on on mental symptom, stress on mental health care, and expectation of psychiatric nurse's roles of non-psychiatric nurses in general hospitals", master at graduate of Catholic University, 2013. 

  11. S. Brunero, S. Lamont, "Mental health liaison nursing, taking a capacity building approach",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Vol.46, No.4, pp.286-293, October,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744-6163.2010.00266.x 

  12. H. Y. Kim, H. G. Lee, K. Lee, K. H. Joe, S. W. Choi, J. S. Seo, "Korean addiction treatment guidelines series (ii):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lcohol withdrawal",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52, No,52, pp.67-75, March, 2013. DOI: http://dx.doi.org/10.4306/jknpa.2013.52.2.67 

  13. E. J. Kim, M. O. Gu. "Recognition for nursing competency importance, nursing competency level,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of nurses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s",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3, pp. 1989-2001, March,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3.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