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No Gun Ri Record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Memory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6 no.2, 2016년, pp.57 - 79  

윤은하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김유승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근리 학살사건 기록들이 사회적 기억을 담지하는 과정을 살피고, 그 특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한 이론 연구로서 사회적 기록의 특징을 분석한다. 사회적 기록은 첫째, 의도적으로 구성된 사회 구성물로 개인의 기억에 영향을 미치고, 둘째, 기억의 가변성을 반영하며, 셋째, 다양한 측면에서 하나의 사건을 증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저자는 노근리 사건의 기억과 기록의 분석을 위해 노근리 사건의 개요를 정리하고, 제1기 반기억의 시기, 제2기 기억 투쟁의 시기, 제3기 공식기억의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기억과 기록의 변화과정과 특징 및 내용을 연대기적으로 살펴보았다. 제1기 구술 및 개인 소장 기록 등의 암묵적 기록, 제2기 대책위활동, 입법활동, 조사활동을 중심으로 한 기록, 제3기 특별법과 평화공원 건립 및 운영 관련 공식 기록이 각각 주로 생산되었다. 제3기는 다양한 사회 주체들이 노근리 사건을 기억하기 위해 생산한 다양한 문화기록들로 기록의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how the No Gun Ri massacre records are incorporated in social memory. As a theoretical study, it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records. First, they are social products that have an influence on personal memory. Second, they reflect variability of me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기억은 '인간의 기억이 개인적이고 사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집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말은 어떤 논리와 구별되는가? 사회적 기억은 인간의 기억이 개인적이고 사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집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 말은 개인 기억의 합이 집단 기억이라거나 개별의 기억을 합하면 우리 사회 전체의 기억이 된다는 수학적 논리와는 구별된다. 나와 너의 기억, 우리 가족과 우리 공동체의 기억, 우리 지역과 우리 도시의 기억의 합이 곧 우리 사회의 집단 기억이 아니라는 지점에서 사회적 기억담론을 제기한 학자들의 의문이 시작된다.
기록관리에서 사회적 기억에 대한 논의가 시작 한지 어느정도인가? 기록관리에서 사회적 기억이 화두로 떠오르고 이에 대한 다각적 논의가 시작 된 지 20년이 가깝다. 사회적 기억에 관한 연구는 1920년대 사회학자 Maurice Halbwachs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으며 1980년대 역사학 영역에서 먼저 주목받았다.
사회적 기억에 관한 연구는 누구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는가? 기록관리에서 사회적 기억이 화두로 떠오르고 이에 대한 다각적 논의가 시작 된 지 20년이 가깝다. 사회적 기억에 관한 연구는 1920년대 사회학자 Maurice Halbwachs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으며 1980년대 역사학 영역에서 먼저 주목받았다. Halbwachs는 개인적 기억 자체보다는 그것이 매개되는 사회적 맥락에 주목했고, 이러한 문제제기는 역사학을 비롯한 철학, 사회학과 기록학 등에서 권력담론과 연관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강정구 (2000).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학살의 실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심포지움: 전쟁과 인권-학살의 세기를 넘어서, 3-22.(Gang, Jung-gu (2000). Civilian massacres before and after Korean War. Massacres symposium before and after Korean War: War and human rights-beyond the century of genocide, 3-22.) 

  2. 김기곤 (2006). 국가폭력, 하나의 사건과 두 가지 재현. 민주주의와 인권, 9(1), 27-63.(Kim, Gi-Gon (2006). State violence, One Incident and the Two Types of Representation - focused on momory and cultural representationprocess of Geochang Massacre. Democracy and Human Rights, 9(1), 27-63.) 

  3. 김찬규 (1999). 노근리 사건과 시제법. 국제법평론, 12, 85-89.(Kim, Chan-Gyu (1999). Nogunri massacre and Intertemporal Law. International Law Reivew, 12, 85-89.) 

  4. 김태우 (2011). 영화 을 통해 본 한국전쟁 다시 쓰기. 작가세계, 87(겨울호), 393-406.(Kim, Taewoo (2011). Reinterpretation of Korean War through a movie "a littel pond." Narrativity, 87, 393-406.) 

  5. 김학이 (2005). 얀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서양사연구, 33, 227-258.(Kim, Hak-i (2005). Cultural Memory of Jan Assmann. The Journal of Western History 33, 227-258.) 

  6. 김형곤 (2007). 한국전쟁의 공식기억과 전쟁기념관. 한국언론정보학보, 40, 192-222.(Kim, Hyung-Gon (2007). The Official Memory of Korean War and the War Memoria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40, 192-222.) 

  7. 김형곤 (2011). 역사교과서와 한국전쟁의 사진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6), 176-184.(Kim, Hyung-Gon (2011). History Textbooks and Changes of Korean War Photograph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6), 176-184.) 

  8. 민경길 (2001). 전시 민간인 보호에 관한 국제법규 연구: 노근리 사건을 중심으로. 인도법논총, 21, 109-148.(Min, Kyung-Kil (2001). On a study on international laws relating to protection of civilians on a case study on the No-Gun HiIncident in the Korean War.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arian law, 21, 109-148.) 

  9. 방선주 (2000). 한국전쟁 당시 북한 자료로 본 '노근리' 사건. 정신문화연구, 79, 19-47.(Pang, Sunjoo (2000). The North Korean 'Eyewitnesses' of the Nogunri Incident: Summary and Afterthought. Korean Studies Quarterly, 79, 19-47.) 

  10. 손경호 (2011). 최근 한국전쟁 연구 동향: 2005년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56, 206-226.(Son Kyengho (2011). An Analysis of the Recent Studies on the Korean War.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56, 206-226.) 

  11. 신동희, 김유승 (2016). 기억을 위한 아키비스트.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41-61.(Sinn, Donghee & Kim, You-seung (2016). Archivists for Memory: A Theoretical Study on Archives and Memo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6(1), 41-61.) 

  12. 안병직 (2007). 한국사회에서의 기억과 역사. 역사학보 193, 275-306. 

  13. 알라이다 아스만 저, 채연숙, 변학수 옮김 (2011). 기억의 공간: 문화적 기억의 형식과 변천. 그린비.(Ahn, Byung-Jik (2007). On Memory and History in the Korean context. The Korean Historical Review, 193, 275-306.) 

  14. 오영호 (2002). 노근리사건 조사 및 교섭결과 분석; 양면게임논리의 관점에서. 석사학위논문. 국방대학원 안보과정.(Oh, Young-Ho (2002). Nogunri massacre investigation and result of negotiation analyzation. Master dissertation.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15. 이만열 (2000). 노근리사건의 진상과 그 성격. 국회인권포럼 제9회 정책심포지움: 노근리사건 진상규명과 해결 방향에 관한 심포지움, 1-20.(Lee, Man-Yeol (2000). Fact and nature of Nogunri massacre. Congressional Human Rights Forum. The 9th Policy Symposium: Symposium on No Gun Ri incident investigation and solution, 1-20.) 

  16. 이재곤, 정구도, 오윤석 (1999). 전시 민간인 보호를 위한 국제법적 규제: 한국전쟁 시 소위 '충북,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 민간인 살상사건'과 관련하여. 충남대 법학연구, 10(1), 111-136.(Lee, Jae-Gon, Chung, Koo-Do, & Oh, Yun-Seok (1999). International Legal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Civilians in Armed conflict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case of No-GunRi Bridge in the Korean Wa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aw Review, 10(1), 111-136.) 

  17. 이환준 (2001). 노근리 사건의 眞相과 敎訓. 軍史, 42, 185-220.(Lee, Hwan-Jun (2001). Facts and lessons of No Gun Ri incident. Military History, 42, 185-220. ) 

  18. 전진성 (2003). 기억과 역사: 새로운 역사 문화이론의 정립을 위하여. 한국사학보, 8, 101-147.(Chun, Jin-sung (2003). Memory and History: For the New Theory of Histor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istory of Historiography, 8, 101-140.) 

  19. 정구도 (2006). 피해자들의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 활동. 노근리사건 희생자심사보고서, 129-198. 노근리사건희생자심사 및 명예회복 위원회.(Chung, Koo-Do (2006). Victim's activities for revealing the truth and for regaining the honor. Nogunri incident victims audit report. Nogunri incident victim audit and honor recovery committee, 129-198.) 

  20. 정진성 (2001a). 인권의 관점에서 본 노근리 사건의 재해석. 민주주의와 인권, 1(1), 139-171.(Chung, Chin Sung (2001a). Revisiting the Nogunri Incident: A Human Rights Perspective. Journal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1(1), 139-171.) 

  21. 정진성 (2001b). 인권침해 문제로서의 노근리 사건. 국회인권포럼 제9회 정책심포지움: 노근리 사건 진상규명과 해결 방향에 관한 심포지움, 23-44.(Chung, Chin Sung (2001b). Nogunri incident as a violation of human rights issues. Congressional Human Rights Forum. The 9th Policy Symposium: Symposium on No Gun Ri incident investigation and solution, 23-44.) 

  22. 조시현 (2001). 노근리 학살사건과 국제인도법. 성신법학, 65-106.(Cho, Si hyun (2001). 'No Gun Ri' Massacre and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Shungshin Law Review, 65-106.) 

  23. 최득진 (2000). 한국전쟁 중 미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사건. 법정논총, 49, 12-40.(Choi, Deuk Jin (2000). Civilian killings by the US military during Korea War. The Law &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9, 12-40.) 

  24. 최병수 (2000). 노근리 학살사건에 관한 몇 가지 검토: 6?25 동란 초기 충북영동지구의 민간인 상해사건에 관한 연구II. 人文學誌, 19(1), 261-283.(Choi, Pyong-su (2000). A Study on A Massacre of Civilians in Young-dong area, Chung-chong Province in the Early Stage of the Korean War (2). Journal of Humanities, 19(1), 261-283.) 

  25. 최병수, 정구도 (1999). 동란 초기 충북 영동지구의 민간인 살상사건에 관한 연구(1): 老斤里의 美軍對良民 集團殺傷事件을 중심으로. 人文學誌, 17(1), 245-283.(Choi, Pyong-su & Chong, Ku-do (1999). A Study on A Massacre of Civilians in Young-dong area, Chung-chong Province in the Early Stage of the Korean War. Journal of Humanities, 17(1), 245-283.) 

  26. 현용수 (2003). 노근리 사건을 기억해야 하는 교육학적 이유. 노근리사건의 진상과 교육. 서울: 두남. 473-509.(Hyun, Yongsu (2003). The educational reasons to remember Nogunri incident. Truth and Lessons of the NoGunri Massacre. Seoul: Donam Press, 473-509.) 

  27. Aleida, Assmann (2009). Erinnerungsraume: Fromen und Wandlungen des kulturellen Gedachunisses. C.H. Beck oHG. 

  28. Anderson, Kimberly (2013). The Footprint and the Stepping Foot: Archival Records, Evidence, and Time. Archival Science, 13(4), 349-371. 

  29. Bastian, Jeannette (2013). The Records of Memory, the archives of identlty: celebrations, texts and archival sensibilities. Archival Science 13, 121-131. 

  30. Blouin, Francis X (1999). Archivists, Mediation, and Constructs of Social Memory. Archival Issues, 24(2), 101-112. 

  31. Booth, Christopher (2000). Prosecuting the 'Fog of War?' Examining the Legal Implications of an Alleged Massacre of South Korean Civilians by U.S. Forces During the Opening Days of the Korean War in the Village of No Gun Ri. Vanderbilt Journal of Transnational Law, 33(4), 933-986. 

  32. Caswell, Michelle, & Anne Gilliland (2015). False Promise and New Hope: Dead Perpetrators, Imagined Documents and Emergent Archival Evidence. Journal of Human Rights, 19(5), 615-629. 

  33. Cook, Terry (2013). Evidence, Memory, Identity, and Community: Four Shifting Archival Paradigms. Archival Science, 13(2), 95-120. 

  34. Davis, Natalie Zemon (1999). Who Owns History? Historical Perspective on Memory. In Ollia, Anne(eds.) Historical Perspectives on Memory. Helsinki: Suomen Historiallinen Seura, 19-34. 

  35. Halbwachs, M. (1922). On Collective Memory. Edited, translated, and with an introduction by Lewis A. Coser.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Hanley, Charles J. & Martha Mendoza (2000). The Bridge at No Gun Ri: Investigative Reporting, Hidden History, and Pulitzer Prize. Harvard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5(4), 112-117. 

  37. Hutton, P. H. (1993). History as an Art of Memory. Hanover, NH: University of Vermont. 

  38. Kim, Choon (2004). Forgotten War, Forgotten Massacre: The Korean War (1950-1953) as Licensed Mass Killings. Journal of Genocide Research, 6(4), 523-544. 

  39. Oh, Yeon-ho (2000). Do You Know Our Agony? Massacre of Villagers by the U.S. Soldiers During the Korean War. Asian Solidarity Quarterly, 2, 80-90. 

  40. Ollia, Anne (1999). Historical Perspectives on Memory. Helsinki: Suomen Historiallinen Seura. 

  41. Schuit, Stephen (2000). First Person: The Grapes of No Gun Ri. The Humanist, 60(4), 45-47. 

  42. Schwartz, Joan & Cook, Terry (2002). Archives, Records, and Power: The Making of Modern Memory. Archival Science, 2(1), 1-19. 

  43. Sinn, Donghee (2007). Records and Understanding of Violent Event: Archival Documentation, Historical Perception and the Nogunri Massacre in the Korean War. University of Pittsburgh, 2007. 

  44. Verne, Harris (2002). The Archival Sliver: Power, Memory, and Archives in South Africa. Archival Science, 2(1), 63-86. 

  45. White, Kelvin L. (2009). Meztizaje and RememberinginAfro-Mexican! Communities of the Costa Chica: Implications for Archival Education in Mexico. Archival Science, 9(2), 43-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