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풍속과 피해액 간 상관관계분석에 따른 강풍재해피해조사 프로세스 개선방안 -재해연보를 중심으로-
Gale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Process Provement Plan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Wind Speed and Damage Cost -Centering on Disaster Year Book-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1 no.2, 2016년, pp.119 - 126  

송창영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  양병수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ross the world, the industrialization has increased the frequency of climate anomaly. The size of damage due to recent natural disasters is growing large and fast, and the human damage and economic loss due to disasters are consistently increasing. Urbanization has a structure vulnerable to natu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재해연보의 강풍피해 결과의 분석을 통해 풍속과 피해액과의 상관관계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재해연보에 기록된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적용한 재해조사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강풍재해의 속성 간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정확한 피해액산정을 위해 풍속 이외에 추가적으로 활용가능 한 속성정보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이러한 비상관성 데이터는 재해조사 과정에서 취득하는 데이터의 정확성이 매우 부족한 경우에 발생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강풍재해에 대한 비상관성 데이터를 최소화하고, 실용적이며 현장적용성이 있는 정확한 데이터 취득을 위해 재해연보 기반의 강풍피해조사 프로세스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재해연보의 강풍피해 결과의 분석을 통해 풍속과 피해액과의 상관관계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재해연보에 기록된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적용한 재해조사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강풍재해의 속성 간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정확한 피해액산정을 위해 풍속 이외에 추가적으로 활용가능 한 속성정보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상기와 같이 재해피해조사 프로세스 및 피해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요소분석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수행되었으나, 일반적인 재해관련 업무와 관리방안에서의 개선방안을 대부분 제시하고 있으며, 강풍재해 속성 및 특성에 대한 부분은 반영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재해연보를 통한 경험론적 데이터의 분석을 기반으로 강풍재해의 피해액 산정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는 재해피해조사 개선방안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 본 연구에서는 태풍, 호우, 강풍, 풍랑, 대설 등 재해연보에 기록된 자연재해 중에서 강풍을 중점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재해연보 기반의 경험론적 강풍피해액 분석을 통해 풍속과 피해액과의 상관관계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검토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자연재해 정보의 수집과 체계적인 자연재해 피해조사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 국내의 경우, 송재우는 국가 재해관리시스템의 문제점 분석을 통해서 기능적 측면의 재해경감, 대비, 대응, 복구 단계에 따른 재해관리 프로세스의 개선방안 제시하였으며, 현행제도, 정책, 예산, 행정조직체계에 대한 개선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4) .이재은은 자연재해에 대한 피해조사체계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자연재해 피해조사 및 복구지원⋅감독체계 등의 개선을 통해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조사 및 복구지연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재해피해조사 방법, 해외 재난사고데 대한 피해 및 복구비 산정 기준 관련 법률제도 조사, 피해복구비용의 부실집행, 처벌규정 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현행 피해조사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5)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상이변의 빈도는 증가의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른 기상이변의 빈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강풍에 대한 피해사례는 태풍에 의한 피해를 포함하여 크게 증가하고 있다1) . 특히, 강풍은 비닐하우스 등을 포함한 농업시설 및 농작물 등에 큰 피해를 주기 때문에 강풍재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강풍재해는 주로 어디에 피해를 주는가? 전 세계적으로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른 기상이변의 빈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강풍에 대한 피해사례는 태풍에 의한 피해를 포함하여 크게 증가하고 있다1) . 특히, 강풍은 비닐하우스 등을 포함한 농업시설 및 농작물 등에 큰 피해를 주기 때문에 강풍재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강풍에 대한 재해관리를 위해 재해의 발생요인과 피해액을 산정하는 정확한 통계적 접근방법과 재해조사 프로세스의 개발은 미흡하며, 또한, 자연재해 중 태풍 및 호우에 대한 피해분석 연구는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재해발생 빈도와 피해규모의 영향으로 강풍에 대한 피해분석 연구는 타 재해유형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강풍재해에 대한 재해관리는 어떠한가? 특히, 강풍은 비닐하우스 등을 포함한 농업시설 및 농작물 등에 큰 피해를 주기 때문에 강풍재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강풍에 대한 재해관리를 위해 재해의 발생요인과 피해액을 산정하는 정확한 통계적 접근방법과 재해조사 프로세스의 개발은 미흡하며, 또한, 자연재해 중 태풍 및 호우에 대한 피해분석 연구는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재해발생 빈도와 피해규모의 영향으로 강풍에 대한 피해분석 연구는 타 재해유형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J. W. Yoon, Y. H. Lee, H. C. Lee, J. C. Ha, H. S. Lee and D. E. Chang, "Wind Prediction with a Short-range Multi-model Ensembl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tmospheric Sciences, Vol. 17, No. 4, pp. 327-337, 2007. 

  2.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Natural Disasters Investigation and Recovery Planning Guidelines of Overseas", 2015. 

  3. A. R. Zhai and J. H. Jiang, "Dependence of US Hurricane Economic Loss on Maximum Wind Speed and Storm Size",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Vol. 9, No 6, pp. 1-24, 2014. 

  4. J. W. Song,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from the Side of Prevention Policy", The Symposium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Disaster Management System. 2003. 

  5. J. E. Lee, G. G. Yang, S. S Byun and D. W. Park, "Improving the Investigation System of Natural Disaster Damage",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Vol.5, No. 1, pp.73-84, 2009. 

  6. J. A. Han, "Electronic Management Technique of Historical Disaster Data for Construction Facilities Operated by Local Ggovernment", Master's Thesis, KyungSang University, 2005. 

  7. S. Y. Choi, J. H. An and H. B. Kim, "Comparison between South Korea's Disaster Recovery System and Overseas Country",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Korea Disaster Prevention Association, Vol.17, No.1, pp. 32-40, 2015. 

  8. National Disaster information Center, https://www.safekorea.go.kr/ 

  9.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Disaster Year Book", 2005-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