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ISM-KNU의 개발과 남한 월강수량 분포도 작성
PRISM-KNU Development and Monthly Precipitation Mapping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9 no.2, 2016년, pp.27 - 46  

박종철 (공주대학교 지리정보과학연구소) ,  김만규 (공주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월강수량의 내삽을 위해 PRISM-KNU(Parameter-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Kongju National University)를 개발하였다. PRISM-KNU의 특징은 강수량과 지형고도 사이의 선형관계의 공식에서 기울기의 허용 범위를 지형 기복량을 토대로 조절하는 것이다. 이 모델의 매개변수 값은 최적화 기법에 의해 결정하였고, 그 결과를 2000~2014년, 공간 해상도 $1{\times}1km$의 남한 강수량 자료를 생산하는데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모의 효율, Kling-Gupta Efficiency는 총 모의 사례의 86%에서 0.7 이상이었다. 또한 Modified Korean PRISM에 의해 생산된 기존의 강수량 자료에서는 공간적 패턴에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는 반면 PRISM-KNU에 의해 생산된 자료에서는 그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PRISM-KNU가 타당하게 개발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연구 결과는 또한 그 모델에 의해 생산된 자료의 공간적 일관성이 Modified Korean PRISM의 자료에 비해 향상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PRISM-KNU와 그 모델의 산출물은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arameter-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Kongju National University(PRISM-KNU) system was developed to interpolate monthly precipitation data. One of the features of PRISM-KNU is that it can adjust the allowable range of slope according to the elevation rang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PRISM-KNU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남한 전체에 대한 2000~2014년의 월강수량 자료를 생산하였다. 생산된 강수량 자료의 공간해상도는 1×1km이고, 입력 강수량은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434~573개의 기상관측지점으로부터 획득된 강수량 자료를 활용하였다.
  • 연구 지역은 남한의 도서 지역과 내륙 전체이고, 본 연구에서는 2000~2014년에 대한 공간해상도 1×1km의 월강수량 분포도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위의 두 가지 측면을 개선한 남한의 PRISM 월강수량 자료를 생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자료의 공간적 일관성을 개선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한 PRISM을 직접 구현하고, 그 모델을 활용하여 2000~2014년의 월별 강수량 자료를 생산하는 한편 모델과 생산 자료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PRISM-KNU는 지형성 강수의 재현을 위해 지형고도와 월강수량 사이에 0 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기상청 관측지점의 80% 이상이 해발고도 300m 이하에 분포해 있기 때문에(Park and Jang, 2015), 월강수량과 지형고도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일 수 있으며 양의 상관관계를 보일지라도 선형회귀직선의 기울기가 과도하게 추정되는 지점들이 나타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 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내삽 방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기후 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내삽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주 변수만을 활용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지형고도분포와 같은 부 변수를 함께 활용하는 방법이다.
PRISM-KNU의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월강수량의 내삽을 위해 PRISM-KNU(Parameter-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Kongju National University)를 개발하였다. PRISM-KNU의 특징은 강수량과 지형고도 사이의 선형관계의 공식에서 기울기의 허용 범위를 지형 기복량을 토대로 조절하는 것이다. 이 모델의 매개변수 값은 최적화 기법에 의해 결정하였고, 그 결과를 2000~2014년, 공간 해상도 $1{\times}1km$의 남한 강수량 자료를 생산하는데 적용하였다.
내삽 방법 중, 주 변수만을 활용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주 변수만을 활용하는 방법들로는 inverse distance weight, kriging, natural neighbor, spline,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등이 있다(Kim et al., 1999;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aek, G.H., M.G. Lee and B.J. Kang. 2011. Development of spatial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for KMA-RCM by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136-149 (백경혜, 이명진, 강병진. 2011. GIS를 활용한 KMA-RCM의 규모 상세화 기법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136-149). 

  2. Daly, C., M. Halbleib, J.I. Smith, W.P. Gibson, M.K. Doggett, G.H. Taylor, J. Curtis and P.P. Pasteris. 2008. Physiographically sensitive mapping of climatological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cross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8(15):2031-2064. 

  3. Daly, C., R.P. Neilson and D.L. Phillips. 1994. A statistical-topographic model for mapping climatological precipitation over mountainous terrain.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3(2):140-158. 

  4. Daly, C., W.P. Gibson, G.H. Taylor, G.L. Johnson and P. Pasteris. 2002. A knowledge-based approach to the statistical mapping of climate. Climate Research 22(2):99-113. 

  5. Duan, Q., S. Sorooshian and V.K. Gupta. 1992. Effective and efficient global optimization for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Water Resource Research 28(4):1015-1031. 

  6. Gupta, H.V., H. Kling, K.K. Yilmaz and G.F. Martinez. 2009. Decomposition of the mean squared error and NSE performance criteria: implications for improving hydrological modelling. Journal of Hydrology 377(1-2):80-91. 

  7. Ha, K.J., H.M. Oh, A.S. Suh and J.H. Kim. 2002. Comparison between TRMM/PR and ground-based rada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5(4):1-8 (하경자, 오현미, 서애숙, 김정희. 2002. TRMM/PR 자료와 지상 레이더와의 비교.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4):1-8). 

  8. Hong, K.O., M.S. Suh, D.K. Rha, D.H. Jang, C.S. Kim and M.K. Kim. 2007. Estimation of high resolution gridded temperature using GIS and PRISM. Atmosphere 17(3):255-268 (홍기옥, 서명석, 나득균, 장동호, 김찬수, 김맹기. 2007. GIS와 PRISM을 이용한 고해상도 격자형 기온자료 추정. 대기 17(3):255-268). 

  9. Hwang, S.H. and D.H. Ham. 2013. A case study on the regional application of PRISM precip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5):157-167 (황석환, 함대헌. 2013. PRISM 자료의 지역적 적용성 분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3(5):157-167). 

  10. Jee, J.B. and K.T. Lee. 2010. Estimation of rainfall intensity for MTSAT-1R data using microwave rainfall.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6(5):511-525 (지준범, 이규태. 2010. 마이크로웨이브 강수량을 이용한 MTSAT-1R 위성의 강우강도 추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6(5): 511-525). 

  11. Jeong, J.J. and Y.E. Choi. 2011. Study on interpolation methods to generate GIS-based climate maps. Journal of Climate Research 6(2):159-170 (정재준, 최영은. 2011. GIS 기반 기후지도 제작을 위한 내삽 방법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 6(2):159-170). 

  12. Jo, N.H., J.C. Park and M.K. Kim. 2010. The application of distributed synthetic environment data to a military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19(4):235-247 (조내현, 박종철, 김만규. 2010. 분포형 합성환경자료의 군사시뮬레이션 적용.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19(4):235-247). 

  13. Kang, J.E. and M.J. Lee. 2012.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119-136 (강정은, 이명진. 2012.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3):119-136). 

  14. Kim, D.J. and J.I. Yun. 2011. Estimation of monthly precipitation in North Korea using PRISM and digital elevation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1):35-40 (김대준, 윤진일. 2011. PRISM과 상세 지형정보에 근거한 북한지역 강수량 분포 추정. 한국농림기상학회지 13(1):35-40). 

  15. Kim, D.S., J.H. Won, H.I. Kim, K.H. Kim and K.D. Park. 2010. Accuracy analysis of GPS-derived precipitable water vapor according to interpolation methods of meteorological data.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18(4):33-41 (김두식, 원지혜, 김혜인, 김경희, 박관동. 2010. 기상자료 보간 방법에 의한 GPS기반 가강수량 산출 정확도 분석. 한국공간정보학회지 18(4):33-41). 

  16. Kim, H.J., H.J. Paek and W.T. Kwon. 1999. A neural network for long-term forecast of regional precip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2):69 78 (김호준, 백희정, 권원태. 1999. 지역별 중장기 강수량 예측을 위한 신경망 기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2):69-78). 

  17. Kim, J.P., W.S. Lee, H.G. Cho and G.S. Kim. 2014. Estimation of high resolution daily precipitation using a modified PRISM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4):1139-1150 (김종필, 이우섭, 조현곤, 김광섭. 2014. 개선된 PRISM 모형을 이용한 고해상도 일강수량 추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4(4):1139-1150). 

  18. Kim, M.K., M.S. Han, D.H. Jang, S.G. Baek, W.S. Lee, Y.H. Kim and S. Kim. 2012. Production technique of observation grid data of 1km resolutio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7(1):55-68 (김맹기, 한명수, 장동호, 백승균, 이우섭, 김연희, 김성. 2012. 1km 해상도의 관측격자 자료 생산 기술. 기후연구 7(1):55-68). 

  19. Kim. N.S. and G.S. Kim. 2013. A study on changes of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in Korea peninsular during the past 40 yea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4): 29-38 (김남신, 김경순. 2013. 지난 40년 간 한반도 기온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4):29-38). 

  20. Kim, Y.H. 2006, Comparison of Spatial Optimization Techniques for Solving Visibility Location Probl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9(3):156-170 (김영훈. 2006. 가시권 문제를 위한 공간최적화 기법 비교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3): 156-170). 

  2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climate.go.kr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http://www.climate.go.kr). 

  2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kma.go.kr (기상청 홈페이지. http://www.kma.go.kr). 

  23. Lee, J.G. and H.M. Sung. 2013. A WRF sensitivity study in precipitation amount over Yeongdong province to the choice of nesting methods: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1):105-119 (이재규, 성현민. 2013. 둥지격자기법에 따른 영동지방의 겨울철 강수량에 대한 WRF 모델의 민감도: 사례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3(1):105-119). 

  24. Lee, M.A., W.K. Lee, C.C. Song, J.H. Lee, H.A. Choi and T.M. Kim. 2007. Spatio-tempers change prediction and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15(3):267-278 (이민아, 이우균, 송철철, 이준학, 최현아, 김태민. 2007. 기온 및 강수량의 시공간 변화예측 및 변이성. 한국공간정보학회지 15(3):267-278). 

  25. Park, H.S., B.J. Sohn and E.S. Chung. 2008. Estimation of total precipitable water from MODIS infrared measurements over east asi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4(4):309-324 (박호순, 손병주, 정의석. 2008. MODIS 적외 자료를 이용한 동아시아 지역의 총가강수량 산출.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4(4):309-324). 

  26. Park, J.C., I.W. Jung, H.J. Chang and M.K. Kim. 2012. Optimization of PRISM parameters and digital elevation model resolution for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 (3):36-51 (박종철, 정일원, 장희준, 김만규. 2012. 남한 강수량 분포 추정을 위한 PRISM 매개변수 및 수치표고 모형 최적화.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3):36-51). 

  27. Park, J.C., J.S. Lee, A.S. Suh and M.K. Kim. 2013. Correlation between urbanization rate in local scale and extreme climate indices. Journal of Climate Research 8(3):185-201 (박종철, 이지수, 서애숙, 김만규. 2013. 국지적 규모의 도시화율과 극한기후지수와의 상관성. 기후연구 8(3):185-201). 

  28. Park, J.C., K.C. Yang and D.H. Jang. 2010. The movement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zone in the warm temperate region due to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5(1):29-41 (박종철, 양금철, 장동호. 2010. 기후변화에 따른 난온대 상록활엽수림대의 이동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 5(1):29-41). 

  29. Park, J.C. and D.H. Jang. 201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K-PRISM-Wind for wind speed interpolatio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10(4):313-327 (박종철, 장동호. 2015. 풍속 내삽을 위한 MK-PRISM-Wind의 개발과 검증. 기후연구 10(4):313-327). 

  30. Park, J.C. and M.K. Kim. 2009. A study on the use of a terrain aspect variable in producing the precipitation distribution map applying cokriging: a case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6(3):59-66 (박종철, 김만규. 2009. 공동 크리깅을 이용한 강수 분포도 작성에서 지형 사면방향 변수 사용에 대한 연구 : 제주도를 사례지역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6(3):59-66). 

  31. Park, J.C. and M.K. Kim. 2010. Analysis of changes in land use of hills using time series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3):102-118 (박종철, 김만규. 2010.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야산의 토지이용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3):102-118). 

  32. Park, J.C. and M.K. Kim. 2013. Comparison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s in precipitation data sets representing 1km spatial resolution over South Korea produced by PRISM, IDW, and cokrig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 147-163 (박종철, 김만규. 2013. PRISM, 역거리가중법, 공동크리깅으로 작성한 1km 공간해상도의 남한 강수 자료에서 강수 분포의 비교.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3):147-163). 

  33. Park, N.W. and D.H. Jang. 2008. Mapping of temperature and rainfall using DEM and multivariate kriging. Journal of the Korea Geographical Society 43(6):1002-1015 (박노욱, 장동호. 2008. 수치표고모델과 다변량 크리깅을 이용한 기온 및 강수 분포도. 대한지리학회지 43(6):1002-1015). 

  34. Park, S.Y. and H.M. Tak. 2013. Land use changes and climate patterns in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47-64 (박선엽, 탁한명. 2013. 우리나라 동남부 지역의 토지 이용과 기후 패턴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2):47-64). 

  35. Robert, S., L. Foresti and M. Kanevski. 2013. Spatial prediction of monthly wind speeds in complex terrain with adaptive general regression neural network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3(7):1793-1804. 

  36. Shin, S.C., M.K. Kim, M.S. Suh, D.K. Rha, D.H. Jang, C.S. Kim, W.S. Lee and Y.H. Kim. 2008. Estimation of high resolution gridded precipitation using GIS and PRISM. Atmosphere 18(1):71-81 (신성철, 김맹기, 서명석, 나득균, 장동호, 김찬수, 이우섭, 김연희. 2008. GIS와 PRISM을 이용한 고해상도 격자형 강수자료 추정. 대기 18(1):71-81). 

  37. Sung, C.J. 2003. A study on the analysis of terrain element and terrain classification using GIS.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37(2):155-161 (성춘자. 2003. GIS를 이용한 지형요소 분석과 지형분류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37 (2):155-161). 

  38. Tak, H.M., S.H. Kim and I. Son. 2013. A study on distributions and spatial properties of geomorphological mountain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8(1):1-18 (탁한명, 김성환, 손일. 2013. 지형학적 산지의 분포와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8(1):1-18). 

  39. Yates, S.R. and A.W. Warrick. 1987. Estimating soil water content using cokriging.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51(1):23-30. 

  40. Yi, C.Y., S.M. An, K.R. Kim and Y.J. Choi. 2012. Improvement of air temperature analysis by precise spatial data on a local-scale -a case study of Eunpyeong new town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144-158 (이채연, 안승만, 김규랑, 최영진. 2012. 상세 공간정보를 활용한 국지기온 분석 개선 -서울 은평구 뉴타운을 사례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144-158). 

  41. Yun, J.I., J.Y. Choi, Y.K. Yoon and U.R. Chung. 2000. A spatial interpolation model for daily minimum temperature over mountainous region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4):175-182 (윤진일, 최재연, 윤영관, 정유란. 2000. 산악지대의 일 최저기온 공간내삽모형.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4):175-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